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노벨경제상 수상자(2017 Nobel Economics Prize Winner) 5

리처드 세일러(Richard Thaler)의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 VS. 1995년 노벨경제상 수상자(1995 Nobel Economics Prize Winner) 로버트 루카스(Robert Lucas)의 합리적 기대/ 예상 학파(Rational Expections school)

로버트 루카스(Robert Lucas)
※ 이 글은 상식으로 알아둘 필요가 있는 글을 선택하여 영어작문 능력과 영어독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드리고자 원문에 사용된 구조와 어휘의 의미를 살려 번역하여 쓴 글입니다.
2017년 노벨경제상 수상자인 리처드 세일러 등이 주도한 ‘행동경제학’과 ‘너지 이론’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1995년 노벨경제상 수상자인 로버트 루카스 등이 이끈 ‘합리적 기대/ 예상 이론’을 살펴볼 필요가 있어 이 글을 씁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Man is a social animal.)” “인간은 합리적 동물이다. (Man is a rational animal.)”
(이상의 문장에 주어로 사용된 “man”은 불가산명사(uncountable noun)로 “일개인(一個人: an individual human)”이나 “한 성인 남성(an adult male human)”이 아니라 “인간 혹은 인류 전체(human beings collectively; humanity; mankind; humankind)”를 의미합니다.) 바로 이러한 믿음에 기초한 여러 가지 이론 중 하나가 ‘합리적 기대/ 예상 이론’이 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이론은 완전고용과 가격안정을 추구하기 위하여 정부의 재정정책과 화폐정책 사용을 지지하였던 케인스주의에 반대하는 반(反)-케인스주의(anti-Keynesianism) 이론으로 간주됩니다.
경제학에서 ‘합리적 기대/ 예상’은 모형-일치 기대/ 예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 모형 내부에 있는 경제주체들이 모형을 알고 대체로 모형에서 예측하고 있는 것을 합당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가정되기 때문입니다. (In economics, ‘rational expectations’ are model-consistent expectations, in that agents inside the model are assumed to know the model and on average take the model's predictions as valid.)
‘합리적 기대/ 예상’은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모형의 내부적 일관성을 보증합니다. 모형 내부에서의 일관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정보 집합 관련 무작위 과정들의 본질과 모형 구조가 주어진 경우, 그 모형으로부터 경제적으로 관련된 변항들의 미래 가치를 예측하는 것이 그 모형 내에 있는 의사결정자들의 예측과 동일할 것으로 가정됩니다. (Rational expectations ensure internal consistency in models involving uncertainty. To obtain consistency within a model, the predictions of future values of economically relevant variables from the model are assume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decision-makers in the model, given their information set, the nature of the random processes involved, and model structure.)
합리적 기대 가설은 특히 많은 현대 거시경제 모형에서 사용됩니다. (The rational expectations assumption is used especially in many contemporary macroeconomic models.)
오늘날의 거시경제 모형들 대부분은 불확실성 하에서 많은 기간들에 걸쳐 행해지는 결정들을 연구하기 때문에, 미래 경제 조건들에 관한 개인과 회사 그리고 정부기관의 기대가/ 예상이 모형의 필수적 부분입니다. (Since most macroeconomic models today study decisions under uncertainty and over many periods, the expectations of individuals, firms, and government institutions about future economic conditions are an essential part of the model.)
합리적 기대를/ 예상을 가정하는 것은 경제주체들의 기대가/ 예상이 잘못될 수도 있지만 장기간에 걸쳐 본다면 대체로 옳다고 가정하는 것입니다. 달리 말하자면, 미래를 완전하게 예측할 수는 없지만, 경제주체의 기대가/ 예상이 체계적으로 편향되어 있지도 않을 것이며 경제 변항들에 대한 기대를/ 예상을 형성하는데 있어 모든 관련 정보들을 집단적으로 사용하지도 않을 것으로 가정됩니다.(To assume rational expectations is to assume that agents' expectations may be wrong, but are correct on average over time. In other words, although the future is not fully predictable, agents' expectations are assumed not to be systematically biased and collectively use all relevant information in forming expectations of economic variables.)
기대를/ 예상을 모형화하는 이러한 방식은 원래 1961년 존 에프 무스(John F. Muth)에 의해 제기되었다가 이후에 로버트 루카스 2세(Robert Lucas, Jr.)가 거시경제학에 이 방식을 사용하였을 때 큰 영향력을 지니게 되었다. (This way of modeling expectations was originally proposed by John F. Muth (1961) and later became influential when it was used by Robert Lucas, Jr. in macroeconomics.)

거시경제학에 대한 신고전주의 접근법을 발전시키는데 있어 중심적인 인물로 널리 인정받는 시카고 대학 교수인 루카스는 1995년에 노벨 경제상을 수상했다. (Widely regarded as the central figure in the development of the new classical approach to macroeconomics, Lucas,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received the Nobel Economics Prize in 1995.)
<참고문헌> https://www.voanews.com/a/nobel-economic-science-thaler/4062299.html https://en.wikipedia.org/wiki/Rational_expectations https://en.wikipedia.org/wiki/Robert_Lucas,_J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