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티니 martini |
드라이 진에 드라이 베르무트를 섞은 후 올리브로 장식한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34˚ 베이스 : 진 기법 : 스터 재료 : 드라이 진 1½온스, 드라이 베르무트 ½온스 장식 : 올리브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맛 : 쌉쌀한 맛
진에 베르무트를 섞은 후 올리브로 장식한 무색 투명한 칵테일이다. 냄새는 향긋하지만 강한 쓴맛이 난다. 주로 식전에 마신다. 마티니라는 이름은 베르무트를 생산하는 회사인 이탈리아의 '마티니 앤 로시(Martini & Rossi)'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진과 베르무트의 배합 비율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드라이 진과 드라이 베르무트를 3:1로 배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얼음을 넣어 온더락스로 할 수도 있다. 스위트 마티니는 드라이 진과 스위트 베르무트의 비율을 2:1, 미디엄 마티니는 드라이 진과 드라이 베르무트의 비율을 2:1/2, 드라이 마티니는 드라이 진과 베르무트의 비율을 5:1, 엑스트라 마티니는 7:1로 한다. 만드는 방법은 믹싱글라스에 얼음·진·베르무트를 넣는다. 내용물을 저은 후 잔에 따르고 올리브로 장식한다. 맛을 좋게 하기 위하여 단단하고 물기가 없는 얼음을 사용한다. 또 너무 오래 저어서 얼음이 녹지 않게 해야 한다.
|
어라운드 더 월드 Around the World |
드라이 진에 페퍼민트와 파인애플 주스를 첨가하여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30˚ 베이스 : 진 기법 : 셰이크 재료 : 드라이 진 1½온스, 페퍼민트 ⅓온스, 파인애플 주스 ⅓온스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맛 : 상쾌한 맛
'세계일주'라는 의미를 가진 칵테일로, 초록의 시원한 색채가 특징이다. 파인애플주스의 적당한 신맛과 페퍼민트의 상쾌한 맛이 입안을 개운하게 한다. 알코올 도수는 약간 높지만, 아름다운 색과 개운한 맛 때문에 여성들이 많이 찾는다. 민트체리(Minthe Cherry)로 장식을 하여 세련된 느낌을 추가하는 것도 좋다. 셰이커에 드라이 진 1½온스, 페퍼민트 ⅓온스, 파인애플 주스 ⅓온스와 얼음을 넣고 흔든 후 글라스에 따른다.
|
|
오렌지 블로섬 Orange Blossom |
진에 오렌지 주스와 얼음을 넣어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24˚ 베이스 : 진 기법 : 셰이크 재료 : 진 1½온스, 오렌지 주스 1½온스, 설탕시럽 2티스푼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맛 : 약간 쓴맛에 오렌지의 상큼한 향이 남
오렌지 블로섬은 '오렌지의 꽃'이라는 뜻이다. 미국에서 금주법이 실시 되었을 때 밀조된 조악한 진의 냄새를 없애기 위해 오렌지를 첨가한 것이 유래이다. 또, 오렌지는 꽃말이 '순결'이기 때문에 웨딩 드레스에 장식하는 꽃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피로회복을 위한 식전용 술로 애음된다. 셰이커에 진 1½온스, 오렌지 주스 1½온스와 설탕시럽 2티스푼과 얼음을 넣고 흔든 후 글라스에 따른다.
|
기브슨 Gibson |
진 베이스의 우아한 분위기가 나는 마티니와 비슷한 종류의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36˚ 베이스 : 진 기법 : 스터 주재료 : 드라이 진 1½온스, 드라이 베르무트 ½온스 장식 : 칵테일 어니언 1개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맛 : 쓴맛
미국 뉴욕의 플레이스 클럽에서 1890년대의 유명한 화가 찰스 다나 기브슨이 즐겨 마시면서 이름이 붙었다. 마티니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지만 기브슨은 글라스를 차게 하여 표면에 성에가 생기도록 하며 진주를 연상케 하는 아름다운 광택의 칵테일 어니언이 첨가되기 때문에 우아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칵테일이다. 베이스를 보드카로 대신 사용하면 '보드카 기브슨(Vodka Gibson)'이 된다. 믹싱 글라스에 드라이 진 1½온스, 드라이 베르무트 ½온스와 얼음을 넣고 잘 저어준 후 차게 만든 칵테일 글라스에 칵테일 어니언 장식으로 마무리 한다.
|
김렛 Gimlet |
진 베이스로 힘든 하루의 상쾌함을 전해 주는 처방 칵테일로 라임 주스를 넣어 진을 묽게한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30˚ 베이스 : 진 기법 : 셰이크 재료 : 드라이 진 1½온스, 라임 주스 ½온스, 설탕시럽 1티스푼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맛 : 쓴맛
김렛(Gimlet)이란 목공 도구의 하나로 와인 병따개와 비슷한 모양을 한 나사 송곳이다. 칵테일의 이름도 송곳 같이 날카롭게 찌르는 맛 때문에 붙여졌다. 라임 주스의 쓴맛이 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애음되고 있는데,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코디얼 라임 주스를 사용해 단맛이 많이 났었다. 드라이 진 대신 보드카를 넣으면 '보드카 김렛(Vodka Gimlet)'이 되며, 얼음을 넣어 글라스를 온 더 락스(On The Rocks)로 마시면 '진 라임(Gin & Lime)', 진 라임에 탄산을 부어 저으면 '진 리키(Gin Rikey)'가 된다. 드라이 진 1½온스, 라임 주스 ½온스와 설탕시럽 1티스푼을 얼음과 셰이커에 넣고 흔든 후 칵테일 글라스에 따른다.
|
진 앤 잇 Gin & It |
드라이 진과 스위트 베르무트를 반씩 섞어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33˚ 베이스 : 진 기법 : 빌드 재료 : 드라이 진 1½온스, 스위트 베르무트 1½온스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맛 : 약간 단맛
진 이탈리안이라고도 한다. 잇(it)은 영어의 지시대명사가 아니고, 스위트 베르무트의 옛날 이름이었던 이탈리안 베르무트(Italian Vermouth)의 약어이다. 드라이 진과 단맛이 나는 스위트 베르무트를 사용한다. 프랑스에서 주로 생산되는 쓴맛의 드라이 베르무트를 사용하면, 진 앤 프렌치가 된다. 드라이 진 1½온스, 스위트 베르무트 1½온스를 차분히 글라스에 따른다. 얼음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진 토닉 Gin & Tonic |
진을 베이스로 하여 토닉워터를 첨가하여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14˚ 베이스 : 진 기법 : 빌드 재료 : 드라이 진 45㎖, 토닉워터 적당량 장식 : 레몬 슬라이스 글라스 : 하이 볼 글라스 맛 : 진의 맛이 강함
진을 베이스로 한 롱 드링크 스타일의 칵테일이다. 진의 깊은 맛에 토닉워터를 첨가하여 끝 맛은 깔끔하다. 최근, 이런 진 드링크에 소다수를 소량 넣은 진 소닉이라고 불리는 칵테일이 인기를 얻고 있다. 얼음을 넣은 하이 볼 글라스에 드라이 진 45㎖를 따른 다음 토닉워터로 잔을 채운다. 글라스 가장자리를 레몬이나 라임으로 장식한다.
|
진 피즈 Gin Fizz |
드라이 진에 레몬 주스를 넣고 소다수를 부어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14˚ 베이스 : 진 기법 : 셰이크 재료 : 드라이 진 1온스, 레몬 주스 ½온스,설탕시럽 1티스푼, 소다수 적당량 장식 : 레몬, 체리 글라스 : 하이 볼 글라스 맛 : 약간 쓴맛
드라이 진을 베이스로 한 피즈 스타일의 롱 드링크이다. 레몬의 신맛과 설탕의 단 맛이 먹기 좋은 심플한 맛을 낸다. 여러가지 변화가 즐거운 칵테일 중 하나이다. 레몬과 라임 슬라이스와 체리로 장식을 한다. 셰이커에 얼음과 함께 드라이 진 1온스, 레몬 주스 ½온스, 설탕시럽 1티스푼을 넣고 흔든 후 하이 볼 글라스에 따른다. 나머지 잔은 소다수로 가득 채운다.
|
진 리키 Gin Rickey |
드라이 진에 라임 주스를 섞고 소다수를 첨가해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14˚ 베이스 : 진 기법 : 빌드 재료 : 드라이 진 1온스, 라임 주스 ½온스, 소다수 적당량 장식 : 레몬 웨지 글라스 : 하이 볼 글라스 맛 : 새콤한 맛
워싱턴DC 로비스트였던 조 리키(통칭 짐)가 마음에 들어했던 슈메카즈 레스토랑에서 고안했던 칵테일로 시지만 깔끔한 맛이 난다. 부드럽게 입에 닿는 느낌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추천한다. 하이 볼 글라스에 라임 즙을 짜서 넣고, 짠 라임을 그대로 담근다. 드라이 진 1온스, 라임 주스 ½온스와 얼음을 넣는다. 여기에 찬 소다수를 적당히 채운다.
- 레몬 웨지(Lemon Wedge) : 레몬을 ¼등분하고 그것을 다시 ¼등분하여 초승달 모양으로 얇게 썬 조각을 말한다.
|
싱가포르 슬링 Singapore Sling |
진을 베이스로 체리 브랜디와 레몬 주스를 넣어 만든 새콤달콤한 맛이 나는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17˚ 베이스 : 진 기법 : 셰이크 재료 : 드라이 진 1온스, 체리 브랜디 ½온스, 레몬 주스 ½온스, 설탕시럽 1티스푼, 소다수 적당량 장식 : 오렌지, 체리 글라스 : 콜린스 글라스 맛 : 새콤달콤하면서 시원한 맛
영국의 소설가 서머싯 몸이 '동양의 신비'라고 극찬했던 칵테일이다. 싱가포르 래플스(Raffles) 호텔에서 고안하였는데, 저녁 노을을 표현하였다고 한다. 연한 주홍빛이 나는 아름다운 색배합과 새콤달콤한 맛으로 인해 여성에게 인기가 높다. 특유의 화려한 과일장식을 보면서 마시는 것도 즐겁다. 셰이커에 드라이 진 1온스, 체리 브랜디 ½온스, 레몬 주스 ½온스, 설탕시럽 1티스푼을 넣고 흔든 다음 글라스에 따른다. 글라스에 얼음을 첨가한 차가운 소다수로 가득 채우고 오렌지, 체리로 장식한다. 설탕시럽 외에 그레다닌 시럽 ⅓온스 사용해도 된다.
|
탱고 Tango |
진을 베이스로 하여 드라이 베르무트, 스위트 베르무트 등을 첨가해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27˚ 베이스 : 진 기법 : 셰이크 재료 : 드라이 진 1온스, 드라이 베르무트 ½온스, 스위트 베르무트 ½온스, 오렌지 큐라소 ⅓온스, 오렌지 주스 2대시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맛 : 약간 단맛
탱고라는 것은 댄스 스텝의 하나로 그 스텝의 복잡함을 5종류의 재료로 표현한 칵테일이다. 베이스인 드라이 진과 쓴맛과 단맛이 나는 베르무트가 훌륭한 조화를 이루어 보조를 맞추고, 그것을 오렌지 풍미가 부드럽게 감싸안는다. 셰이커에 드라이 진 1온스, 드라이 베르무트 ½온스, 스위트 베르무트 ½온스, 오렌지 큐라소 ⅓온스, 오렌지 주스 2대시를 넣고 흔든 다음 글라스에 따른다.
|
파라다이스 Paradise |
진에 에프리코트 브랜디와 오렌지 주스를 첨가해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25˚ 베이스 : 진 기법 : 셰이크 재료 : 드라이 진 1온스, 에프리코트 브랜디 ½온스, 오렌지 주스 ½온스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맛 : 살구향이 강한 산뜻한 맛
파라다이스는 '낙원'이라는 뜻으로 그 이름에 걸맞은 부드러움과 밝음을 표현한 매력적인 칵테일이다. 에프리코트 브랜디의 맛이 포인트로 단맛을 즐기고 싶을 때는 재료들을 1/3씩만 넣어도 좋다. 쓴맛을 즐기고 싶을 때는 드라이 진의 분량을 더 많이 넣으면 된다. 자신이 좋아하는 맛을 발견하는 것도 이 칵테일을 즐기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셰이커에 드라이 진 1온스, 에프리코트 브랜디(Apricot Brandy) ½온스, 오렌지 주스 ½온스와 얼음을 넣고 흔든 다음 글라스에 따른다.
|
|
하와이안 Hawaiian |
드라이 진과 파인애플 주스를 반씩 넣고 오렌지 큐라소를 첨가해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20˚ 베이스 : 진 기법 : 셰이크 재료 : 드라이 진 1½온스, 파인애플 주스 ⅔온스, 오렌지 큐라소 ½온스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맛 : 달콤하면서 상큼한 맛
하와이의 칵테일이라는 이름 그대로 상큼한 맛을 느낄 수 있는 칵테일이다. 오렌지의 달콤한 맛이 많이 느껴지는 부드러운 칵테일인데, 드라이 진의 배합을 늘리면 쓴 맛이 강한 '훌라 훌라'라는 칵테일이 된다. 셰이커에 드라이 진 1½온스, 파인애플 주스 ⅔온스, 오렌지 큐라소 ½온스와 얼음을 넣고 흔든 다음 글라스에 따른다.
|
핑크 레이디 Pink Lady |
진을 베이스로 그레나딘 시럽을 첨가하여 만든 약간 단맛이 나는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20˚ 베이스 : 진 기법 : 셰이크 재료 : 드라이 진 1온스, 그레나딘 시럽 ⅓온스, 생크림 ½온스, 계란 흰자 1개 장식 : 너트메그 글라스 : 샴페인 글라스 맛 : 약간 단맛
1912년 영국 런던의 한 극장에서 '핑크 레이디'라는 연극이 공연되었는데 대단한 흥행을 거두었다고 한다. 성공적으로 공연을 마치고 열린 파티에서 여주인공 헤이즐 돈에게 바쳐진 칵테일이다. 아름다운 핑크색인데다가 그레나딘 시럽의 단맛이 진의 쓴맛을 감소시키고 계란 흰자가 목넘김을 부드럽게 하여 여성들에게 인기가 좋다. 셰이커에 드라이 진 1온스, 그레나딘 시럽 ⅓온스, 생크림 ½온스와 얼음을 넣은 다음 계란 흰자 1개를 넣어 만든다. 셰이크할 때는 계란 흰자와 재료가 잘 섞이도록 충분히 흔들어 주어야 한다. 완성되면 샴페인 글라스에 따른다. 여기에 탄산음료를 넣으면 핑크 진 피즈(Pink Gin Fizz), 생크림을 넣으면 핑크 로즈(Pink Rose), 그레나딘 시럽 1티스푼을 더 넣으면 페어리 벨(Fairy Bell)이라는 칵테일이 된다.
- 너트메그(Nutmeg) : 비릿한 냄새를 제거해 주는 향신료.(육두구 열매)
|
화이트 레이디 White Lady |
진을 베이스로 하여 코앙트로와 레몬 주스를 첨가해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30˚ 베이스 : 진 기법 : 셰이크 재료 : 드라이 진 1온스, 코앙트로 ½온스, 레몬 주스 ½온스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맛 : 약간 쓴맛
'하얀 귀부인'이라고 하는 멋진 이름의 칵테일이다. 일반적으로는 진 사이드카라고 불리며,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한 칵테일이다. 처음에는 크렘 드 민트(페퍼민트 리큐어)를 베이스로 사용했지만, 1925년 경부터 드라이 진을 베이스로 사용하게 되었고 그 후로 대중적인 칵테일이 되었다. 셰이커에 드라이 진 1온스, 코앙트로 ½온스, 레몬 주스 ½온스와 얼음을 넣고 흔든 후 글라스에 따른다.
|
마티니 드라이 Martini Dry |
진을 베이스로 드라이 베르무트를 넣어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35˚ 베이스 : 진 기법 : 스터 재료 : 드라이 진 2온스, 드라이 베르무트 1티스푼 장식 : 올리브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맛 : 쓴맛
마티니를 변화시킨 칵테일 중의 하나이다.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애음했다는 칵테일로 유명한데, 그의 작품에 때때로 등장한다. 쓴맛이 강해 식전에 먹으면 좋은 칵테일이다. 베이스인 드라이 진을 위스키로 바꾸면 위스키 마티니가 되고, 테킬라로 바꾸면 테킬라 마티니라는 칵테일이 된다. 얼음을 넣은 믹싱 글라스에 드라이 진 2온스, 드라이 베르무트(Dry Vermouth) 1티스푼을 넣는다. 바스푼으로 재료를 섞은 다음 글라스에 따르고 칵테일 핀에 꽂은 올리브를 장식한다. 기호에 따라 레몬 필을 장식한다. |
밀리언 달러 Million Dollar |
진을 베이스로 스위트 베르무트, 파인애플 주스와 계란 흰자를 넣어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18˚ 베이스 : 진 기법 : 셰이크 재료 : 드라이 진 1온스, 스위트 베르무트 ½온스, 파인애플 주스 ½온스, 그레나딘 시럽 2티스푼, 계란 흰자 1개 장식 : 파인애플 글라스 : 칵테일 글라스 또는샴페인 글라스 맛 : 깔끔한 맛
'백만달러'라는 이름이 붙은 칵테일이다. 일본에서 처음 만들어졌다고 한다. 당시 일본은 불경기였기 때문에 경기가 회복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거꾸로 이러한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계란 흰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재료를 충분히 흔들어 주어야 한다. 셰이커에 드라이 진 1온스, 스위트 베르무트 ½온스, 파인애플 주스 ½온스, 그레나딘 시럽 2티스푼, 계란 흰자 1개와 얼음을 넣는다. 셰이크한 다음 칵테일 글라스 또는 샴페인 글라스에 따르고 파인애플을 장식한다. |
롱 아일랜드 아이스티 Long Island Iced Tea |
드라이 진, 보드카, 화이트 럼, 테킬라, 레몬 주스, 콜라 등을 넣고 바스푼으로 저어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19˚ 베이스 : 진 기법 : 빌드 재료 : 드라이 진 ½온스, 보드카 ½온스, 화이트 럼 ½온스, 테킬라 ½온스, 화이트 큐라소 ½온스, 레몬 주스 30㎖, 설탕 시럽 1티스푼, 콜라 적당량 글라스 : 칵테일 필스너 또는 콜린스 글란스 맛 : 깔끔한 맛
이름에 있는 아이스티는 완성된 맛과 색채 때문에 붙었다. 홍차를 사용하지 않고 홍차의 색과 맛을 만들어 내는 칵테일이다. 드라이 진, 보드카, 화이트 럼, 테킬라라는 정주 4종류를 넣기 때문에 보기보다 진한 맛을 느낄 수 있는 칵테일이다. 크러시드 아이스(잘게 부순 얼음)를 채운 글라스에 드라이 진 ½온스, 보드카 ½온스, 화이트 럼 ½온스, 테킬라 ½온스, 화이트 큐라소 ½온스, 레몬 주스 30㎖, 설탕 시럽 1티스푼, 콜라 적당량을 순서대로 따른다. 바스푼으로 가볍게 저은 다음 레몬과 빨대를 장식한다.
|
톰 콜린스 Tom Collins |
진을 베이스로 사용한 콜린스 스타일의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16˚ 베이스 : 진 기법 : 셰이크 재료 : 드라이 진 1½~2온스, 레몬 주스 ½온스, 설탕시럽 1티스푼, 소다수 적당량 장식 : 레몬과 체리 글라스 : 콜린스 글라스 맛 : 깔끔한 맛
19세기 초에 만든 칵테일로 처음에는 만든이의 이름을 붙여 존 콜린스라고 붙였지만, 그 후 영국산 올드 톰 진을 베이스로 했기 때문에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1930년대 이후는 드라이 진을 베이스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셰이커에 드라이 진 1½~2온스, 레몬 주스 ½온스, 설탕시럽 1티스푼을 넣고 흔든 다음 글라스에 따른다. 글라스에 얼음을 넣은 후 차가운 소다수로 가득 채운 후 레몬과 체리로 장식한다.
|
네그로니 Negroni |
드라이 진, 캄파리, 스위트 베르무트를 넣어 만든 칵테일.
알코올 도수 : 약 25˚ 베이스 : 진 기법 : 빌드 재료 : 드라이 진 ⅔온스, 캄파리 ⅔온스, 스위트 베르무트 ⅔온스 장식 : 레몬필, 오렌지 슬라이스 글라스 : 올드 패션드 글라스 맛 : 쌉쌀한 맛
네그로니라는 것은 이탈리아의 카미로 네그로니 백작을 이르는 말이다. 네그로니 백작이 즐겨 마셨던 식전주라고 알려져 있다. 피렌체에 있는 유명한 레스토랑 카소니의 바텐더가 1962년 백작의 허락으로 '네그로니'라고 발표했다. 캄파리의 쌉쌀한 맛이 특징이다. 얼음을 넣은 올드 패션드 글라스에 드라이 진 ⅔온스, 캄파리 ⅔온스, 스위트 베르무트 ⅔온스를 따르고 바스푼으로 가볍게 젓는다. 레몬필 또는 오렌지 슬라이스로 글라스 가장자리를 장식한다.
| |
첫댓글 대학시절...다들 '핑크레이디'시켜 홀짝 거릴때, 튀고 싶어서 글구 헤밍웨이가 즐겼다길대 마티니만 마셨다. 그때 그시절은 진 베이스의 칵테일을 자주 즐겼었는데...요즘은 와인이 온통 모든걸 덮어버린듯 하다. 물론 나도 유행따라 와인으로 바꿨다.
전 친구가 알바로 뛰는 레스토랑을 줄기차게 출근해서 진토닉을 마셨는데






울 친구도 보고싶고



진토닉도 마시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