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삼태극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자유소통광장 한인, 한웅, 한검(단군)에 쓰인 한자 한과 한의 말풀이
돌둘 추천 0 조회 171 14.09.20 21:55 댓글 11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09.21 01:49

    첫댓글 돌돌님! 님의 생각에는 억지가 좀 있습니다. 태극이란 한자로 풀이하면 클태 와 극극자 입니다 극이란 무지 큰것이지만 한점을 말하기도 합니다. 수학에서는 극을 하나로 즉 숫자1로 보는 것입니다. +는 점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크기와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이 플러스는 보탠다는 개념도 있습니다. 양전기의 기호로도 쓰여지고 있습니다 또한 양과 음이라는 반대의 의미도 있지요! 님과 나의 생각이 이런 점에서 같을수도 다를 수도 있는것이지요! 인문학이란 수학의 개념과는 다르다고 봅니다. 우주도 한점에서 시작되고 가로선이나 세로선도 점에서 시작 하는 것이지요.결국 음이나 양이나 출발은 한점 입니다. 우주도 한점으로 표시하고

  • 14.09.21 01:38

    또한 한점이 우주 일 수도 있는 것입니다. 하느님은 하나님이기도 하고 하나님이 하느님 이기도 합니다 또한 태속의 한 점이 하나님이기도 하고 딸이기도 하고 아들이기도 합니다. 아버지 이기도하고 어머니 이기도 하지요! 님이란 말은 사람에게만 붙이기 때문이죠 .이들말의 의미나 기호의 의미는 해석 하기에 따라 다르다고 봅니다.공산이 좋으냐 자본이 좋으냐고 묻는것은 어리석은 것이죠! 둘다 좋을수도 있고 나쁠수도 있는 것입니다.이것이 바르다고 하지만 생각에 따라 다 다른것입니다.그것은 대통령을 투표에 의해 한표라도 많은쪽을 택하는 것입니다. 옳고 그른것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하나하나가 중요하지만 그하나하나가

  • 14.09.21 01:48

    미완성이지요! 또한 완성이기도 하고요! 가장나쁜것도 가장 좋을수가 있고 가장 좋은것도 가장 나쁠 수가 있는것입니다. 내가 아는 인문학이란 수학하고는 가장멀것같은데도 가장 가까운 것이기도 하고요! 언어라는 것도 그렇구요! 공자왈 맹자왈 해도 그게그거지요! 그렇지만 나는 님을 좋아 합니다. 님을 좋아 하기에 댓글을 답니다. 좋아하는것과 싫어하는것도 사실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지요! 그러하지만 댓글 다는 것 자체는 관심이 있다는 것이지요!

  • 14.09.21 03:37

    환단고기가 아닌 한단고기가 맞는 것 이네요 난 그런 철학 적 개념 보다 한이 그냥 하나의 의미 그렇게 보고 한단 고기로주장 했는데요 환은 빛이 비쳐서 환한 곳으로 그래서 환단고기 하면 사람이 지슴처렴 빛이 있는 곳으로 해서 그래서 환단고기가 아닌 한단고기으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 한 사람 입니다

  • 14.09.21 08:33

    감사합니다 _()_

  • 작성자 14.09.21 18:32

    은하미리내님 제가 하는 말은 기존의 동양학의 상식으로는 이해가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클태자는 은문천부경의 태양앙명이라는 문장에 쓰이는데 클태자가 아니라 하늘속에 나타난 삼신하나님을 의미하고 양앙명은 천지인 즉 태양계와 인계와 지구를 의미합니다.
    클태자와는 반대로 씨알점이 위에 있는 천일일이라는 문장에 쓰인 천은 개견이 아니라 하늘과 유일의 하느님을 의미합니다.
    옥편식 한자의 의미를 토대로 성립한 지금의 동양학의 상식으로 이 사람의 글을 보지않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서양학의 상식으로도 이사림의 글을 보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기존의 동서양학의 상식을 부술려고 노력하고 있으니 그 점을 이해해 주시면

  • 14.09.22 07:07

    유일의 하느님이란 개념이 잘못된 것이지요! 어떤동물과 식물도 유일이란것은 없습니다. 물론 개체 하나하나나는 유일 할 수도 있지만 하느님도 조상이있고 자식이 있습니다. 요는 유일이라는 개념이 잘못된 것이지요1 하느님은 모든 조상을 말하는 이름입니다. 즉 고유명사가 아니고 보통명사입니다. 수억마리의 정자중에 한점을 점지해주는것이 모태입니다(물론7쌍둥이도 있지만,) 전쟁이 일어나 사람이 많이 죽으면 많은 사람이 잉태되듯이 , 밭에 풀을 곱게 매어도 풀은 자라듯이 저 많은 은하의 다른 별에서 생명체가 우리의 눈에는 보이지 않았지만 없다고는 말 하지 못하듯이 우리의 상식이나 우주의 상식이 하나라고는 할 수 없듯이 님의

  • 14.09.22 07:25

    @은하미리내 상식이 상식이듯이 다른이의 상식도 상식이고 개의 상식도 상식인 것이지요! 상식은 그냥 상식으로 인정해야 하는 것이지요! 한알 한얼 하나님은 동의어 이기도 하지요! 언어의 발달과정에서 의미가 파생된 것도 있고요! 해서 절대적 진리란 사실 없는 것입니다. 인생사가 그런 것이지요! 특히 역사란 사관에 따라 많이 달라 지지요! 만물의 영장 이라는 사람도 각색이고요! 불교에서 "무"란 이야기도 없다는 뜻만이 아니란 것이지요! 사람이 죽으면 화장하거나 땅에 묻거나 나무에 올려 놓아도 의식은 다르나 결과는 같은 것이지요! 그러나 꿈을 꾼다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상식은 항상 변하고 부셔지지요! 이말은 상식 이란 것도 변한다는 것

  • 작성자 14.09.21 18:34

    역학자님 오랜만에 댓글대합니다.

  • 작성자 14.09.21 18:34

    산중님 반갑습니다.

  • 작성자 14.09.22 18:13

    은하님 삼신의 하나님과 천지만물이 나온 곳이자 돌아가는 그곳이 본체이고 그 본체를 창조한 무엇을 하느님이라 합니다.
    비교대상이 없으니 유일의 하느님이고 그 하느님이 삼신의 하나님으로 갈라져 만들어낸 것이 현상계에 나타난 천지만물입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