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자교【滿字敎】
2교(敎)의 하나. 소승교(小乘敎)를 반자교(半字敎)라고 하는 데 비해서, 대승교(大乘敎)는 뜻이 원만하여 글자가 완성된 것과 같으므로 만자교(滿字敎)라고 한다. 천태종에서는 통(通).별(別).원(圓)의 3교를 말한다.
만참【晩參】
주지나 방장이 야간에 행하는 법문. 조간설법(朝間說法)을 조참(朝參;早參)이라 하고, 오후[申時]설법, 또는 저녁 공양 후의 설법을 만참(晩參), 또는 모참(暮參)이라고 한다. 법상(法床)에 오르지 않고 흔히 저녁 공양 후에 아무 격식 없이 편안히 법문하는 것을 소참(小參), 또는 만소참(晩小參)이라고 한다.
만트라【mantra】
문자.언어의 뜻. 종교적으로는 찬가(讚歌).제사(祭詞).주문(呪文) 등을 나타내는 말인데, 인도에서는 베다성전이나 그 본문인 상히타를 가리킨다. 한편 탄트라교에서는 샤크티[性力] 숭배의 의례에서 사용하는 기도문, 요가학파에서는 음성에 의한 수행법을 의미한다. 대승불교에서는 제불(諸佛)을 상징하는 산스크리트 문자, 또는 불타(佛陀)에 대한 찬가나 기도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특정한 말을 가리킨다. 한자(漢字)로는 진언(眞言)이라고 음역하는데, 밀교에서는 만트라를 다라니라고 부르며, 이것을 독창(獨唱)하고 관상(觀想)함으로써 해탈할 수 있다고 믿는다. 후에 이 법리(法理)를 준행하는 종파를 진언종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콘사이스 판 불교사전(민족사:김승동 편저)에서 모셔왔습니다.

성불하십시오!
첫댓글 ()........
감사합니다 _()_
_()_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