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디건 웰시 코기 (Cardigan Welsh Corgi)
► 이 명 : 웰시 코기 카디건
► 외 관 : 카디건 웰시 코기의 크기는 체고 26∼32㎝, 몸무게는 수컷 13∼18kg, 암컷 11∼15kg정도이다. 몸은 작지만 튼튼해 보이고, 다리는 짧으면서 단단하다. 귀는 꼿꼿하게 서 있다. 털의 길이는 중간 정도이고 촘촘하다. 털빛깔은 붉은색, 검은색, 얼룩무늬 등이고, 푸른빛이 돌며 황갈색이나 얼룩 점이 있는 것도 있다. 꼬리는 펨브룩에 비해 긴 편이며, 여우처럼 두껍고 긴 털로 덮여 있다.
► 설 명 : 카디건 웰시 코기의 성격은 활동적이고 민첩하며 점잖은 편이다. 주인에게 충실하고 애정이 깊으며 적응을 잘한다. 경계심이 많아 집도 잘 지킨다. 대담하지만 순종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충실하고 애정이 많으며 온순하기 때문에 어린이들과도 쉽게 친숙해진다. 모르는 사람을 경계하는 성향이 있으므로 훌륭한 번견이 되기도 한다. 평균 수명은 10~12년 정도이다. 한배에 낳는 새끼 수는 3~7마리 정도이다.
활동성이 많은 목양견 출신으로 운동량만 채워줄 수 있다면 실내생활도 잘 한다.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 등에서도 쉽게 기를 수 있으며, 마당이 딸려있는 시골의 단독주택이나 전원주택에서 낮에는 실외에서 마음껏 뛰어 놀게 하고 밤에는 실내생활을 시키면서 키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펨브로크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연령층에서 쉽게 기를 수 있다. 다만 고집스러운 면도 있고, 놀이에 빠져들면 쉽게 그만 두려고 하지를 않는 등 어느 정도의 케어가 필요로 한 만큼 훈련과 놀이를 자주 함께 해 줄 수가 있는 연령층에서 기르는 것이 보다 더 효율적이다. 영국 등 유럽에서는 노인층에서 펨므로크와 마찬가지로 반련견으로도 선호되고 있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강한 편이다. 다만, 각막염이나 결막염, 망막박리, 녹내장 등 안과 관련 질병이나 요로결석 등에 잘 노출되며, 닥스 훈트처럼 다리가 짧고 허리가 길어서 디스크에 걸리기 쉬우므로 이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외부 기생충 구제도 잘 해 주어야 한다.
식탐이 다소 많으므로 식단을 짜서 식단에 맞게 사료를 급여를 하고, 몸무게를 자주 체크하여 식사량도 조절 하여야 비만견이 되지 않는다. 비만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간식은 자제하는 것이 좋으며, 운동량이 아주 많으므로 충분한 운동을 시켜 준다면 비만을 예방할 수도 있다. 목양견의 후예로 달리는 것을 아주 좋아하므로 마음껏 달릴 수가 있는 환경에서 충분한 운동을 시켜 주는 것이 좋다. 활발하므로 속보로 30분 정도 걷는 산책을 1일 2회 시켜주는 것이 좋다.
파양률이 높은 견종으로 유명한데 이는 심한 털 빠짐과 많은 운동량이 주 원인으로 꼽힌다. 귀여운 외모만 보고 입양을 하지만 한시라도 가만히 있지 않고 움직이고, 장난을 좋아하며, 털갈이 시기가 아니더라도 연중 한 주먹씩 빠지는 털을 견디지 못하고 파양을 한다고 한다. 물론, 실외에서 기른다면 털 빠짐은 그렇게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비교적 다양한 기후 조건에서도 잘 견딘다. 추위보다는 더위에 조금 약한 편이다. 고온 다습한 우리나라의 여름철엔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 기 원 : 카디건 웰시 코기(Cardigan Welsh Corgi)의 원산지는 영국이다. 웰시 코기에는 카디건 웰시 코기와 펨브룩 웰시 코기(Pembroke Welsh Corgi) 등 2가지 변종이 있다. 카디건은 역사가 오래 되었으나, 일반에게 알려진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이것은 웨일스 지방의 카디건이란 마을에서 빈민들이 목양견으로 이용하면서 외부로 알려지는 것을 피했기 때문이다.
기원전 1,200년경 중앙 유럽에서 켈트족과 같이 웰즈에 온 개라고 한다. 따라서 그 역사는 대단히 오래 되었고 약 4,000년 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록으로 나타난 것은 웰즈의 920년도 법규에 가축견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 개가 일반에 알려지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웰즈의 카디건샤의 구릉지대에 살던 빈민들에게 유용한 개였기 때문에 모두에게 알려지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933년 이후에 영국왕이 된 죠지 6세가 요크공이라고 불리던 때에 궁중에서 사육하였던 것이 구전되어 인기 견종이 되었다. 팸브로크와의 차이는 카디건이 긴 털을 하고 있으며, 여우과 같은 꼬리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귀 끝은 약간 뾰쪽하며, 모색이 블루 말인 것도 있다. 모색이 순백색이면 실격이 되는 것 이외에 스탠다드는 거의 없다.
► 비 고 : 카디건 웰시 코기는 2016년 10월 30일자로 FCI(세계 애견연맹) 분류 그룹 1 쉽독 그리고 캐틀 독(스위스 캐틀 독 제외) 섹션 1 쉽독 스탠다드 No. 38로 등록이 되었다. 이 외에도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각종 애견 단체에 대부분 등록이 되어 있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카디건 웰시 코기의 크기는 체고 26~32㎝, 체중 11~18kg 정도되는 중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조금 더 큰 편이다. 일반적으로 목양견을 의미하는 허딩 그룹에 속하며, 덩치와는 달리 주로 소몰이를 하던 견종이다. 키가 작아서 소의 다리 사이로 빠져 다니면서 소를 잘 몰았다고 하며, 소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에는 다리를 살짝 물어서 움직이게 하였다고 한다. 외모는 다부지면서 강인하고, 움직임이 많고 지구력이 우수하다. 체고에 비해 체장이 길며, 여우 꼬리처럼 털이 풍성한 꼬리를 몸통과 평행하게 들고 있다. 신체 비율은 얼굴 앞면의 길이와 머리 길이의 비율이 3 : 5 정도이다.
► 머리 : 머리의 형태와 모습이 여우와 비슷하게 보인다. 두개골은 넓은 편이며, 귀 사이가 평평하고, 눈 윗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반구(돔)형에 가깝다. 스톱은 적당히 드러나 있다.
• 코 ; 코는 검은색이고, 약간 튀어나온 편이며, 뭉툭하지는 않다.
• 입 : 주둥이는 코로 갈수록 폭이 적당히 좁아지고, 이빨은 튼튼하며, 윗니가 아랫니를 덮고 꽉 맞물리면서 턱과 정사각형을 이루는 협상교합이다. 아래턱은 윤곽이 뚜렷하다. 턱은 튼튼하지만 튀어나오지는 않았다.
• 눈 : 눈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다. 눈빛은 맑고 다정하면서도 기민하며, 주의 깊은 인상을 풍긴다. 눈가는 윤곽이 명확하며, 미간이 넓은 편이다. 눈의 색은 짙은 색이거나 피모의 색과 혼합된 색이 적절하며, 테두리는 짙은 색이다. 눈 테두리의 색이 옅은 경우에는 결격사유에 해당이 된다. 피모가 청색의 대리석 무늬 얼룩(merles)인 경우에 한하여 눈 한 쪽 또는 양쪽이 흐린 청색(pale blue), 청색(blue)이거나 청색 반점(blue flecked)이 형성되어도 허용된다.
• 귀 : 귀는 곧게 서 있고, 몸 크기에 비해 귀가 큰 편이다. 귀 끝은 약간 둥글며, 뿌리는 적당히 넓은 편이다. 양쪽 귀는 8㎝ 정도 떨어져 있고, 코에서부터 눈 사이로 일직선을 그었을 때 귀 끝이 양 옆으로 약간 벌어진 모양이다. 귀를 뒤로 젖히면 목덜미에 납작하게 눕힐 수 있다.
► 목 : 목은 근육질이고 체구에 비해 잘 발달되어 있으며, 비스듬한 어깨 위에 탄탄하게 자리하고 있다.
► 몸통 : 몸통은 상당히 길고 튼튼하며, 등선은 평평하다. 허리의 윤곽이 뚜렷하고, 가슴은 적당히 넓은 편이며, 흉골이 눈에 띄게 발달되어 있다. 앞가슴은 깊으며, 늑골은 충분히 휘어져 있다.
► 꼬리 : 꼬리는 여우 꼬리와 비슷한 모양으로 뿌리가 몸통과 일직선상에서 시작되며, 적당히 긴 편으로 늘어뜨리면 땅에 닿거나 거의 닿는 수준 정도이다. 서 있을 때는 꼬리를 아래로 내리고 있으며, 이동할 때는 약간 위로 들어 올리지만 둥글게 말아서 등 위로 올리지는 않는다.
► 사지 : 사지는 뼈가 튼튼하며, 다리는 짧지만 몸통은 바닥과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앞다리의 어깨는 뒤로 충분히 젖혀져 있고, 앞다리 상부와 거의 90도로 만나며, 근육질이다. 무릎관절은 몸통 측면과 밀착되어 있다. 전완은 둥그스름한 가슴 형태에 맞게 살짝 휘어진 형태를 띠고 있는 모습이다. 앞발은 둥그스름하며, 발가락은 밀착되어 있다. 앞발은 큰 편이며, 발바닥은 패드가 두툼하게 형성되어 있다. 발의 방향이 약간 바깥쪽으로 치우쳐 있다.
뒷다리는 튼튼하고, 근육이 발달된 허벅지 상부와 하부가 충분한 각을 형성하고 있으며, 발까지 뼈 전체가 탄탄한 편이다. 다리 길이는 짧고, 발목은 서 있을 때 옆이나 뒤에서 보면 바닥과 수직이다. 뒷발은 둥그스름하며, 발가락은 밀착되어 있다. 뒷발은 크기가 큰 편이며, 패드가 두툼하게 형성되어 있다.
► 털과 색 : 털은 길이가 짧거나 중간 정도이며, 질감이 비교적 거친 편이다. 이중모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하모(속 털)도 잘 발달되어 날씨 변화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웨이브 진 겉 털 보다는 직모가 선호된다.
허용되는 모색은 블루 멀(blue merle), 브린들(brindle), 적색(red), 세이블(sable), 브린들 포인트가 있는 삼색, 적색 포인트가 있는 삼색이다. 다만 위의 모색에 머리, 목과 가슴, 몸통 하부, 다리, 발에 일반적인 흰색 무늬가 있어도 무방하며, 꼬리 끝이 흰색이어도 허용된다. 단, 몸통이나 머리에 흰색이 두드러지게 많은 면적을 차지하지 말아야 하며, 눈 둘레가 흰색으로 둘러싸인 형태가 아니어야 한다. 코와 눈 가장자리는 검은색이어야 하고, 모색이 적갈색(liver)이거나 색이 흐릿한 경우 매우 부적절한 요소로 평가된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와 움직임은 자연스럽고 활기찬 편이다. 앞다리 무릎(엘보)은 느슨하거나 긴장하지 않고, 몸 양 옆에 밀착되어 움직인다. 앞다리를 너무 높이 들어 올리지 않아도 충분히 멀리까지 내딛고, 뒷다리에서 추진력을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