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
양자기술 개발,
때 놓치면 영원한 2류 국가 된다
중앙일보
2023.06.29. 목요일 30面
정부 ‘2035년
양자경제 중심 국가’
전략 발표
처음부터 대기업들과
목표 뚜렷한 협업 해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그제
‘대한민국 양자(量子)과학기술 전략’을
발표했다.
한국이 독자 기술로
양자컴퓨터를 개발·활용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양자센서로
해외시장을 선점하며,
국방·첨단산업과 융합해
2035년 글로벌 양자경제 중심 국가 시대를
열어가겠다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2035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최소 3조원을 투자해
양자기술을 선도국의 85% 수준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날 전략 발표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은
“퀀텀(양자) 기술은 디지털 기반 사회를
더 발전시키고 경제·과학·의료·보안·에너지
모든 분야에서 엄청난 혁신을 가져올 것이지만
기회와 도전을 동시에 안겨줄 것”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가 밝힌 전략과
윤 대통령의 말처럼
양자과학기술은 인류의 삶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21세기 과학기술의 발전은 파괴적이다.
발전의 속도가 빠르다 못해
기존 기술과 산업을 무력화하고
새로운 생태계를 열기 때문이다.
‘파괴적 기술(Disruptive Technology)’의
쓰나미에 제때 올라타지 못하면
영원한 2류로 남을 수밖에 없다.
양자컴퓨터는
수퍼컴퓨터가
1만 년 걸려 할 연산을
단 3~4분 만에 끌낼 수 있다.
이 가공할 능력의 여파는 상상 이상이다.
지금까지 기술로 해결할 수 없었던
예측과 계산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새로운 세계를 열 수 있다.
양자컴퓨터의 연산 능력은
지금까지의 디지털 암호체계도
무력화한다.
이 때문에 금융을 필두로 전 산업 분야의
보안에 일대 변혁이 불가피해진다.
그러나 한국의 현실은 우울했다.
미국은
IBM과 구글이 양자컴퓨터를 개발했고,
중국도 2018년에 이미
세계 최초의 양자통신위성인 묵자(墨子)를
통한 양자정보통신에 성공했다.
반면에
한국의 양자과학기술 수준은 선도국 대비
63% 수준에 불과하다.
정부의 비전대로
‘2035년
글로벌 양자경제 중심 국가’에
도달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 있다.
우선 한국 과학기술의 고질병인
‘R&D 패러독스’에 갇히지 말고
사업화까지 이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삼성 등 국내 대기업들과
처음부터 목표가 뚜렷한 협업을 해야 한다.
대통령이 기업 총수들과 직접 머리를
맞대지 않으면 안 될 일이다.
미국 땅에서
양자컴퓨터 아이온큐를 만든
김정상 듀크대 교수와
같은 해외 한국 석학들과의
긴밀한 네트워크도 필수다.
트렌드에만 올라타는 엉터리 전문가들을
경계하라는 조언도 나온다.
2년 전 50여 명에 불과했던
국내 양자과학기술 전문가들이
최근 수백 명 수준으로 거론된다.
챗GPT가 화두로 떠오르니 서점가에
이른바 챗GPT 전문가들 책이 넘쳐나는 것과
같은 양상이다.
아직은 멀어 보이지만,
꼭 가지 않으면 안 될 길이 바로
양자경제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