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무역흑자 1위’ 수출시장 베트남
부동산, 기숙사, 준비, 광고…. 베트남 호찌민이나 하노이, 한국 관광객이 몰리는 다낭, 호이안 거리에 걸린 프랑스식 알파벳 간판을 찬찬히 소리 내 읽어 보면 한국말로 뜻이 통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어휘 가운데 한자어 비중은 양쪽 모두 60% 이상. 오랫동안 한자 문화권에 속해 있었다 보니 발음까지 똑같은 단어가 많은 것이다. 유교 전통이 강한 점도 비슷하다. 이렇게 닮은 데가 많은 두 나라의 경제 관계가 더 긴밀해지고 있다.
▷한-베트남 수교 30주년이었던 작년 한국이 가장 많은 무역수지 흑자를 낸 상대국에 처음으로 베트남이 올랐다. 610억 달러어치 상품을 수출하고, 267억 달러어치를 수입해 무역흑자는 343억 달러였다. 재작년 1위(352억 달러)였던 홍콩은 작년 3위(258억 달러), 재작년 3위(243억 달러)였던 중국은 22위(12억5000만 달러)로 내려앉았다. 미중 공급망 갈등,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홍콩을 경유하거나, 직접 중국으로 간 대중 수출이 급격히 준 탓이다.
▷1986년 시장경제를 도입하는 개혁개방정책 ‘도이머이’를 시작한 베트남은 최근 들어 후발국 프리미엄을 톡톡히 누리고 있다. 미국 등 서방 세계의 중국 견제가 본격화한 가운데 대체 생산기지로 베트남의 존재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베트남 통계청이 내놓은 작년 경제성장률 추정치는 8.0%로 1997년 이후 최고다. 한국 1%대, 중국도 4%대 성장이 예상되는 올해에도 베트남 경제는 6%대의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의 급성장에는 현지에 진출한 9000여 개 한국 기업들의 기여가 컸다. 누적 기준으로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투자에서 한국은 수년째 건수, 금액 모두 압도적 1위다. 재작년 베트남 전체 수출액의 20%는 삼성그룹이 올렸다. 전 세계에서 팔리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절반, LG전자의 많은 가전제품들이 베트남에서 생산된다. 미중 패권경쟁으로 인한 ‘지경학 리스크’를 피하려는 애플 등 미국 기업들도 베트남 생산을 늘리려고 한다. 1980, 90년대 선진국 자본이 일본의 높은 인건비 등을 피해 한국 투자를 늘린 것과 닮은꼴이다.
▷1992년 5억 달러로 시작한 한국과 베트남의 교역 규모는 31년간 175배로 성장했다. 한국의 교역대상국 중 중국, 미국에 이은 3위다. 아직 수출품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등 중간재가 많지만 의류, 화장품, K컬처 상품 수출이 빠르게 늘고 있다. 인구 1억 명, 평균 연령 32.5세의 젊은 나라 베트남은 이미 한국에 없어선 안 될 경제 파트너다. 따져 보면 무척 닮은 두 나라의 인연이 점점 깊어져 간다.
박중현 논설위원
한국 작년 최대 무역흑자국은 베트남… 中은 22위로 밀려
對베트남 무역흑자 44조원 달해
中 봉쇄정책 영향 수출액 급감
최대 무역적자 상대는 사우디
지난해 베트남이 처음으로 한국의 최대 무역흑자국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에 따른 도시 봉쇄로 중국 수출이 급감하면서 대중(對中) 무역흑자 규모는 20위 밖으로 밀려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대(對)베트남 무역수지 흑자가 342억5000만 달러(약 44조 원)로 연간 기준 최대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베트남이 한국의 최대 무역흑자국이 된 것은 처음이다. 최근 한국 기업의 베트남 진출이 활발해진 데다 지난해 양국 수교 30주년을 맞아 투자, 협력이 강화되면서 흑자 폭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베트남으로의 수출은 609억8000만 달러, 수입은 267억2000만 달러였다.
중국으로의 수출이 크게 줄면서 지난해 대중 무역흑자는 12억5000만 달러로 교역국 중 22위에 그쳤다. 대중 무역수지가 20위 밖으로 밀려난 것은 1992년(―10억7000만 달러) 이후 30년 만에 처음이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대중 수출이 감소했지만 리튬 등 산업용 원자재 값이 급등하면서 수입은 급증했기 때문이다. 2018년 무역흑자국 1위였던 중국은 2019∼2021년에도 3위권을 유지해왔다.
대중 무역흑자가 줄면서 중계무역 비중이 높은 홍콩과의 무역흑자도 2021년 352억 달러에서 지난해 257억9000만 달러로 줄었다. 2019∼2021년 3년 연속 한국의 무역흑자국 1위였지만 지난해에는 3위로 밀렸다.
베트남을 제외한 한국의 무역흑자국은 미국(280억4000만 달러), 홍콩(257억9000만 달러), 인도(99억8000만 달러), 싱가포르(98억6000만 달러) 순이었다. 지난해 미국으로의 수출은 1098억2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4.5% 증가해 처음으로 1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무역적자가 472억 달러로 사상 최대로 치솟은 가운데 무역적자국 1, 2위는 에너지 부국인 사우디아라비아(―367억1000만 달러)와 호주(―260억9000만 달러)였다.
세종=최혜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