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상은 시루떡,돼지머리 웃는 상, 통 북어, 타래실, 소지종이는 꼭 준비하고 여기다 제삿상 처럼 사과,배,감,대추,밤등 과일과 전,적류, 나물류 등 올린다. 물론 이때 제물들은 홀수로 준비한다. 시루떡은 보통 시루째 올리게 되는데, 떡 위에는 타래실 을 감은 북어를 올려놓으면 된다.
◈ 제사상 차리는 법
▶ 제주 : 제주는 穀酒(곡주)로서 즉 쌀로 만든 막걸리나 동동주,약주나, 청주를 사용한다. 술은 원래 神들의 음료로서 즐겨 먹던 것이 었으나 지금에 와서는 인간들이 마신다고 한다
▶ 돼지머리 : 꿈에 돼지가 나타나도 좋은 징조라 생각하듯이 돼지는 다산 다복을 의미하므로 고사에 돼지머리를 사용한다. 돼지머리는 웃음을 띄고. 이마나 얼굴에 상처나 흉터가 없는 인상이 좋은 것으 준비한다.
▶ 시루떡 : 고사에는 일반적으로 붉은 팥시루떡이 사용되며. 산신제용으로는 백설기가 사용된다.시루떡은 고사를 마칠때까지 칼 을 댈 수 없으므로 시루째 고삿상에 올려 놓는다.
▶ 과일 : 가능한 한 햇과일이나 새로 나온 과일을 사용하며 형편에 따라 성의껏 준비한다. 씨없는 과일은 준비하지 않는다. 陰陽 五行에서 陽을 대표하는 대추, 陰을 대표하는 밤, 감(곶감), 배, 사과 등은 깨끗이 씻어서 홀수로 놓는다. 이 때 과일의 종 류도 홀수여야 하며 각 과일의 갯수도 홀수여야 한다.
▶ 포 : 포는 북어로 하되 통북어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 문어포를 쓰던지 생문어를 간혹 사용하기도 한다. 이 때는 말린 것이나 생문어 또는 다리만 준비해도 된다.
▶ 전 : 전은 과거에는 고사장소에서 직접 만들어 사용했는데, 요즘은 미리 적당량을 준비하면 된다. 동태전, 육원전, 고기산적, 꼬치전, 두부적 등 일반적으로 제사상에 오르는 전을 사용한다.
▶ 나물 : 나물은 三色으로 하되 시금치, 도라지, 고사리 정도 준비하면된다.
▶생선 : 조기를 놓는다. 조기는 서쪽에 놓는다.
▶ 정화수: 물은 정화수로(한 그릇) 사용할 것, 도시에서는 생수로 해도 무방하다. 물은 모든 생명의 근원이라는 뜻이 있음.
▶ 쌀 : 쌀은 될 수 있으면 햅쌀로 하는 것이 좋고 한 그릇을 준비한다.
▶ 북어와 실타래 : 실은 굵은 실타래로 준비하며 이는 길게 뻗어 나간다는 영속적인 뜻을 지니고 있다. 북어는 실타래로 감아서 (묶지 말고) 시루떡 중앙에 꼬리부분이 약간 묻히게 하고 머리는 북쪽으로 눕게 한다.
▶ 향/초 : 향과 초를 적당량 준비한다.
축문은 신명앞에 고하는 글이며 그 내용은 제위분께 간소한 제수나마 흠향하시라는 뜻을 고하는 글이다. 고로 한문의 뜻을 풀이하면 잘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은 한글로 알기쉽게 쓰기도 하며 크기는 폭 25cm정도 길이는 36cm정도 크기로 한다.
알아두어야 할 점 ▶ 유(維) : 이어 내려온다는 뜻 ▶ 세차(歲次) : 해의 차례라는 뜻 ▶ 간지(干支) :간지는 천간지지 육십갑자의 그 해의 태세를 쓴 것이며 그 예로 금년이 기미년이면 씁니다 ▶ 모월(某月) : 제사날을 따라 쓰며 제사달이 정월이면 正月 八月이면 八月이라 씁니다. ▶ 모일(某日) : 그 제사날을 쓴 것이며 예를 들어 제사날이 十五日이면 그대로 十五日로 씁니다. ▶ 간지삭(干支朔) : 그 제사달의 초하루라는 뜻으로 제사달 초하루의 일건을 씁니다. 예를 들면 초하루 일진이 정해(丁亥)이면 丁亥라 씁니다. ▶ 간지(干支) : 그 제사날의 일진을 씁니다. 예를 들어보며 十五日이 제사날이고 十五日의 일진이 甲子이면 甲子라고 씁니다. ▶ 감소고우(敢昭告于) : 삼가 밝게고한다는 뜻으로 처상(妻喪)에는 감(敢) 자를 버리고 소고우라고만 쓰며 아우이하는 다만 고우(告于)라고만 씁니다.
여자위의 경우 본관성씨를 쓰며 남자위에는 학생(學生)을 쓰나 만약의 경우 남자가 벼슬를 했을때 학생대신에 그 벼슬의 관직명을 따라서 유인대신 관명을 씁니다
첫댓글 제가 한번씩 필요해서 복사해 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