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설업 호황으로 인해 중장비 수요 증가 -
- 고가 장비이다 보니 바이어들이 수입 시 가격, 브랜드, A/S여부 등 꼼꼼히 따져 -
- 공사 기한에 맞춰 공급 및 교체/수리가 신속히 이루어져야 -
ㅁ 시장동향
ㅇ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제2차 국가개발계획(PND 2016-2020)을 수립함에 따라 2020년 신흥국 진입을 목표로 인프라 확충에 주안점을 두고 있음.
- 더욱이 코트디부아르는 연간 약 40만 개의 주거지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건설시장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
- 건설업 붐과 함께 건설 중장비의 수요 역시 증가하는 추세임. 특히 화물차량, 크레인, 불도저의 수입량은 계속 상승 중
ㅇ 하지만 코트디부아르에는 건설중장비 생산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임.
- 중장비 판매 업체들은 대부분 렌탈도 병행하고 있으며, 중고를 수입하는 경우도 많음.
ㅁ 제품별 수입현황
ㅇ 코트디부아르의 최근 중장비 제품별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2017년 기준 (HS Code 8207)굴착용 공구 및 유압식 브레이커류의수입이 약 815만 달러, (HS Code 8426)크레인이 1520만 달러, (HS Code 8429)불도저, 앵글도저 등이 5607만 달러, (HS Code 8431) 중장비 부룸퓨가 4093만 달러, (HS Code 8704) 화물차량이 9960만 달러, (HS Code 8705) 특수용도차량이 1099만 달러를 기록함.
중장비 제품별 수입현황
(단위 : 천 US$, %)
제품명 | 수입액 | 증감율 '17/'16 | ||
2015 | 2016 | 2017 | ||
(HS Code 8207) 굴착용 공구, 유압식 브레이커 등 | 9,351 | 13,388 | 8,153 | -39.10 |
(HS Code 8426) 크레인, 크레인이 결합된 작업트럭 등 | 9,644 | 10,847 | 15,100 | 39.21 |
(HS Code 8429) 불도저, 앵글도저, 그레이더, 탬핑머신 등 | 53,989 | 40,043 | 56,069 | 40.02 |
(HS Code 8431) 중장비 부품류 | 98,630 | 54,307 | 40,930 | -24.63 |
(HS Code 8704) 화물차량 | 123,901 | 104,857 | 99,601 | -5.01 |
(HS Code 8705) 소방차, 콘크리트믹서 운반차, 도로청소차 등특수용도차량 | 28,853 | 24,748 | 10,991 | -55.59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ㅇ (HS Code 8207) 굴착용 공구, 유압식 브레이커
- (상세제품) 프레싱(pressing)용, 스탬핑(stamping)용, 펀칭(punching)용, 태핑(tapping)용, 드레딩(threading)용, 드릴링(drilling)용, 보링(boring)용, 브로칭(broaching)용, 밀링(milling)용, 터닝(turning)용, 스크루드라이빙(screw driving)용 등
- 전체 수입규모 중 굴착용 드릴 및 부품류가 가장 큰 비율(약 60%)을 차지함. 주로 미국, 벨기에, 영국에서 수입
HS Code 8207 굴착용 공구, 유압식 브레이커 주요 수입국
(단위 : 천 US$, %)
순위 | 국가명 | 수입액 | 점유율 |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
1 | 미국 | 2,144 | 2,806 | 2,863 | 22.93 | 20.96 | 35.12 |
2 | 벨기에 | 298 | 1,001 | 1,194 | 3.19 | 7.48 | 14.64 |
3 | 영국 | 2,077 | 5,796 | 1,037 | 22.21 | 43.29 | 12.72 |
4 | 프랑스 | 1,705 | 1,254 | 678 | 18.24 | 9.37 | 8.32 |
5 | 호주 | 186 | 207 | 512 | 1.99 | 1.54 | 6.28 |
6 | 중국 | 394 | 158 | 257 | 4.21 | 1.38 | 3.15 |
7 | 독일 | 172 | 326 | 233 | 1.84 | 2.44 | 2.86 |
8 | 캐나다 | 226 | 102 | 180 | 2.42 | 0.76 | 2.21 |
9 | 아랍에미레이트 | 3.5 | 68 | 140 | 0.04 | 0.51 | 1.72 |
10 | 이탈리아 | 668 | 371 | 124 | 7.15 | 2.77 | 1.52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 미국의 경우 매년 20%가 넘는 점유율을 차지하며 부동의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음. 미국으로부터 주로 수입하는 제품 역시 굴착용 드릴 및 부품류로 집계됨.
ㅇ (HS Code 8426) 크레인, 크레인이 결합된 작업트럭 등
- (상세제품) 선박의 데릭(drrick), 크레인(케이블크레인을 포함), 이동식 양하대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크레인이 결합된 작업트럭
- 주요 수입국가로는 핀란드, 중국, 이탈리아 등이 있으며 핀란드의 경우 2017년만 예외적으로 급격히 수입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HS Code 8426 크레인, 크레인이 결합된 작업트럭 등 주요 수입국
(단위 : 천 US$, %)
순위 | 국가명 | 수입액 | 점유율 |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
1 | 핀란드 | 21 | 0 | 6,524 | 0.22 | 0.00 | 43.21 |
2 | 중국 | 2,879 | 5,135 | 4,344 | 29.86 | 47.34 | 28.77 |
3 | 이탈리아 | 1,503 | 1,416 | 1,346 | 15.59 | 13.06 | 8.92 |
4 | 미국 | 0 | 1,234 | 900 | 0.00 | 11.38 | 5.96 |
5 | 프랑스 | 1,108 | 1,394 | 531 | 11.49 | 12.85 | 3.51 |
6 | 벨기에 | 56 | 167 | 326 | 0.59 | 1.54 | 2.16 |
7 | 터키 | 29 | 0 | 326 | 0.30 | 0.00 | 2.16 |
8 | 인도 | 149 | 330 | 235 | 1.55 | 3.04 | 1.55 |
9 | 포르투갈 | 6 | 0 | 187 | 0.06 | 0.00 | 1.24 |
10 | 독일 | 19 | 237 | 110 | 0.20 | 2.19 | 0.73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 2017년 기준, 스트래들 캐리어, 타워크레인, 고소작업차가 전체 수입품의 약 90% 이상을 차지함. 2015년에는 교량용 크레인과이동식 크레인의 수입 비중이 약 70%에 달했으나 최근 급감함. 급감한 원인으로는 렌탈업체를 주로 이용하면서 수입이 감소한 것으로 예상됨.
ㅇ (HS Code 8429) 불도저, 앵글도저, 그레이더, 탬핑머신 등
- (상세제품) 자주식 불도저(bulldozer), 앵글도저(angledozer), 그레이더(grader), 레벨러, 스크래퍼(scraper), 메커니컬셔블(mechanical shovel), 엑스커베이터(excavator), 셔블로더(shovel loader), 탬핑머신(tamping machine), 로드롤러(road roller)
- 주요 수입국가로는 중국, 일본, 벨기에, 미국, 프랑스 등이며 한국도 2017년 기준 약 350만 달러를 수출하며 6위를 기록함.
HS Code 8429 불도저, 앵글도저, 그레이더, 탬핑머신 등 주요 수입국
(단위 : 천 US$, %)
순위 | 국가명 | 수입액 | 점유율 |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
1 | 중국 | 15,085 | 11,790 | 18,818 | 27.94 | 29.44 | 33.56 |
2 | 일본 | 4,901 | 3,681 | 10,094 | 9.08 | 9.19 | 18.00 |
3 | 벨기에 | 3,753 | 4,116 | 4,391 | 6.95 | 10.28 | 7.83 |
4 | 미국 | 6,575 | 4,147 | 3,790 | 12.18 | 10.36 | 6.76 |
5 | 프랑스 | 1,846 | 3,453 | 3,765 | 3.42 | 8.62 | 6.72 |
6 | 한국 | 5,468 | 3,161 | 3,523 | 10.13 | 7.89 | 6.28 |
7 | 가나 | 45 | 47 | 1,835 | 0.08 | 0.12 | 3.27 |
8 | 브라질 | 1,533 | 618 | 1,750 | 2.84 | 1.54 | 3.12 |
9 | 이탈리아 | 2,022 | 1,097 | 1,749 | 3.75 | 2.74 | 3.12 |
10 | 모로코 | 8.8 | 1,540 | 1,676 | 0.02 | 3.85 | 2.99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 주로 수입되는 품목을 살펴보면, Shovel, 불도저 등의 중장비들이 약 33%를 차지하는 가운데 그 뒤를 이어 굴착기, 그레이더&레벨러 등이 각각 15% 내외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국의 주요 수입품 역시 Shovel, 불도저(70% 이상) 등인 것으로 확인됨.
ㅇ (HS Code 8431) 중장비 부품류
- (상세제품) 불도저나 앵글도저의 블레이드, 유압브레이커, 크러셔 등
- 2017년 기준 부품류 수입은 미국이 약 1557만 달러를 수입하며 가장 큰 비중(약 38%)을 차지하였고, 그 뒤를 이어 영국(약 452만 달러, 11%), 프랑스(약 410만 달러, 10%)가 차지하고 있음.
HS Code 8431 중장비 부품류 주요 수입국
(단위 : 천 US$, %)
순위 | 국가명 | 수입액 | 점유율 |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
1 | 미국 | 39,148 | 14,141 | 15,571 | 39.69 | 26.04 | 38.04 |
2 | 영국 | 23,949 | 11,394 | 4,519 | 24.28 | 20.98 | 11.04 |
3 | 프랑스 | 6,762 | 4,498 | 4,093 | 6.86 | 8.28 | 10.00 |
4 | 중국 | 3,101 | 5,515 | 3,456 | 3.25 | 10.16 | 8.44 |
5 | 캐나다 | 398 | 1,677 | 1,628 | 0.40 | 3.09 | 3.98 |
6 | 이탈리아 | 1,751 | 1,014 | 1,377 | 1.78 | 1.87 | 3.37 |
7 | 벨기에 | 1,279 | 2,013 | 1,152 | 1.30 | 3.71 | 2.81 |
8 | 독일 | 1,677 | 1,575 | 1,099 | 1.70 | 2.90 | 2.69 |
9 | 호주 | 703 | 1,505 | 858 | 0.71 | 2.77 | 2.10 |
10 | 네덜란드 | 567 | 1,686 | 692 | 0.57 | 3.10 | 1.69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ㅇ (HS Code 8704) 화물차량
- 화물차량은 중장비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2017년 기준 제1수입국은 남아공으로 꼽히고 있음. 일본, 중국, 태국, 독일, 프랑스 등이 뒤를 잇고 있으며 한국도 약 4백만 달러를 수입하여 전체 시장의 4%를 차지하며 8위에 위치함.
HS Code 8704 화물차량 주요 수입국
(단위 : 천 US$, %)
순위 | 국가명 | 수입액 | 점유율 |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
1 | 남아공 | 18,088 | 16,006 | 18,052 | 14.60 | 15.26 | 18.12 |
2 | 일본 | 18,070 | 12,251 | 13,942 | 14.58 | 11.68 | 14.00 |
3 | 중국 | 13,405 | 12,435 | 10,944 | 10.82 | 11.86 | 10.99 |
4 | 태국 | 13,542 | 11,854 | 10,556 | 10.93 | 11.31 | 10.60 |
5 | 독일 | 11,505 | 8,312 | 9,755 | 9.29 | 7.93 | 9.79 |
6 | 프랑스 | 22,453 | 16,769 | 7,243 | 18.12 | 15.99 | 7.27 |
7 | 인도 | 1,090 | 1,364 | 6,239 | 0.88 | 1.30 | 6.26 |
8 | 한국 | 5,376 | 5,89 | 3,971 | 4.34 | 5.57 | 3.99 |
9 | 네덜란드 | 3,214 | 4,311 | 3,466 | 2.59 | 4.11 | 3.48 |
10 | 시에라리온 | 0 | 0 | 2,526 | 0.00 | 0.00 | 2.54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ㅇ (HS Code 8705) 콘크리트믹서 운반차, 도로청소차 등 특수용도차량
- 주로 수입되는 제품으로는 도로청소차, 구난차, 이동공작차, 이동진료차, 제설차(52.94%), 기중기차(20.5%), 이동식 시추용 데릭(derrick)차(20.17%) 등이 대다수
HS Code 8705 콘크리트믹서 운반차, 도로청소차 등 특수용도차량 주요 수입국
(단위 : 천 US$, %)
순위 | 국가명 | 수입액 | 점유율 |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
1 | 중국 | 3,405 | 6,870 | 3,339 | 11.80 | 27.76 | 30.32 |
2 | 미국 | 0 | 20 | 1,964 | 0.00 | 0.08 | 17.87 |
3 | 독일 | 3,284 | 5,507 | 1,425 | 11.38 | 22.25 | 12.97 |
4 | 일본 | 32 | 1,752 | 1,200 | 0.11 | 7.08 | 10.92 |
5 | 프랑스 | 13,421 | 6,088 | 829 | 46.51 | 24.60 | 7.55 |
6 | 이탈리아 | 1,494 | 981 | 600 | 5.18 | 3.96 | 5.46 |
7 | 터키 | 0 | 1,197 | 361 | 0.00 | 4.84 | 3.28 |
8 | 한국 | 2,437 | 446 | 354 | 8.45 | 1.80 | 3.22 |
9 | 스웨덴 | 29 | 38 | 277 | 0.10 | 0.15 | 2.52 |
10 | 부르키나파소 | 0 | 88 | 262 | 0.00 | 0.35 | 2.39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 주요 수입국가로는 중국, 미국, 독일,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 등이 꼽힘.
- 중국으로부터 수입이 최근 증가한 원인으로는 중국이 지원하는 프로젝트 진행 시 중국산 중장비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임. 이러한이유로 2015년 기준 한국과 중국의 수입액은 약 백만 달러에 그쳤으나, 2017년은 중국 수입이 한국 수입의 10배에 달하는 상황이 초래됨.
ㅁ 코트디부아르 내 주요 건설 중장비 유통기업
ㅇ 코트디부아르 내 주요 건설중장비 유통기업은 장비 판매 및 렌탈까지 겸하고 있음.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음.
주요 건설중장비 유통기업
기업명 및 로고 | 기업정보 |
LOCAGEC | - 기업명 : LOCAGEC - 주소 : Cocody Angré Mahou, Rue des bars - 연락처 : +225 22 00 19 69 / +225 22 42 99 77 +225 89 03 66 49 / +225 89 03 66 53 - 홈페이지 : http://www.locagec.com/ - email : contact@locagec.com |
SAME | - 기업명 : SAME - 주소 : Cocody Vallon rue J95, près de l’Ambassade du Ghana - 연락처 : +225 22 40 54 30 - 홈페이지 : http://www.same-ci.com/ - 취급브랜드 : Doosan, Fiori, Bobcat, Iveco, Hongyan, Hamm, Vogele, Wirtgen |
BIA GROUPE | - 기업명 : BIA GROUPE - 설립년도 : 2012년 - 연락처 : +225 21 35 85 41 - 홈페이지 : https://www.biagroup.com/civ-fr/a-propos-de-bia-cote-divoire/ - 취급브랜드 : Bomag, Cummins, Foton Daimler Automotive, Komatsu, MAN, Sandvik |
SHENGYA MACHINERY | - 기업명 : SHENGYA MACHINERY (중국업체) - 연락처 : +225 40 56 66 66 / +225 78 88 28 88 - 홈페이지 : www.sdshengya.com - 주소 : Resto BLASIKEWA – Gonzagueville, Port-Bouet – 28 BP 1515 Abidjan 28 |
자료원 : 각 업체 홈페이지
ㅁ 관세율
ㅇ 코트디부아르 건설중장비 품목별 관세율은 다음과 같음.
코트디부아르 건설중장비 품목별 관세율
(단위 : %)
HS CODE | 관세(DD) | 통계처리로열티 (RST) | 부가가치세 (TVA) | ECOWAS 귀속세 (PCC) | WAEMU 귀속세 (PCS) |
8207 | 10 | 1 | 18 | 0.5 | 1 |
8426 | 5 | 1 | 18 | 0.5 | 1 |
8429 | 5 | 1 | 18 | 0.5 | 1 |
8431 | 5 | 1 | 18 | 0.5 | 1 |
8704 | 5~10 | 1 | 18 | 0.5 | 1 |
8705 | 5 | 1 | 18 | 0.5 | 1 |
자료원 : 코트디부아르 관세청
- HS Code 8704 화물자동차의 경우 관세가 5~10%로 다양하게 부과되는데, 주로 중고차량의 경우 10%가 부과되는 것으로 조사됨.
ㅁ 시사점
ㅇ 건설중장비의 경우 여타 소모품에 비해 수입 시 바이어가 가격, 브랜드, 품질 등을 모두 꼼꼼하게 고려하는 편임.
-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은 현대, 기아 등 자동차 브랜드 이미지가 좋아 대체로 우호적
- 굴삭기 및 드릴, 브레이커 제품군에서 인지도를 확보한 상태
ㅇ 또한 A업체 바이어 Sylviane AOLIO씨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적시에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특히A/S여부가 매우 중요하다.
- 주문한 제품을 수령하기까지 혹은 A/S를 받기까지의 시간이 오래 소요되면 공사 기간에 차질을 빚게 되고, 이는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함.
ㅇ 따라서 현장에서 발생하는 부품 교체 및 수리 요청에도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현지 협력업체와의 관계 유지도 필수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코트디부아르 관세청, KOTRA 아비장 무역관 자료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