볍씨에품종은 다양하다 .벼는 수도작읕 하고 있어 봄부테 물을관리하기 위하여 강물에 물을 논으로 끓어 들일수 있는 보도를 설치하고 논 농사를 짓기위한 강물이 논에 들어올 수 있게 준비를 하고 논을갈아 묘판을 설치하고 볍씨를 고루 뿌려 싹을 티우고 따스한 온기가 올라 묘목이 자라나는 상태를 보아가며 3월 중순부터 농기계를 활용 운영하고 있다
농기계 활용으로 지역에 따라 논에 물을 대고 난뒤에 농기계 손질과 논갈이를 하고 묘목을심기에 알맞도록 논에 물을대고 논 흙을 부드럽게 하여 벼 묘목판을 농기계 에 싫고 다니며 묘목 심을 곳을 파놓은 곳에 정확히 떨구고 심는 점확성과 다량에 묘목를 심고 가꿀수 있는 영농방법을 이용하고 있어 지난 세월보다 간편하고 다수확을 함으로서 쌀수확에 도움이 되고있다.
영농기술이 우농으로부터 기계농으로 수확기에 논에서 베어말린 볏단을 지계로 옮겼던 등짐이 없어지고 수화기에는 논물을 떼고 물을 뺀뒤 영농기계 트랙터로 벼를베고 즉시탈곡을 하여 포대에 벼를 담고 말려서 정미소에서 햅쌀을 생산하기 때문에 쌀에 돌이 들어갈수가 없어 밥을해도 돌을 깨물어 이를 다치는 일이없고 일손도 여유가 있고 빠르게 할수있고 건강 생활에 도움이 되고있다
쌀과 찹쌀은 수도작으로 씨뿌리고 묘목 관리를 할 때부터 다르게 하고 있다 벼 수종 부터 가려서 따로 심고 가꾸고 수확을해야한다.묘목이 자라 나면서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농촌생활이 익숙해진 농부들은 쉽게가려낼수있다
쌀밥과 찹쌀밥 은 구별하기 가 쉽다 쌀밥은힌 색이며 밥솟에서 주걱으로 밥을푸기가 쉽고 잘풀수있다
찹쌀 밥은 밥전체가 챃져서 밥솟에서주걱으로 밥을풀때 주걱에 달라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 히이있고 쌀밥보다 찹쌀밥은찰져서 밥맛이 더좋은것이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