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를 들어 김장, 반찬, 식사, 놀이, 공부, 평생학습, 여행, 나들이, 문화생활, 여가생활, 신앙생활, 직업, 가사, 육아, 수발, 위생, 건강관리, 생일잔치, 운동, 안부확인, 벗…
이런 일로 개인을 도울 때
① 이런 일에 대한 당사자의 역량.자원, 경험.지식, 의지|주체의식, 희망.계획 같은 내부 요소들, 그 생태를 헤아립니다.
이런 욕구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했는지|하고 있는지, 어떻게 할 생각인지|하고 싶은지, 하면 좋을지, 묻습니다.
그 속에서 당사자를 이해하고 당사자의 저력.노력을 알아주고 격려.응원, 칭찬.감사합니다.
욕구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사자 안에서 회복.개발해야 할 요소, 유지.생동시켜야 할 요소, 개선.강화해야 할 요소에 주목합니다.
② 당사자가 이런 일로 둘레 사람과 어떻게 살았는지|살고 있는지, 어떻게 살아갈 생각인지|어떻게 살고 싶은지, 살면 좋을지 그 사람살이 생태를 헤아립니다.
이 생태에서 관계를 회복.개발, 유지, 개선.강화해야 할 사람을 찾습니다.
특히 가족이나 친척이나 동료나 이웃이나 아는 사람으로 자기 인간관계와 일상생활 속에서 당사자를 도와주었거나 도와줄 만한 사람을 찾습니다.
③ 당사자와 다른 환경 사이의 생태를 살핍니다.
특별히 이런 욕구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떤 공간 시설 제도 제품 서비스 조직 문화를 이용했는지|이용하고 있는지, 이용하고 싶은지|이용하면 좋을지 헤아립니다.
당사자가 여느 사람이 이용하는 공간 시설 제도 제품 서비스 조직 문화를 여느 사람처럼 이용하는 생태를 그려봅니다.
첫댓글 5월 13일에 고쳐 썼습니다.
울산에서 강의하면서 생략한 대목은 지우고, 설명을 보충한 대목은 그렇게 보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