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로 다른 두 무리수 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무리수가 존재한다.
2. 두 자연수 1과 2 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유리수가 존재한다.
3. 서로 다른 두 유리수 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무리수가 존재한다.
4. 두 무리수 루트 2와 루트 3 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유리수가 존재한다.
5. 두 자연수 1과 1000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자연수가 존재한다.
이 설명 들 중에서 5번이 옳지 않다는데요.. 왜 옳지 않고, 5번을 제외한 나머지 설명이 왜 옳은지도 상세히 설명해주세요...
그리고, 한 변의 길이가 각각 2cm,4cm인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과 같은 넓이를 갖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하는 문제가 나왔는데요. 여기서 같은 넓이를 갖는 정사각형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최대한 상세히 가르쳐주세요..
첫번째 문제는 간단합니다. 반례 하나만 들면되죠.. 1001은 자연수이지만 1과 1000사이에 있지 않으므로 틀린 명제입니다. 두번째 문제 한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4이고 4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16이죠?(cm²생략) 두개를 더하면 20입니다. 즉 문제는 한변의 길이가 얼마인 정사각형이라여야 넓이가 20인
3번 그냥 단순하고 서로다른 유리수, 예를 들면 1과 1000, 이수 유리수죠? 정수/0이아닌 정수 로 나타내니까요. 이 사에는 무수히 많은 무리수 존제 함니다. 예를들면 루트2 , 루트3 , 루트2.1 , 루트2.2, 루트3.1뭐 이런식으로 이런문제 풀떈 예를 들어가며 풀면 쉽게 풀림니다..
첫댓글 12월 31일 오늘 내로 리플로 설명 달아주시거나 답변으로 설명드려주시면 감사드립니다..
첫번째 문제는 간단합니다. 반례 하나만 들면되죠.. 1001은 자연수이지만 1과 1000사이에 있지 않으므로 틀린 명제입니다. 두번째 문제 한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4이고 4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16이죠?(cm²생략) 두개를 더하면 20입니다. 즉 문제는 한변의 길이가 얼마인 정사각형이라여야 넓이가 20인
정사각형이 나오냐는말이죠 즉, 식은 x²=20 따라서 x=플러스마이너스루뜨20인데 마이너스는 안되므로 답은 2루뜨5이죠. 3번쨰 문제는 무슨말인지 잘모르겠군요 - _- 죄송합니다 ㅠ_ㅠ
3번 그냥 단순하고 서로다른 유리수, 예를 들면 1과 1000, 이수 유리수죠? 정수/0이아닌 정수 로 나타내니까요. 이 사에는 무수히 많은 무리수 존제 함니다. 예를들면 루트2 , 루트3 , 루트2.1 , 루트2.2, 루트3.1뭐 이런식으로 이런문제 풀떈 예를 들어가며 풀면 쉽게 풀림니다..
반례라.. 그런건 아직 안배웠네요
같은 넓이를 갖는 정사각형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세히 다시 .. 설명 부탁드립니다..
같은 넓이를 갖는 정사각형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세히 다시 .. 설명 부탁드립니다..
2cm인 정사각형의 넓이 = 4cm^2 4cm인 정사각형의 넓이 = 16cm^2 이 두 정사각형 넓이의 합은 20cm^2입니다. 문제에서 물어보는 것은 "두 정사각형 넓이의 합인 20cm^2"와 같은 넓이의 정사각형 한변의 길이를 묻는것입니다.
윗 분이 첫 문제를 특이하게 설명하셨네요. 첫 문제 5번은 반례가 있기 때문에 틀린 것이 아니라, 1과 1000 사이의 자연수 개수는 유한하기 때문입니다. 무수히 많다고 볼 수는 없지요.
자연수는 양의 정수죠. 그래서 1, 2, 3, ... 이런식으로 똑부러지는 형태(?) 입니다. 1~1000사이에는 한정된 자연수가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