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title_06.gif)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01.gif) |
장점 |
경량이므로 기존건물에 하중영향이 적다. 가공성, 시공성 우수 ROLL COATING 방식으로 색상이 균일하며 평활도가 우수 |
단점 |
가공, 시공성은 우수하나 충격에 약함 과거에 화재에 의한 연소우려가 있었으나 불연심재가 개발됨 표면오염 가능으로 유지관리비 증가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02.gif) |
― 초내후성 불소수지 알미늄시트 사용 |
장점 |
판재 Loss분 재활용 가능 |
단점 |
스프레이코팅방식으로 불소함유량 미달 가능성이 있고 회사별 품질차이가 많다. 규격제한 있으며 스프레이코팅방식으로 표면이 미려하지 못하고 색상의 균일성 보장불가능 표면오염 가능, 유지관리비 증가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03.gif) |
― 벌집 모양의 알미늄. 하니콤 코아를 중심으로 그위에 알미늄 등을 접착시킨 샌드위치 판넬 |
장점 |
경량이며 시공성 우수 표면재와 코어가 같은 알미늄이므로 대기온도에 의한 변형우려가 없다. 타자재에 비해 방음성, 단열성은 우수 ROLL COATING방식으로 색상이 균일하며 평활도가 우수 |
단점 |
가공성이 떨어짐 제조공법상 고가이다. 표면오염 가능으로 유지관리비 증가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04.gif) |
― 극저 탄소강판(1.6T)위에 자기질 고체물질을 스프레이 하여 건조한후 850℃의 고온 소성 |
장점 |
고강성이며 내후성, 내열성, 내오염성이 매우 우수 |
단점 |
코팅부분 손상에 의한 녹물발생 가능 중량이므로 시공성이 알미늄계보다 뒤지며, 규격제한이 있다. 운반, 설치시 충격에 의한 파손 가능성 주의 높은 온도에서 소성하므로 평활도가 불량하다.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05.gif) |
― 초 내후성 불소수지 아연도강판을 사용 |
장점 |
고강성이며 내후성, 내열성, 내오염성이 매우 우수 |
단점 |
코팅부분 손상에 의한 녹물발생 가능 중량이므로 시공성이 알미늄계보다 뒤지며, 규격제한이 있다. 운반, 설치시 충격에 의한 파손 가능성 주의 높은 온도에서 소성하므로 평활도가 불량하다.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06.gif) |
― 알미늄 시트판등에 저온에서 소성이 가능한 무기질 세라믹 도료를 코팅함 |
장점 |
알미늄판, 강판 모두 가능하다. 표면의 경도, 내오염성등은 우수 |
단점 |
일정한 규격이 없고 회사별 세라믹의 조합과정이 틀리므로 주의 규격제한 있음
| |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title_07.gif)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07.gif) |
― 합성수지 에멀젼페인트, 조합페인트, 스파바니쉬, 투명락카, 타르에폭시수지도료, 알키드 수지 바니쉬, 슬레이트 및 기와용페인트, 자연건조형 알키드수지에나멜등이 있고 (주) 세라켐의 리노코트등 기존 타일위에 바로코팅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첨단제품도 등장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08.gif) |
장점 |
다양한 색상과 바탕재질 및 기능에 따른 다양한 도료 선택 가능 |
단점 |
일반도장의 경우 시공불량에 따른 하자발생 가능성이 많음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09.gif) |
― 도장의 목적은 구조물의 부식방지 및 미관을 부여하는데 있다. 최근에는 우수한 고기능성 제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어 건물기능에 맞춘 외관의 다양화가 기대됨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title_08.gif)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10.gif) |
석재종류 |
인조석, 화강암, 안산암, 사암, 점판암, 대리석, 사문석등이 있고 외장재로는 화강암과 인조석등이 많이 쓰임
국내석 - 포천석, 황등석, 문경석 수입석 - 임페리얼레드, 칼멘레드, 발틱브라운 | |
|
습식공법 |
구체콘크리트와 판석을 Anchor, 하지철물, 연결철물등으로 긴결하고 중간부를 Mortar로 채움 고층건물에 부적당함 |
건식공법 |
구조체와 판석을 철제지지철물 (Fastener, 촉, Anchor Bolt등)로 긴결 고정하는 공법 구조계산에 의한 설계 · 시공으로 풍압, 지진등을 견디며, 습식 공법의 단점인 백화현상, 얼룩짐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
STEEL FRAME 공법 (GPS) |
형강으로 제작된 STEEL FRAME에 마감된 판석을 건식으로 긴결 고정 하는 공법 철골재의 내화피복과 단열처리가 필요
|
GPC공법
|
공장에서 판석을 선붙임한 PRECAST CONCRETE CURTAIN WALL을 제작하여 현장에서 구체에 부착하는 공법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11.gif) |
장점 |
다양한 색상과 바탕재질 및 기능에 따른 다양한 도료 선택 가능 |
단점 |
일반도장의 경우 시공불량에 따른 하자발생 가능성이 많음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12.gif) |
- 경기 포천, 가평지역 / 전북 익산지역 / 경남 거창지역등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13.gif) |
- 수출 증가세가 반전되고 업계는 과당경쟁, 공장 가동률의 저하,덤핑판매 등으로 고전 - 수출활로를 타개하기 위한 품질고급화, 인조석 수요의 증가에 편승하여 더욱 우수한 성질과 다양한 색상을 구비한 자재 개발 필요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title_09.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14.gif) |
― 소지질에 따라 도기, 석기, 자기질로 분류하고 외장재로는 흡수성이 낮은 자기나 석기질 이 주로 쓰임 ― 흡수율은 동해와 중요한 관계가 있으므로 도기질타일은 외장용도로 쓰이지 않는다.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15.gif) |
장점 |
내화성, 내구성, 내수성이 뛰어남. |
단점 |
불량시공시 균열, 들뜸, 탈락, 백화, 동해등 각종 하자가 발생할 소지가 많다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16.gif) |
― 예전에는 건축외장재로 주로 타일이 사용되었으며 습식공법으로 시공되어져 하자 발생 소지가 많았다.
최근에는 주로 PC위의 타일붙임, 행거타입 타일 등의 건식공법으로 시공되고 있으며 독일,이태리 등지에서 생산되는 대형 외벽용 타일이 수입되어 트러스를 설치한 후 석재류와 같은 방식으로 시공되어져 좋은 평을 얻고 있는 실정이다.
* 외장용 대형타일의 장점으로는 다양한 화강석,대리석 무늬를 얻을 수 있으며 석재에 비해 강도는 강하면서 무게는 적게 나가고 아무리 많은 수량이라도 균일한 색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변색이나 탈색 없이 영구히 같은 색상을 유지한다.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title_10.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17.gif) |
― 기존 구조물위에 발포단열판(E.P.S. FORM)을 부착시키고 그 위에 접착몰탈을 바른 후 보강용 유리섬유를 부착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다양한 색상의 마감재를 미장 도포하여 마감하는 공법으로 에너지절약 및 경비절약을 할 수 있는 외단열공법으로 주로 쓰인다.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18.gif) |
장점 |
경량부재로 단열성, 시공성, 경제성 우수, 외관이 미려함. 조형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건물에 적용이 가능함. |
단점 |
석고블럭에는 시공이 불가능함 디자인 표현 및 유지보수에 한계가 있음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19.gif) |
― 중저층건물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으며 더욱 고기능화된 자재와 시공법의 개발로 수요가 꾸준히 유지될 것임.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title_11.gif)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20.gif) |
― 건물의 하중을 부담하지 않는 비내력벽으로써 설치와 제거가 자유로와야 하며 골조에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게 됨 ― 풍압, 충격등에 견뎌야 하고 외장재로써 필요한 방수, 단열, 차음, 내구성 등이 요구됨 ― 외관디자인의 결정적 요소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21.gif) |
― 판유리, 관유리, 결정화유리같은 특수유리등이 있으며 외벽재로는 두장의 판유리사이 중간의 건조공기층을 갖도록한 복층유리등이 주로 쓰임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22.gif) |
장점 |
최대한으로 밝은 실내조성 단순명쾌한 입면 가능 가볍고 경제적인 건물 다양한 색상과 다양한 기능의 유리재로 디자인 선택의 폭이 넓음 |
단점 |
석고블럭에는 시공이 불가능함 디자인 표현 및 유지보수에 한계가 있음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23.gif) |
― SSG공법(Structual Sealant Glazing) : 실리콘실링재를 이용하여 유리와 구조체를 접착하여 구조체(Bar)의 형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 ― D.P.G.(Dot Point Glazing)공법 : 유리에 특수 홀가공을 한 후 볼트를 삽입하여 시공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dryvitcoat.co.kr%2Fimage%2Fremodeling%2Fc_under_24.gif) |
― 알미늄 프레임을 제거한 스타일공법등의 출현등 건축 패러다임의 창출효과가 높아 도시외관의 다양성에 크게 기여할 것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