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 통풍은 어떤 약을 주로 씁니까? |
통풍에 대한 알맞은 약물사용은 개개인에 따라 다르고 경우에 따라서 바꿀 필요도 있다. 사용되는 약물은 대개 강력하므로 왜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지, 부작용으로 어떤 것이 나타나는지, 만일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둘 필요가 있다. ① 콜키신 또는 다른 비스테로이드 계통 소염진통제 약물 |
|
19. 통풍에 따른 주의사항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습니까? |
▶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을 자주 보아야 신장에 요산결석이 쌓이는 것을 줄여 줍니다. |
고요산혈증
통풍, 요산결석과 같은 퓨린(purine) 대사 이상 환자는 퓨린의 섭취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요산 결석은 고요산뇨증, 탈수, 소변의 심한 산성화 결과로써 초래될 수 있습니다. 요산은 퓨린 대사의 최종 산물입니다. 일반적으로 퓨린 함량이 높은 식품은 산성 함량이 높으며 소변을 산성화하는 경향이 있고, 요중에 요산 배설을 증가시킵니다. 혈중 요산을 감소시키는 식사는 퓨린 제한식으로, 퓨린체의 대사이상으로 인해 혈액의 요산치가 증가하고, 요산의 배설량이 감소, 요산이 체내에 축적됨으로써 통풍 및 요산결석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는 식사입니다.
어떻게 식사를 해야 할까요?
1. 퓨린의 함량이 높은 단백질 식품의 섭취에 주의합니다.
단백질 식품에는 퓨린의 함량이 높습니다. 특히. 내장부위(심장, 간, 지라, 신장, 뇌, 혀...), 고기국물(설렁탕, 곰탕, 물냉면, 삼계탕...), 거위, 정어리, 청어, 멸치(멸치 다신 물 포함), 고등어, 참치, 가리비 조개 등의 섭취는 줄이시고, 살고기(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와 전갱이, 참치, 연어, 송어, 대구, 꽃게, 가재, 굴, 해삼 등은 1주일에 1-2번 소량씩만 드십시오.
2. 지나친 지방의 섭취를 피하십시오.
지방은 요산 배설을 방해합니다. 식물성 기름으로 소량씩만 조리에 사용하시고, 기름진 튀김류, 전, 부침, 볶음, 양식, 중국음식 등은 가능한 피해 주십시오.
3. 가능한 금주하십시오.
술은 요산의 배설을 방해하고 요산의 합성을 촉진시킵니다.
4. 정상체중을 유지하십시오.
과체중인 경우 체중감량이 필요합니다.
5. 물을 많이 드십시오.
혈중 요산 농도의 희석 및 요산의 배설 촉진을 위해 하루 10잔 이상의 물을 드실것을 권합니다.
6. 두유는 요산의 함량이 높으므로 가급적 피하도록 합니다.
곡류와 콩류의 씨눈 등은 요산을 생성하므로 도정한 곡류의 사용을 권합니다. 두부는 자유롭게 드실 수 있으나, 두유는 가급적 섭취를 줄입니다.
7. 싱겁게 드시고, 육류 조리시 굽는 것보다는 삶아서 국물을 제외하고 드십시오.
식품중의 퓨린 함량(100g 기준)
적은 식품(0-15mg) | 중간 식품(50-150mg) | 많은 식품(150-800mg) |
달걀, 치즈, 우유 곡류(오트밀, 전곡제외), 빵, 채소류(나머지) 과일류, 설탕
| 고기류, 가금류, 생선류, 조개류, 콩류(강남콩, 잠두류, 완두콩, 편두류) 채소류(시금치, 버섯, 아스파라거스, 컬리플라워) | 내장부위(심장, 간, 지라, 신장, 뇌, 혀), 육즙, 거위, 생선류(정어리, 청어, 멸치, 고등어, 가리비조개)
|
*제한없이 섭취할 수 있음 | *회복정도에 따라 소량 섭취할 수 있음 | *급성기인 경우, 증세가 심할 때 섭취할 수 없음 |
츌처 경희의료원 임상영양센터
전곡(田穀)[명사] 밭에서 나는 곡식. [팥·콩·녹두·수수 따위.] 밭곡식
※ 식품 100g 중 퓨린 체 함유량
I군. 퓨린 체 함유량이 특히 많은 식품(식품 100g중 150~ l,500 mg) |
정어리, 안초비, 간장, 췌장, 뇌, 고기 엑기스, 육즙, 콩가루 |
II군. 퓨린 체 함유량이 I 군보다 약간 적은 식품(식품 100g중 50 ~ 150mg) |
육류(수ㆍ조ㆍ어)와 그 가공품(햄ㆍ소시지ㆍ베이컨), 고기 수프 두류(대두ㆍ팥)와 그 가공품(간장ㆍ된장ㆍ청국장), 곡물을 그늘에서 싹 틔운 식품이나, 그늘에서 희고 연하게 재배하여 식용으로 하는 식물(콩나물ㆍ숙주나물ㆍ엿기름ㆍ파드득 나물ㆍ아스파라거스ㆍ땅 두릅 따위) |
III군. 퓨린 체 함유량이 적거나 함유치 않은 식품(식품 100g중 0 ~ 20mg) |
곡류(쌀ㆍ보리ㆍ메밀ㆍ옥수수)와 그 가공품(크래커ㆍ마카로니ㆍ스파게티ㆍ오트밀) 덩이줄기(감자ㆍ고구마ㆍ토란)와 그 가공품(감자가루ㆍ갈분) 과일과 그 가공품(통조림ㆍ jamㆍ과즙), 야채류(전체) 두류(강낭콩ㆍ완두콩)과 그 가공품(두부). 해조류(다시마ㆍ김ㆍ미역) 난류(달걀ㆍ말린 청어 알ㆍ캐비아ㆍ연어 알 젓) 우유와 그 가공품(치즈ㆍ버터) 유지류(샐러드 유ㆍ튀김 기름) 조미료(식초ㆍ소금ㆍ장유ㆍ설탕ㆍ꿀ㆍ물엿) 기호품(커피ㆍ코코아ㆍ초콜릿ㆍ차ㆍ탄산음료) 기타(젤라틴ㆍ젤리ㆍ간유ㆍ나무열매ㆍ땅콩버터 |
첫댓글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