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변증 LC. Liver cirrhosis
1. 정의: 간경변증은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재생결절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만성적인 질환으로 간 세포의 파괴와 섬유성 퇴행을 초래하며, 괴사조직이 섬유성 조직으로 대치됨에 따라 정상 간 구조와 혈관 구조가 변화되고, 혈류와 림프계의 흐름이 손상되어 간 기능부전과 문맥성 고혈압을 초래한다.
2. 원인: ① 바이러스성 간염(B형 및 C형)
② 알코올
③ 답즙성 간경변
④ 자가면역성 간염
⑤ 대사성 질환(hemochromatosis, wilson병, α-1-antitrypsin결핍증, 당뇨병 등)
⑥ 약제(및 독소)
⑦ 심장성(협착성 심낭염, Budd-Chiari증후군 등)
⑧ 비알코올성 지방간
⑨ 기타(indian childhood cirrhosis, small bowel bypass 후 등)
3. 증상:
① 초기에는 피로, 식욕부진, 저녁 무렵의 발목 부종, 코피와 잇몸 출혈, 체중감소 등이 나타난다.
② 후기 증상은 간의 만성적 부전과 문맥순환의 폐색으로 인한 것이다.
-만성 소화불량, 변비, 설사
-식도정맥류, 제대정맥류, 내치질, 복수, 비장비대
-혈장 알부민이 감소되어 부종과 복수를 초래한다.
-빈혈과 영양섭취 부족으로 인해 피로와 허약, 우울 등을 초래한다.
-무기력감에서부터 섬망, 혼수, 결국은 사망에 이르는 정신기능의 악화를 초래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불균형으로 거미줄 혈관종과 손바닥 홍반, 월결불규칙,
고환과, 전립선 위축, 여성형 유방, 성욕 감퇴, 발기부전
③ 비출혈, 쉽게 멍이 듬, 위출혈 같은 출혈성 경향
4. 진단: -간 생검: 간 조직의 파괴와 섬유화 확인
-간 스캔: 비정상적인 간 비대 확인
-CT scan: 간의 크기와 불규칙한 결절성 표면확인
-식도경 검사(내시경): 식도 정맥류 확인
-복막천자: 복수의 세포, 단백질, 박테리아 검사
-생검과 함께 실시되는 복강경 검사: 간을 실제 관찰
-혈중 간 기능 검사치 상승
5. 치료: 경변증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거나 수정할 수 있으면 가장 좋지만 불가능한 경우 경변증으로 인한 합병증(복수, 식도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등)을 치료하고 교정 가능한 악화 용인을 발견하여 이를 교정하며 간암 발생을 조기진단하기 위한 정기 검진을 시행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간경변증은 만성 질환이므로 가능한 한 환자를 교육시켜 일상생활을 최대한 불편 없이 영위할 수 있도록 하면서 관리하는 배려하여야 한다. 간부전증이 심화되어 일상생활에 심각한 영향이 우려되면 간이식술을 고려한다.
① 독성물질, 알코올, 약물 등을 제거함으로써 간기능의 악화를 최소화한다.
② 비타민이나 영양보충제를 사용하여 영양부족을 교정한다.
③ 복수와 수분, 전해질 불균형을 치료한다.
-수분 정체 정도에 따라 염분과 수분섭취를 제한한다.
-배뇨를 위해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신장에서 알도스테론의 작용을 억제하는 칼륨보유 이뇨제인 aldactone을 사용한다.
-복막천자: 복수를 제거하고 증상을 완화시킨다.
-삼투압을 유지하기 위해 알부민을 투여한다.
④ 다른 방법으로 복수를 조절하지 못하는 환자를 위해 복강정맥우회를 실시 할 수도 있다.
⑤ 진통제나 진토제 같은 증상 완화 방법을 사용한다.
⑥ 간 이식이 필요할 수도 있다.
⑦ 간성 뇌증의 치료- 동물성 단백질을 제한하고 콩 같은 식물성 단백을 공급,
-관장을 통해 장을 청소함으로써 효과를 볼 수 있음
-락툴로오즈와 같은 약물이 혈중 암모니아 농도를 낮출 수 있고
경증의 뇌증에 효과가 있음
-메트로니다졸, 네오마이신과 같은 항생제가 장관에서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세균을 없애 효과를 볼 수 있음
⑧출혈의 치료- 경도에서 중등도의 간경변증 환자 반수에서 식도 정맥류가 생긴다. 이러한 환자들 약 반수에서는 출혈이 치명적일 수 있다. 약물 치료는 문맥압 항진증을 감소 시키는 beta-blocker가 효과적이다. 출혈이 일어나면 수액을 주입하고, 혈액과 혈장을 주입한다. 그 이후 약물과 내시경을 통해 출혈을 멈추게 한다.
6. 간호:
① 활동 내성 증진
-휴식과 운동을 교대로 하도록 권장한다.
-부종과 복수의 이동을 위해 다리를 올려놓고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점진적으로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돕는다.
② 영양상태의 증진
-고칼로리, 중정도의 단백질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소량씩 자주 음식을 제공하고, 환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구강 전에 구강간호를 한다.
-오심, 구토, 설사, 변비 등에 관한 약을 투여하거나 자가투여를 지도한다.
③ 피부통합성 증진
-신체에 긁어서 생긴 자국들을 따라 피부의 황달 정도를 기록한다.
-자주 피부 관리를 해주고 비누를 사용하지 않고 목욕을 하도록 하고 보습제로 마사지를
해주도록 한다.
-손톱을 짧게 깎도록 한다.
④ 출혈로부터의 손상방지
-대변과 토물의 색깔, 농도, 양을 살피고 잠혈검사를 한다.
-불안, 식도 팽만감, 쇠약, 안절부절 못함 등 위장관 출혈을 의미하는 증상들에 대해 주의
하여 관찰한다.
-외부 출혈을 관찰한다.: 바늘자국으로의 누출, 비출혈, 출혈성 반점, 잇몸 출혈
-처방대로 비타민 K를 투여한다.
-출혈이 있을 때는 옆에 계속 있어준다.
-손상 예방법을 교육한다.
⑤ 사고과정의 증진
-간성 뇌증의 발현방지를 위해 혈중 암모니아치가 높을 때는 고단백질 섭취를 제한한다.
-손을 잘 씻고 감염에 대한 예방수칙을 준수하여 패혈증을 방지한다.
-탈수와 저칼륨혈증은 간성 혼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분섭취와 혈중 전해질
농도를 모니터링한다.
-환경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방문자를 제한한다.
7. 합병증: -저나트륨혈증과 수분정체
-식도정맥류의 출혈
-응고이상
-박테리아성 복막염
-안정제나 고단백식이, 패혈증, 전해질 불균형 등으로 인한 간성 뇌증
8. 예후: 병의 진행상태에 따라 다르다. 섬유화가 없는 지방상태의 간이라면 균형잡힌 식이
요법으로 개선할 수 있다. 알코올이 간경변증의 원인일 때 환자가 계속 술을 마신
다면 예후는 나쁘다. 대개 간 기능 부전, 간성 혼수, 식도 정맥류로 인한 출혈과
감염증으로 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