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수화의 이론들
수-당 시기에 산수화가 나타났다.
너무 오래 된 옛날이라서 작품으로 남아있는 것은 아주 드물다. 그러나 남북조 시대에 산수화 이론들이 나옴으로, 산수화의 유행을 예고하고 있다. 그 중의 유명한 이론을 보기로 하자.
1. 고개지의 畵雲臺山記
최초의 산수화에 관한 문헌이다.
그는 이 책에서 傳神論을 주장하면서,, 그림이란 神을 그리는 것이라고 하였다.
2. 종병(575-443)의 畵山水序
이 책은 최초의 산수화론이라고 한다. 산수화는 道와 서로 통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산수화는 산수의 정신을 그려야 한다고 했다. 산수의 아믐다음은 인간 정신을 도야한다.
또 먼 곳은 작게, 가까운 곳은 크게(遠小近大) 그리는 원리를 발견하였다.
그림의 道이론은 역대 문인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이론이 되었다.
3. 왕미(王微)의 敍畵
神明이 강림한다고 하여 神明論을 펼쳤다.
중국 회화사에서 산수화가 나타나는 배경에는 文人士大夫가 문학적 소양을 쌓고, 시간의 여유가, 경제적 풍요가 나타나면서 자연스래 회화 쪽으로 눈을 돌리게 된다. 그래서 상류층이 여기로 그림을 그리므로서 자연스럽게 나타났다.
인물 중심의 그림에서 배경 역할을 하던 산수가 인물-산수의 분리가 나타나면서 산수화는 하나의 장르로 독립하였다.
앞에서 말한 산수화 이론은 사대부들이 산수화를 그리고, 감상하는 이론을 재공을 하였다.
첫댓글 산수화에 대한 글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