삼남(三南)의 개성(個性).
삼남(三南)(忠淸•全羅•慶尙)은 지형(地形)도 다르고 생산되는 물건(物件)이 다르므로 그곳에 사는 사람의 개성(個性)도 각기 다를 수 밖에 없다.
돈이 갑자기 생기면 쓰는 용도도 각기 다르다고 한다. 충청도(忠淸道) 사람은 돈이 생기면 옷을 사 입는다는 말이 있고, 전라도(全羅道)는 음식(飮食)을 해 먹고, 경상도(慶尙道)는 사람은 집을 고친다는 우스갯 소리가 있다.
의식주(衣食住)에 대한 우선순위가 지방마다 각기 다르다는 말이다.
오늘날 보면 유서 깊은 고택(古宅)들이 영남에 주로 보존(保存)되어 있다. 어림잡아 전국 고택(古宅)의 60% 가량은 경상도(慶尙道)에 남아 있지 않나 싶다.
경상도(慶尙道)가 특별히 돈이 많았던 지역
(地域)도 아닌데, 이처럼 좋은 기와집들이 많이 보존(保存)되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문중(門中)의 결속과 가풍의 보존을 중시하는 퇴계 학풍의 영향도 있었다고 본다. 기호(서해안)지방은 노론의 주기학풍
(主氣學風)보다 영남 남인들의 주리학풍
(主理學風)이 상대적으로 집안과 문중에 대한 관심이 높다.
영남 남인들이 200년 동안 중앙 정치권력
(政治權力)으로부터 소외됐던 것도 집안을 중심으로 내부결속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라도(全羅道)는 한반도에서 평야(平野)가 가장 넓은데다가, 해안가에 갯벌이 많다는 점을 주목(注目)해야 한다.
갯벌은 논밭 다음으로 제3의 농토(農土)였다.
육지(陸地)는 흉년(凶年)이 들어도 개펄은 흉년(凶年)이 없었다. 갈고리만 하나 들고 개펄에 들어가면 굶어 죽지는 않았다.
진도(珍島) 같은 섬은 1년 농사(農事)를 제대로 지으면 3년 동안 먹을 수 있는 식량(食糧)이 나왔다. 그렇다 보니 먹을거리와 요리가 발달
(發達)할 수 밖에 없다.
전라도(全羅道) 음식(飮食) 가운데 홍어와 돼지고기를 같이 먹는 삼합과 전주(全州)의 비빔밥은 육지(陸地)와 바다의 먹을거리가 절묘하게 결합(結合)된 사례(事例)이다.
조선조에 충청도(忠淸道)는 고위벼슬을 많이 배출(輩出)한 노론의 본거지였으므로 양반
(兩班)이 가장 많았던 지역이다.
양반은 극단적(極端的)인 말을 되도록이면 하지 않으려고 한다.
말을 느리게 하는 이유가 이것이다.
양반(兩班)의 체통을 중시하려다 보니 의관
(衣冠)을 잘 챙겨 입어야 했을 것이다. 그렇지만 내면에는 대의를 위해 자기 몸을 던지는 기질이 있다
일제강점기에 김좌진 장군을 비롯하여, 매헌 윤봉길 의사, 만해 한용운, 유관순 열사가 모두 충청도 출신(出身)이다.
여간 해서 내색은 잘 안 하지만 속에서는 불꽃처럼 폭발하는 기질의 소유자가 충청도
(忠淸道)에 많다.
충청도(忠淸道) 출신들이 특히나 군 특수부대 출신들이 많다. 훈련(訓練)을 받으면서도 평소에 별로 말이 없고, 훈련(訓練)이 아무리 힘들어도 잘 참고 견디며 불평불만(不平不滿)을 말하지 않고 주로 혼자서 삭힌다!
말은 느리지만 행동(行動)도 빠르고 제일 중요한 것은 표현(表現)을 가장 짧게 하는 줄임말의 고장이 바로 충청도(忠淸道)다.
거기다가 강한 사투리를 사용하지 않아
교육 과정에서 언어 교정 훈련(訓練)이 비교적으로 쉽고 짧게 걸린다.
총체적(總體的)으로 신분노출의 위험성이 적다는 결정적인 장점(長點)이 있어 짧게는 6개월, 길게는 2년씩이나 소요되는 특수훈련에 가장 합격률(合格率)이 제일 높은 것이다.
<줄임말의 예>
하셨습니까? > 했슈?
됐습니다. > 됐슈
돌아가셨습니까? > 갔슈?
내버려 두세요. > 냅둬유
술 할 줄 아십니까? > 술 혀?
개고기 드십니까? > 개 혀?
정말 시원합니다. > 엄청 션해유
잠깐 실례합니다. > 좀 봐유
빨리 오세요. > 빨와유
ㅡㅡㅡㅡㅡ펌글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월 들어 세번째 맞이하는 불금으로 삶의 향기속에 사랑의 소망 꽃피우는 하루가 되시고 오늘도 즐겁고 건강하게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