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이천의 쌀 자채 올벼 품종 (襄陽 細稻)
신대우 선생이 1796년 지은 이덕윤 선생의 행장에서 여주 이천 지역의 자채 올벼를 소개하였습니다.
이덕윤 선생은 양주 능금나무 마을(능금 마을)에 사셨는데 집안 노복에게 농사를 짓게 하였습니다.
올벼 품종은 ‘양양(襄陽) 지역’의 ‘자채 올벼(細稻)’이며 대대로 물려온 것이라고 합니다.
이덕윤 선생은 이밖에도 대추, 밤, 능금, 배 등 과일과 여러 채소를 재배하였고,
단풍나무, 참나무, 뽕나무, 버드나무를 심었다고 합니다.
낙엽도 봄에 끍어 가게 하여 나무를 잘 길렀다고 합니다.
그래서 경제적으로 여유 있었다고 합니다.
成海應(1760-1839) 선생은 ‘자채 올벼’를 소개하였습니다.
자채 올벼는 까끄라기가 있고 이삭이 필 때는 색깔이 조금 희고 익으면 누렇다. 토양과 기후는 되올리(戎早稻) 벼 심는 것과 같다.
*** 인터넷에 실린 양주소놀이굿에는
강화와 통진에 '녹두베'가 있었다는 민요 구절이 전한다고 합니다.
李德胤(1717-1791) 행장, 신대우 지음
申大羽(1735-1809),『宛丘遺集』,卷九,男縉綽絢編校,行狀[二]
「李先生行狀」 a251_205a
경기도 양주 능금나무 마을에 선생의 선영이 있고 묘지 아래에는 기름진 밭 몇 정보가 있다. 해마다 담당하는 노복을 시켜 농사 지어 수확하도록 하였고 제사 이름을 잘 알도록 하여 제사가 다가오면 수확한 것을 납부하도록 시켜서 제사상의 곡식이 풍부하도록 하였다. 밭에 심는 좋은 종자들은 대대로 내려오는 것인데 예를 들어 양양(襄陽) 지역의 자채 올벼(細稻) 같은 것이 있다. 노복이 감복하여 충직하고 근면하여 직접 관리하지 않는다고 정성을 다하지 않는 경우가 없다. 대추, 밤, 능금, 배 등 과일과 여러 채소를 재배하였는데 좋은 품종이 많고 과수원과 밭에 심었기 때문에 일년 제사에 충당하여도 끊이지 않았다. 일년 가운데 묘 집에 머무는 날이 많고 아주 심하게 아프지 않으면 아침마다 묘소에 가서 절을 올리는데 집에서 사단에 절을 올리는 것처럼 하였다.
어머니 제삿날이 섣달 그믐날 하루 전인데 제사를 마친 뒤에는 항상 묘지에 가서 제사 지냈다. 묘지의 넓이는 가로 세로 몇 십 걸음이며 깨끗한 모래를 깔고 호미로 잡풀을 뽑고 묘지 주변에 심은 나무들 이름도 잘 알고 있었고 봄이 온 뒤에야 나뭇잎을 긁는 것을 허락하였기 때문에 나무들이 날마다 크게 잘 자랐다. 마을에 들어서면 푸른 전나무와 푸른 소나무가 골짜기를 가득 채웠고, 단풍나무, 참나무, 뽕나무, 버드나무가 길 양쪽에서 감싸서 가렸고, 덩굴나무와 칡덩굴이 감싸고 올라가고, 깊은 골짜기에는 새소리가 합창하듯이 지저귀었다. 묘지 집 위에 작은 언덕이 있는데 여기에서 삼각산과 도봉산을 바라보면 마치 송편을 쌓아놓은 것처럼 보이는데 선생이 이 풍경을 좋아하여 지팡이를 짚고 올라가서 공자가 젊은 학생들을 데리고 목욕하고 시원하게 부는 바람을 쐬는 기분을 느껴보았다.
楊州之柰洞,先生先兆也,墓下有良田數頃,歲令守奴耕耘收穫,秩識所需祀名,臨祀輸入,以供粢盛。所藝嘉穜,閱世相傳,如襄陽細稻之類是也。守奴輩服化忠勤,不敢以不睹弗精弗盡,棗栗檎梨及諸蔬苽,亦多名品,植于園圃,一年籩豆之實,未嘗乏絶。歲中在墓舍爲多,非甚疾,朝日拜墓,如在家拜廟爲也。
母夫人忌在小除,祭旣徹,仍作墓祀行以爲常。墓庭數十步,被以淨莎,鋤去雜艸,丘木無不目識而指名,待春發方許收蘀,樹木日以暢茂。入其洞,翠檜、靑松倚實其巓,楓、櫟、桑、柳挾路翳薈,藤葛縈虆,幽鳥相和。舍後小岡,平臨三角、道峯如飣餖然,先生樂之,有時扶筇涉陟,悠然有沂雩之想也。
* 참고 자료 : 자채 올벼
자채 올벼는 까끄라기가 있고 이삭이 필 때는 색깔이 조금 희고 익으면 누렇다.
토양과 기후는 되올리(戎早稻) 벼 심는 것과 같다.
細稻 (자채) : 有芒,初發穗時色白,熟則黃。土宜種候,同戎早稻。
成海應(1760-1839),『硏經齋全集』,外集,卷五十四,草木類
「糓品」 a277_476a
* 稻 벼
戎早稻 되올리○一名氷稻어를것시 無芒色黃。稃薄性軟。宜膏沃之地。三月上旬解氷初下種。
細稻 有芒,初發穗時色白,熟則黃。土宜種候,同戎早稻。
小稻 져광이 芒短。初發穗時色微白。熟則黃赤。蔕靭耐風。土宜種候同戎早稻。
鷄鳴稻 우리 無芒色微黃。寒食後下種。早熟忌雀。
柳稻 버를올리 有芒色微黃。種候同鷄鳴稻。差晩種則無驅雀之勞。
馬銜稻 자갈벼 有芒色微白。湖南野郡種之。以上六種。並早稻類。六七月熟。卽中國所稱麥爭塲,蟬鳴稻之類也。
健稻 예우디 芒短。初發穗時色微白。熟則芒赤稃黃。粒瑩白。作飯甚嫩。蔕靭性健耐風。宜鬆脆之地。寒食後下種。
倭子稻 왜 芒短。初發穗時色靑。熟則芒黃稃微白。粒瑩白。作飯頗硬。性健耐風。宜鬆脆水冷之地。
鐵戎早稻 쇠노되올리 無芒。初發穗時色靑。熟則黃。
黃金子 황금 芒長。初發穗時色白。熟則深黃。粒大而長。色瑩白。作飯甚佳。嶺南人喜種之。
靑戎早稻 푸렁되올이 無芒色黃。寒食後十餘日下種。釀酒甚佳。
中實稻 듕실벼 芒白稃黃。
松子稻 잣다리 無芒色黃赤。
七升稻 칠승벼 無芒色紫。舂一斗。可得七升故名。
綠稻 녹도벼 有芒色黃。以上九種。並次早稻類。八月熟。
雀稻 새노리 芒長。初發穗時色赤。熟則微赤。耐風宜水冷之地。又有一種芒短。初發穗時色靑者。
黑雀稻 거믄사로리 芒短。初發穗時色黑。熟則稃微白。着粒甚密。性健耐風。不擇地下種。
高雀稻 고새새노리 芒長。初發穗時色白。熟則微黃。
牛戎早稻 쇼되올리 芒長。初發穗時色靑。熟則白。稃薄得米甚多。
鐵稻 쇠노리 芒長。初發穗時色白。熟則芒黃稃微黃。粒大而長。性硬不宜飯。
晩倭子稻 늣왜 芒短。初發穗時色微白。熟則芒黃稃白。
東阿稻 동아노리 芒短。初發穗時色靑。熟則黃。性健耐風。不擇地下種。
牛得山稻 우득산도。亦名두이리。 芒長色赤。粒白而小。作飯頗硬。蔕弱而耐風。膏瘠皆宜種。
白稻 흰검부기 芒長而赤。稃微白。土宜同牛得山稻。
黑稻 거믄검부기 芒長稃微黑。土宜同牛得山稻。
銅鼎稻 동솟리 芒長。稃白而薄。土宜同牛得山稻。
靈山戎稻 령산되오리 無芒。初發穗時色靑。熟則微白。性健耐風。
黑眼雀稻 고새눈검이 芒長。初發穗時色白。熟則黃莖節黑。粒微白。作飯頗硬。
纍子稻 다다기 芒長而曲。色白粒香嫩。俗名御飯米。又一種色白名銀稻。
倭水稻 예슈리 有芒色赤。寒食以後至芒種。皆可下種。宜移秧。
蜜稻 밀다리 無芒色深赤。非膏沃田。不可下種。作粥飯餠皆佳。
棗稻 대초벼 無芒色深赤。最宜移秧。
海南稻 남벼 無芒色紫。耐風霜。湖南人喜種之。
山稻 산도 無芒。初發穗時色靑。熟則微白。性健耐風。宜瘠地早下種。粒赤而硬。作飯不甚佳。此卽占城國稻。宋時取三萬斛。頒諸道後。亦傳種於我東。可以備水旱者也。以上十九種。並晩稻類。九月熟。
九郞糯 구랑 無芒。稃微赤。
鐵糯 쇠노 芒短。初發穗時色靑。熟則黃。稃薄。性健耐風。膏瘠皆宜種。
紅糯 불겅 有芒色赤。糯之最美者也。
駁糯 어룽 有芒色駁。亦稱倭糯。純黑者名猪糯。
纍子糯 다다기 與纍子稻色同而粘。
粘山稻 산도 無芒色白。蔕弱而耐風。宜種高燥之地。八月上旬熟。以上六種。並粘稻類。盖稻者漑種之緫稱。而黏者爲糯。不黏者爲粳。似粳而粒小者爲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