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랑나비과 무늬박이제비나비와 호랑나비 할아버지 따라온 사마귀 그 사마귀풀꽃에 고마리 그리고 붉어가는 장산목련 열매.
1 ~ 4 호랑나비과 흰점박힌 높이나는 습성의 희귀한 무늬박이제비나비. 무궁화 꿀도 좋아한다. 애벌레 근처의 산초군락지에!
5 ~ 6 호랑나비가 고마리 풀잎에 앉기도 하네....산란채비 하는 것인지 동면 준비하는 것인지 특이한 행동을 한다.
7 ~ 8 사마귀가 할아버지 모자에 날아와 끝까지 따라왔다. 인간이 모르는 생물들의 관계를 관찰해 보자.
9 ~ 10 사마귀풀꽃 수질정화기능 우수한 식물이다.연꽃처럼 밤에는 꽃을 오므려 지샌다. 이곳의 자생야생화다.
11 ~ 12 고마리꽃 군락지를 장산습지의 야생화 화원으로 여끼와 물봉선 감자개발나물꽃을 보완하여 천상의 화원 만든다.
13 ~ 14 장산목련의 빨간열매를 해운대 초등학교 생태환경교육의 3년동안 연구해 갈 특별한 과제로 선정해 둔다.
15. 토양과 물과 공기와 면역력 연관된 익모초에 대하여는 신도초등학교에서 이미 과제로 선정하여 진행중이다.
16. 어린이들의 호기심 눈으로 생물다양성을 관찰하고 꽃과 곤충들 그리고 물속 생물들이 어떻게 관계하는지 보고 들을 것이다.
※ 물장군과 금개구리 고추잠자리를 중심으로 멸종 희귀생물들 해운대초등학생들이 보존할 생물자원 대상으로 목록에 담는다.
첫댓글 아직은 뜨거운 태양이지만 바람도 선선하고 가로수 벚나무 낙엽을 떨구니 가을이 점점 들어오는 시기가 되었습니다. 장산목련 열매 붉기가 자목련이랑 비슷한 듯 우아합니다.^^
호랑나비과의 나비가 많다는 것은 그곳이 그만큼 재야생화의 정도가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청정지역으로 변했다는 뜻이다. 인간에 의한 어떤 과학적 측정보다 이런 생물의 활동이 정확한 자연도를 설명하는 것이다.
내년에는 이에 맞는 모니터링을 실시 생물다양성과 생태환경의 청정함을 증명하기 바란다.
호랑나비가 많아졌음은 숲이우거지고 계곡물환경이 아열대를 닮아가는게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