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상8:44
솔로몬이 드린 둘째부터 다섯째까지의 기도들입니다. 전쟁에서 패배했을 때, 가뭄 때, 재앙과 질병과 외세 침략 때의 기도, 그리고 마지막은 이방인을 위한 기도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이 모든 상황의 주관자이고 만유의 주재라는 믿음 없이는 결코 드릴 수 없는 기도입니다. These are the prayers from the second to the fifth that Solomon gave. Prayers in times of defeat in war, in times of drought, in times of catastrophe and disease and foreign invasion, and the last is prayers for strangers. This is a prayer that can never be given without the belief that God is the master of all these situations and the presidency of all things. -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듯이 성전은 작고, 삶은 넓고도 넓습니다. 하나님의 임재가 머무는 성전이 성도의 삶의 중심에 있지만, 성도들이 살아 가는 삶의 지평은 성전의 경계를 뛰어 넘습니다. 솔로몬은 여섯 번째 기도를 통해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전쟁에 나갈 때 주의 백성이 주께서 택하신 성 예루살렘과 성전을 향하여 기도하면 들으시고 돌보아 달라고 간구합니다. Just as the world is wide and there are many things to do, the temple is small, and life is wide and wide. Although the temple where God's Imjae stays is at the center of the saint's life, the horizon of life in which the saints live exceeds the boundary of the temple. In his sixth prayer, Solomon asks that when your people pray toward the Holy Jerusalem and the Temple of the LORD, when they go to war that God allows them to listen and take care of them. - 범죄 하지 않는 사람이 없습니다. 애급에서 인도하여 내신 것은 주의 백성 주의 소유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구원이란 내가 하나님을 소유하거나 나의 소유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내가 주의 소유가 되는 것입니다. 나의 전부가 주의 것이 되는 것입니다. There's no one who doesn't commit a crime. It is said that the reason for the guidance of the family was because it belonged to the Lord of the people of the LORD. Salvation does not mean that I own God or increase my possession, but that I belong to the Lord. My whole being the Lord's. - 이것이 주의 기업을 삼으신다는 내용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를 위하여 기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주의 소유, 주의 기업을 주의 이름 때문에 용서하여 달라고 하는 것이 기도입니다. 이스라엘의 전쟁은 모두 하나님의 전쟁이기에 하나님이 나서면 당해낼 나라가 없습니다. That's what it's about to use as a state enterprise. Therefore, do not pray for us, but belong to the Lord It is a prayer to ask companies to forgive because of the name of the Lord. Since Israel's war is all God's war, there is no country to fight if God steps forward. - 솔로몬은 백성이 타국에 포로로 잡혀갈 수 있다는 모세의 경고를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신28:36-37, 30:1-10). 하지만 바로 그곳 포로 된 적국의 땅에서마저 기도하면 응답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습니다. 나라가 망하고,성전이 무너져도 하늘의 하나님은 여전히 역사의 주인이기 때문입니다. Solomon remembered Moses' warning that the people could be taken prisoner by another country (God 28:36-37, 30:1-10). But even in the land of the captive enemy right there, they are asking you to respond if you pray. The country is ruined, Because even if the temple collapses, God of heaven is still the master of history. - 예루살렘이 아니라 먼 타국에서 초월의 하나님은 자기 백성의 기도를 들으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죄악과 징계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여전히 만민 가운데 구별하여 부르신 하나님의 백성이요, 소유요,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회개가 회복의 길이라는 것은 맞지만, 차가운 교리공식은 아닙니다. Because God of transcendence can hear the prayers of his people in a faraway country, not Jerusalem. For despite sin and punishment, they are still the people, possessions, and enterprises of God, whom they have called distinctly among the people. It is true that repentance is the path to recovery, but it is not a cold doctrine formula. - 온 마음과 온 뜻으로 주께 돌아오는 회개여야 합니다. 온 마음과 온 뜻으로 주께 돌아오는 회개여야 합니다. 반복적이고 상투적인 회개를 통해 스스로 자기 죄를 용서하고 스스로 위로를 얻은 일은 하지 말아야합니다. 진심으로 회개하기만 하면, 사로잡혀간 땅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돌이킨다면, 하나님 도 마음을 돌이켜 그들을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돌아가게 하실 것입니다. It must be repentance that comes back to the LORD with all your heart and all your heart. It must be repentance that comes back to the LORD with all your heart and all your heart. Through repetitive and clichéic repentance, you should forgive yourself for your sins and do not do what you have comforted yourself. If the people of Israel return from the land they have taken, God will also turn his heart and return them to Canaan, the land of promise. - 기도의 초점과 대상에 대한 확신이 모호한가, 분명한가? 기도할 수 있는데 왜 걱정하는가? Is the focus of prayer and conviction of the object ambiguous or clear? Why are you worried when you can pray? - 솔로몬의 기도(33-43) a.중보 기도2, 패전에 대한 기도:33-34 b.중보 기도3, 가뭄에 대한 기도:35-36 c.중보 기도4, 재앙과 질병에 대한 기도:37-40 d.중보 기도5, 아방인의 간구에 대한 기도:41-43 - 만일 주의 백성 이스라엘이(33a) 주께 범죄 하여(33b) 적국 앞에 패하게 되므로(33c) 주께로 돌아와서(33d) - 주의 이름을 인정하고(33e)
이 성전에서 주께 기도하며 간구하거든(33f) 주는 하늘에서 들으시고(34a) 주의 백성 이스라엘의 죄를 사하시고(34b) - 그들의 조상들에게 주신 땅으로 돌아오게 하옵소서(34c) 만일 그들이 주께 범죄 함으로 말미암아(35a) 하늘이 닫히고 비가 없어서(35b) 주께 벌을 받을 때에(35c) - 이곳을 향하여 기도하며 주의 이름을 찬양하고(35d) 그들의 죄에서 떠나거든(35e) 주는 하늘에서 들으사(36a) 주의 종들과 주의 백성 이스라엘의(36b) - 죄를 사하시고(36c) 그들이 마땅히 행할 선한 길을 가르쳐 주시오며(36d) 주의 백성에게 기업으로 주신 주의 땅에(36e) 비를 내리시옵소서(36f) - 만일 이 땅에 기근이나(37a) 전염병이 있거나 곡식이 시들거나(37b) 깜부기가 나거나 메뚜기나 황충이 나거나(37c) 적국이 와서 성읍을 에워싸거나(37d) - 무슨 재앙이나 무슨 질병이 있든지 막론하고(37e) 한 사람이나 혹 주의 온 백성 이스라엘이(38a) 다 각각 자기의 마음에 재앙을 깨닫고(38b) - 이 성전을 향하여 손을 펴고(38c) 무슨 기도나 무슨 간구를 하거든(38d) 주는 계신 곳 하늘에서 들으시고(39a) 사하시며(39b) - 각 사람의 마음을 아시오니(39c) 그들의 모든 행위대로 행하 사 갚으시옵소서(39d) 주 만 홀로 사람의 마음을 다 아심입니다(39e) 그리하시면 그들이(40a) - 주께서 우리 조상들에게 주신 땅에서(40b) 사는 동안에 항상 주를 경외 하리이다(40c) 또 주의 백성 이스라엘에 속하지 아니한 자(41a) 곧 주의 이름을 위하여(41b) - 먼 지방에서 온 이방인이라도(41c) 그들이 주의 크신 이름과(42a) 주의 능한 손과 주의 펴신 팔의 소문을 듣고(42b) 와서 이 성전을 향하여 기도하거든(42c) - 주는 계신 곳 하늘에서 들으시고(43a) 이방인이 주께 부르짖는 대로 이루 사(43b) 땅의 만민이 주의 이름을 알고(43c) - 주의 백성 이스라엘처럼 경외하게 하시며(43d) 또 내가 건축한 이 성전을(43e) 주의 이름으로 일컫는 줄을 알게 하옵소서(43f) - 죄를 깨닫게 하시는 성전의 하나님_ God of the Temple who makes you realize your sins 죄를 용서하시는 성전의 하나님_ God of the Temple forgiving of sin 만민의 기도도 들으시는 성전의 하나님_ God of the Temple who also hears all the people's prayers - 때대로 죄를 보라고 징벌을 주시는 주님, 사면초가의 상황에서 벗어나기만을 바라보고 있는 저를 불쌍히 여겨주옵소서. 만일 이것이 주께서 내리신 징벌이라면 달게 받게 하시고 회개하게 하옵소서. May the Lord punish you for your sins, Please feel sorry for me for only looking at getting out of the beleaguered situation. If this is the punishment of the LORD, let it be sweet and repentant. 2023.9.23.sat.Cl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