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조선의 문인이자 정치가인 번암(樊巖) 채제공은 어려서부터 글을 잘 짓는다는 소문이 자자했다. 예닐곱 살 무렵에 집안 어른이 번암에게 “김 아무개 집안의 아이가 시를 잘 짓는다고 이름이 났는데, 그 아이가 ‘큰 안개가 남산을 먹었네.[大霧食南山]’라는 시구를 지었다더라. 너는 이 수준에 미칠 수 있겠니?”라고 물으니, 번암이 “무엇이 어렵겠습니까?”라고 대답하고는 다시 토해 남산이 되었네.[復吐爲南山]”라는 구절을 지었다고 한다. 이것은 19세기 시인 조언림(趙彦林)의 『이사재기문록(二四齋記聞錄)』에 나오는 일화이다.
24세의 나이로 과거에 합격하여 비교적 평탄한 관직 생활을 하던 번암은 1754년 정월에 북평사(北評事)로 부임하게 된다. 북평사는 함경도 병마절도사의 보좌관으로 예로부터 글솜씨가 뛰어난 문관(文官)이 임명되는 자리였다. 번암은 육진(六鎭)의 변방을 순시하면서 강대국에 억눌린 약소국의 현실에 비분강개하기도 하고, 차가운 삭풍(朔風)을 무릅쓰고 업무를 수행하는 나그네의 쓸쓸한 회포를 토로하기도 하였다.
음력 4월에 이르러 비로소 임무를 마치고 귀경길에 오르는데, 돌아가는 길인지라 비교적 여유롭게 명승지를 찾아 유람할 수 있었다. 함경도 명천(明川)의 명산인 칠보산(七寶山)에 들어가 기암괴석을 감상하였으며, 안변(安邊) 바다에 배를 띄워 국도(國島)를 유람한 뒤에, 고성(高城)의 삼일포(三日浦)를 둘러보고 금강산에 들어갔다.
번암이 금강산 입구에 도착한 것은 음력 4월 14일이다. 금강산의 동남쪽 백천교(百川橋)를 건너 유점사(楡岾寺)에서 하루를 묵고, 만경동(萬景洞) 계곡을 거쳐 마하연(摩訶衍)을 방문하여 하루를 묵으면서 보름달이 비치는 중향성(衆香城)의 절경을 감상한 뒤에 정양사(正陽寺)에 이르렀다. 정양사에 도착한 날은 하루 종일 비가 내리고 운무(雲霧)가 짙게 끼었다.
내금강(內金剛)의 전경(全景)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는 정양사에 도착했건만, 궂은 날씨로 일만 이천 봉을 볼 수 없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하늘의 도움인가? 저녁 무렵 비가 그치고 운무가 잦아들기 시작하였다. 이 시는 바로 이 순간, 선녀의 하늘거리는 옷자락 같은 구름 사이로 살짝 드러난 일만 이천 봉의 자태를 표현한 것이다. 일만 이천 봉을 보고자 갈망하는 나그네의 애타는 심정, 보여줄까 말까 숨바꼭질하는 듯한 조물주의 장난스러움, 낙담한 찰나 드러나는 선녀의 어여쁜 얼굴, 이 모든 것이 절묘하게 묘사되어 있다.
비와 운무로 심술을 부리던 날씨가 이튿날 맑게 개었다. 아침 일찍 일어난 번암은 정양사의 헐성루(歇惺樓)에 올라 일만 이천 봉의 전경을 마주한 감회를 다음과 같이 읊었다.
일찍 일어나 난간 기대니 처음 시야 툭 트이고 早起憑欄始豁然 골짝 구름 피어오르는 드넓은 창공엔 해가 걸렸네 洞雲寥廓日輪懸 맑고 밝은 본체가 일찍이 손상된 적이 있었던가 虛明本體何曾損 변함없이 하늘로 우뚝 솟은 일만 이천 봉이여 依舊叢霄萬二千
우리는 번암의 시를 통해 아름다운 금강산의 경치를 상상할 수 있다. 하지만 백 번 상상한들 한 번 직접 보는 것보다는 못한 법. 금강산을 다시 유람할 수 있게 될 날을 목을 빼고 기다려 본다. |
첫댓글 사람은 겸손할수록 덕이 생기고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입니다
지금의 우리나라는 누구를 위하여
서로를 탄핵하고 헐뜯고 있는지요?
사람다운 세상은 언제 오려는지 기가 막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