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달전에
제가 액티브에 대해 언급했던걸 그냥..복사해서 올립니다..
다소 성의가 없음을 용서 바랍니다.
.. :
: : : 스피커 내에 앰프가 내장 된것은 당연히 넷트웍방식(스피커 자체 내에서 주파수가 갈라지는것)에다가 앰프까지 내장 됐으니 액티브라 불리는거 같군요,
: : :
: : : 하지만 정확한 액티브와 패시브의 어원은 크로스 오버 시스템(멀티 앰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 라는게 제가 하고 싶은 말이군요, ( 스피커 내에 앰프가 내장 돼 있지않더라도 크로스 오버를 따로 쓰면 액티브로 쓸수 있음으로~~)
: :
: : =======================================================
: :
: :
: : (별표2개曰)
오래전에
: : 2웨이라는 개념이 첨으로 제품화 되었을 무렵에
: : 비싼 스피커들은 크로스오버를 대부분 액티브 서킷으로 장착했는데. 그러다보니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코드가 스피커마다 달려있었고, 사람들은 그런 스피커를 가지고있음을 자랑스레 여기곤 했고.. 좋고 나쁘고의 차이가 쉽게 전원코드의 유,무로 나뉘고, 사람들은 그걸 "액티브스피커" 라불렀습니다
: :
: : 그러나 세월은 변하고
: :
: : 크로스오버는 죄다 패시브서킷으로 바뀌면서.전원코드가 사라지고, 70년대에 포트인클로져가 대중화 되면서 스피커 크기가 급속히 소형화 되어 2웨이는 물론,3웨이,4웨이 방식까지 일반화 되어,패시브,액티브라고 구분지을 만한 이유가 없어질 무렵에,
: : 하이엔드 스피커나 모니터링 스퍼커 시장에서 간간히 나오던 셀프파워드 타입의 비율이 높아졌는데, 이때부터 다시 사람들은 전원코드가 달려있는 스피커를 보게 되었고(물론 크로스오버가 아닌 내장된 앰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지만) ,또 예전 처럼 "전원코드있는거 = 비싸고 좋은거", 라는 등식과 "액티브 스피커" 라고 부르게 되었다고........알고 있습니다..
: :
: : <이 부분에 대해선 저도 분명히 고증을 거쳐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제가 알고 있는게 정확하지않다면 그리고 혹시 신뢰 할만한 자료 있으신분은 꼭 리플 달아 주시기 바랍니다.>
: :
: : &
: :
: : 셀프 파워드 스피커 중에도 크로스오버가 패시브 서킷으로 되어 있는것도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 EXT.POWER IN 이란 인풋을 가진 모델이 있는 걸로 봐서,
: : 이런건 패시브 타입이 아닐까 생각 됩니다...
: ****************************
: 안녕 하세요, 제 뜻은 전용 크로스 오버를 따로쓰는 즉 크로스 오버 넷트웍시스템을(멀티 앰프 시스템) 말한 것임을 밝힙니다,
:
: 스튜디오에선 잘 사용을 않하지요, 다만 앰프가 내장된 액티브 방식을 많이 쓰는 편이지요,
:
: 그리고 꼭 앰프가 내장돼있지 않더라도 크로스 오버를 전용으로 따로 쓰면 액티브,패시브가 되느냐가 결정 돼기에 드리는 말씀입니다~^^*
:
: 그럼 안녕히~^^
===================================================
(별표2개曰)
예..잘 읽었습니다..
님께서...흔히 스튜디오 모니터중에서 "액티브 스피커" 라고 부르는 셀프 파워드 스피커에 대해..."정확한 어원이~~다" 라고 하시기에 쓴 말이었습니다...
스튜디오 모니터 스피커도 멀티앰프 시스템이 있나요?
5.1 믹싱을 위한 시스템 말구 ,일반적인 2채널루요..
보통 앰프내장형 스피커는
스튜디오 모니터일땐 "액티브"
SR 스피커 일땐 "셀프파워드" 라고 하잖습니까..
내장된 크로스 오버의 종류가 뭐냐 라든지
앰프와의 위치 관계가 어떻다 라든지에
상관없이 말입니다..
크로스오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원공급단을 가지는 모든 회로를 다 "액티브 서킷" 이라고 하니까
흔히들
"액티브스퍼커" 라고 일컫는 스튜디오 모니터의 어원을,
또 패시브,액티브 로 나뉘는 다른 장비들도 있는데(DI BOX,PICK-UP,CUEBOX ..또 뭐가있지? -_-;;)
멀티앰프시스템에서의 그것 으로 단정짓는건 무리가 있다는게 제 생각의 요지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