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미호종개 출처:우리민물고기기르기 우리나라 민물고기중에 107번째 많은 종. 김 익수님께서 충청북도를 흐르는 미호천에서 수집했다하여 미호종개라 이름
지었다
학 명:Iksookimia choii (KIm & Son, 1984)
영 명:Miho spine loach 분 류:잉어목 미꾸리과 크 기:7cm 형 태:몸의 중앙은 굵지만 앞쪽과 뒤쪽은 가늘고 길다. 등지느러미살은 6~7개,뒷지르러미살은 5개이다. 입가에는 3쌍의 수염이 있다. 눈은 작고 그 밑에는 끝이 둘로 갈라진 안하극이 있다. 측선은 불완전하다. 수컷의 가슴지느러미 기부에 있는 골질반의 겉모양은 참종개와 비슷하지만 내부 구조는 골질반 안쪽에 톱니모양의 거치가 있어 잘 구분된다. 체색은 담황색 바탕에 갈색 반점이 있는데, 머리의 옆면에는
주둥이 끝에서 눈에 이르는 엇비슷한 암갈색의 줄무늬가 있
으며,몸의 옆면 중앙에는
12~17개의 원형 또는 삼각형 모양의 반점이 종렬하고 체측의 위쪽
에는 불규칙한 반점이 등쪽과
연결된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3줄의 갈색띠가
있고 꼬리지느러미의 기부 위쪽에는
작은 검은색 반점이 있다.
서식지:유속이 완만하고 수심이 얕은 곳의 모래 속에 몸을 파묻고 생활한다. 먹 이:생활사는 알려지지 않았다. 산 란:알을 낳는 시기는 5~6월로 추정된다. 분 포:우리나라 특산종으로 금강수계의 미호천과 그 인근 수역에만 분포한다. 일부출처:http://www.korea-fish.net/ http://kffish.chonbuk.ac.kr/ ![]() 참종개 출쳐:우리민물고기기르기 우리나라 민물고기중에 17번째 많은 종.
방언으로는
기름미꾸라지,기름장어,기름장이,기름쟁이,기름종개,기름종아,기름종아리,기름종어,
기름종이,기름종자,기름종지,기름창이,기름챙이,기름치,모래무지,모래무치,모래묻이,싸리미꾸라지,싸리미꾸리,쌀미꾸라지,쌀미꾸리,챙그랑챙이,소금장이,소금쟁이,소금챙이,소금치,송장고기,수레미,수수미꾸라지,수수미꾸리,수수종개,시궁챙이,양꼬리,양미꾸라지,양수라미,양수래미,양수레미,
양수리,양시래미,양시레미,양지레미,얼룩미꾸라지,용수라미,용두라지,종개,중미꾸라지,중미끄라지,지럼쟁이,지럼지,지럼챙이,지름도둑,지름미꾸라지,지름이,지름장어,지름장이,지름쟁이,지름젱이,
지름치,질럼지,쫑개,참기름쟁이,참기름창이,참기름챙이,챙그람쟁이,챙그람채이,챙그람챙이,챙그랑챙이,챙그럼쟁이,챙그럼쟁이,챙기름챙이,호랑이미꾸라지 등 미꾸리과의 비슷한 종이기에 같은 방언이 아주많다. 학 명:Iksookimia koreensis (KIM, 1975) 영 명: Korean spine loach 분 류:잉어목 미꾸리과 크 기:7~14센티미터 형 태:몸은 가늘고 길며 옆으로 납작하다.아랫입술은 가운데에 홈이 있어서 좌우로 갈라진다. 입수염은 짧고 세 쌍이다. 눈 밑에는 끝이 둘로 갈라지고 세울 수 있는 가시가 하나씩 있다. 옆줄은 불완전하여 가슴지느러미를 넘지 못한다. 등지느러미살은 7개이고 뒷지느러미살은 5개이다. 수컷의 가슴지느러미는
뾰족하고 골질반은 가늘고 길다. 몸의 바탕은 엷은 노란색이
지만 등은 짙은 갈색이고 배쪽은
하앟다. 머리의 양쪽 옆면에는 짙은 갈색의 작은 반점들이
아주 많이 흩어져 있도 몸통의 양쪽
옆면 중앙부에는 10~18개에 이르는 긴 삼각형의 가로무
늬가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늘어서 있다. 몸통의 등 쪽에는 구름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그것들을 가로지르는 두 세줄씩의 갈색 줄무늬가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위쪽 기부에는 작고 까만 반점이 뚜렷이 박혀있다. 서식지:하천의 중 상류,물살이 비교적 빠르고 물이 맑으며,자갈이 깔려 있는 곳에서 산다. 먹 이:잡식성이지만 물속에 사는 곤충을 주로 잡아먹는다. 산 란:알을 낳는 시기는 6,7월이지만 자세한 생태는 밝혀지지 않았다. 분 포:노령산맥 이북의 서해로 흐르는 여러 하천에 분포하는 우리나라의 특산종이다. 북한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 점줄종개 출처:우리민물고기기르기 우리나라 민물고기중에 36번째 많은 종.
방언으로는
기름미꾸라지,기름장어,기름쟁이,기름종개,기름종아리,기름종이,기름종지,기름창이,
기름챙이,기름치,뚜뚤래미,ㅁ래무지,밀대미꾸라지,보리미꾸라지,생그랑챙이,소금장이,소금쟁이,
소금챙이,소금치,송장고기,수레미,수수미꾸라지,수수미꾸리,수수종개,시궁챙이,싸리미꾸라지, 쌀미꾸라지,쌀미꾸리,양꼬리,양미꾸라지,양수라미,양수라지,양수래미,양수리,양시래미,양지레미,
용수라미,용수라지,중미끄라지,지럼쟁이,지럼지,지럼챙이,지름고기,지름도둑,지름장어,지름장이,
지름종이,지름지,질럼지,참기름장이,참기름창이,참기름쟁이,참지름챙이,챙그람챙이,챙그랑챙이,
챙기름챙이 등이 있다.
학 명:Cobitis lutheri (Rendahl,1935) 영 명:sand spine loach 분 류:잉어목 미꾸리과 크 기:7~12센티미터 형 태:몸은 가늘고 길며 옆으로 납작하다. 입수염은 네 쌍이다. 눈 밑에는 끝이 둘로 갈라지고 세울 수 있는 가시가 있다. 옆줄은 불완전하다. 등지느러미살은 7개이고 뒷지느러미살은 5개이다. 수컷의 가슴지느러미 기부에 있는 골질반은 원반형이다. 몸의 바탕은 엷은노란색이고 등은 짙은 빛깔이며 배가 하얗지만 암컷의 수컷의 얼룩무늬는 서로 다르다. 암컷은 몸이 크고 몸
양쪽에 세 줄씩의 검은 갈색 세로띠가 있으며 등쪽에는
12~14개의 반점열이 배쪽에는 긴
삼각형의 반점열이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두 반점열 사이에는 가는 반점열이 있다. 수컷은 몸이 작고 등 쪽에 검은 갈색 반점열 이 있으며 배쪽에는 두 줄의 세로띠가
있다.머리의 양쪽에는 암수 다 같이 주둥이의 끝에서부
터 눈을 지나는 짙은 갈색 띠가
비스듬히 있고 꼬리지느러미의 기부 등쪽에는 한 개의 까만 색
반점이 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그것들을 가로지르는 세 줄 안팎씩의 갈색 반점
열이 있다. 몸의 얼룩무늬는 계절에
따라서 변화가 심하다.
서식지:물살이 느리고 물이 비교적 맑으며 바닥에 모래나 자갈이 깔려있는 곳에서 산다. 먹 이:잡식성이지만 주로 물속곤충을 먹고 산다. 산 란:알을 낳는 시기는 6~8월로 추측된다. 분 포: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분포한다. 일부출처:http://www.korea-fish.net/ http://kffish.chonbuk.ac.kr/ |
다음검색
출처: .. 원문보기 글쓴이: 너와집나그네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