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전국미술심리치료사 총 연합회 원문보기 글쓴이: 이정민(수석연구원)
이름: |
나이: |
성별: |
생년월일: | |||
주소: |
집 전화: | |||||
직업: |
핸드폰: | |||||
학교: | ||||||
배우자 유무: |
자녀수: |
혈액형: | ||||
의뢰처: |
주소: | |||||
의뢰이유: | ||||||
DAP 검사장소: |
DAP 검사자 |
직책: | ||||
가족배경과 가족력:
| ||||||
요약 과 결론:
|
조언:
검사자: 인
1. 피검자의 반응 및 태도
|
2. 전체적 인상
남자상 |
|
여자상 |
|
3. 남녀상간의 차이
항 목 인 물 |
남 여 |
처음 그린 성 |
|
피검자 나이와 가까운 성 |
|
더 능력있는 성 |
|
더 활동적인 성 |
|
좀 더 나은 분위기의 성 |
|
윤곽, 크기, 위치의 차이 |
|
동일시하는 성 |
|
더 세부묘사(더 많은 시간 소비)한 성 |
|
지시에 보다 갈등한 성 |
|
4. 질문
항 목 인 물 |
남자상 |
여자상 |
연상 |
|
|
어떤 사람 |
|
|
인물에 대한 이야기 |
|
|
심한 정신적/ 정서적 혼란 검사항목 |
기질적인 두뇌손상 검사항목 |
1. 내부 기관 표시 2. 쓰러지는 상 3. 누드상에서 남성생식기를 강조 4. 사람같지 않은 상 5. 흉악한 성질 6. 얼굴 생김새가 없다 7. 바보같은 상 8. 새의 발톱같은 손가락 9. 모순된 얼굴 옆모습 10. 크게벌린, 추파를 던지는 입 11. 딱딱하고 도식적인 상 12. 약간 벌어진 입 13. 짙고 지저분한 음영 14. 빈약하고 텅빈 그림 15. 도화지를 초월한 크고웅장한 그림 16. 눈과 귀의 과도한 음영 |
1. 균형 잡히지 않은 머리 2. 지나치게 큰 머리 3. 두껍고 간단한 선 4. 접합의 빈약성 5. 세부묘사의 부재, 많은 생략 6. 지나치게 큰 상 7. 피검자에 의해 표현된 쇠약감 8. 접근의 엄격함 9. 스테레오 타입(상동성) 10. 짙은 머리 윤곽선 11. 이상한 압력 12. 추가선으로 상을 정리 13. 이따금씩 지우기 14. 빈약한 균형
|
해석 종합적 해석
0-4... 임상적 그림이 정신병리학의 0 -7...약간의 뇌손상 가능성
가설을 지지해 주지않으면 8-14...심한 뇌손상 가능성
반드시 의미가 잇는 것이 아니다.
5-9... 약간 심한 혼란
10-16.. 심한 정서적 혼란
5. 성격 역동성
성적 상징 영역 | ||
남자상 |
묘사 |
해석 |
가랑이 |
|
|
바지 앞자락 |
|
|
코9크기 |
|
|
머리카락(음영) |
|
|
발 |
|
|
엉덩이 |
|
|
여자상 |
|
|
가랑이 |
|
|
가슴 |
|
|
엉덩이 |
|
|
머리카락(음영) |
|
|
발 |
|
|
통 제 특 징 | ||
남자상 | ||
허리 |
|
|
소매부리 |
|
|
서있는자세 |
|
|
선의 특징 |
|
|
세부묘사의 정도 |
|
|
목선 |
|
|
여자상 | ||
허리 |
|
|
소매부리 |
|
|
서있는자세 |
|
|
선의 특징 |
|
|
세부묘사의 정도 |
|
|
목선 |
|
|
머리 특징 | ||
남자상 |
묘 사 |
해 석 |
머리 |
|
|
눈 |
|
|
귀 |
|
|
코 |
|
|
임 |
|
|
턱 |
|
|
여자상 | ||
머리 |
|
|
눈 |
|
|
속눈섭 |
|
|
눈썹 |
|
|
귀 |
|
|
코 |
|
|
입 |
|
|
턱 |
|
|
어께, 팔, 손, 손가락 | ||
남자상 | ||
어께 |
|
|
팔 |
|
|
손 |
|
|
손가락 |
|
|
여자상 | ||
어께 |
|
|
팔 |
|
|
손 |
|
|
손가락 |
|
|
인물상의 분위기와 겉모양 | |||
남 자 상 |
여 자 상 | ||
1 |
|
1 |
|
2 |
|
2 |
|
3 |
|
3 |
|
4 |
|
4 |
|
|
|
|
|
종이 위의 상의 위치 | |||||
남자: (circle) 해석 |
상 반 |
하 반 |
좌 반 |
우 반 |
가운데 |
|
|
|
|
| |
| |||||
|
종이 위의 상의 위치 | |||||
남자: (circle) 해석 |
상 반 |
하 반 |
좌 반 |
우 반 |
가운데 |
|
|
|
|
| |
| |||||
|
불균형 영역 |
묘사 |
그 영역과 관계되어 있는 해석 |
1. |
|
|
2. |
|
|
3. |
|
|
|
|
|
짙은 음영의 부분 그리고 또는 지우기 |
묘사 |
그 영역과 관계되어 있는 해석 |
1. |
|
|
2. |
|
|
3. |
|
|
4.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