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희동은 본디 1914년 4월 1일 일제가 부제(府制) 실시에 따라 옛 북부연희방의
궁둥(宮洞), 음월동(陰月洞), 정자동(亭子洞), 염동(廉洞) 등을 병합, 옛 연희궁(延禧宮) 이름을 따
"연희리"라 함에 따라 그 이름이 생겨났다.
연희리는 겨익도 고양군 연희면에 편입되었다가 역시 일제 때인 1936년 4월 1일 경성부의 구역 확장에 따라
경성부에 편입되었고 일본식의 땅이름 방식을 따 '연희정(延禧町)이라 하였다.
광복 뒤 1946년 10월 1일 일제가 만든 찌꺼기 땅이름을 정리할 때 연희동(延禧洞)으로 고쳐졌다.
연희동에는 옛 연희궁 터가 있고 인근에는 6.25때 서울 수복 결전장이엇던 연희고지(104고지)가 있다.
고지 동남쪽 기슭, 곧 염비 뒤에 우뚝 솟은 바위에 104고지 전첩기공비(104高地 戰捷紀念功碑) 10자를 새기고
그 밑 구리판에다 사적을 쓰고 있다.
앞서 말한 대로 연희동의 이름은 조선조 때 연희궁이 있었는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조 제2대 임금 정종(定宗)이 그 아우 태종(太宗)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이곳에 잠시 있었으며
제4대 세종(世宗)대왕도 재위 8년(1426)에 이 궁에 옮겨와 있다가 창덕궁(昌德宮)으로 돌아간 적이 있다.
그 뒤 누에(蠶)농사를 장려하기 위해 동잠실과 남잠실 그리고 서잠실을 두었다.
또 1505년 연산군이 이 연희궁을 다시 꾸며 놀이터를 삼고 날이면 날마다 질탕하게 놀았던 곳이다.
얼마나 그 놀이가 방탕했던지 참외 수박을 산더미 처럼 버려서 까마귀들이 떼를 지어 와 몇 날 며칠을
파 먹는 바람에 '연희궁 까마귀 골 수박 파먹듯 한다'는 속담이 생겼을 정도였다.
어찌 되었던 세월은 흘러 북아현3동과 연희동은 서울에서 고급 주택가로 손 꼽히면서
고급 장교나 재계 인사들이 자리를 잡고 살았다.
북아현3동은 정부기관의 고위관리들이 일찍부터 터를 잡았던 곳
특히 전두환 전 대통령사저와 노태우 전 대통령의 사저가 연희동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옛 연희궁 터의 발복' 이라며 이야기의 소재로 삼곤 했다.
연희동을 끼고 있는 궁둥산은 연희 104고지가 있는104m의 낮은 산으로
한국전쟁때 연합군이 인천상륙작전 후 적들의 최후 방어선인 104고지 전투에서
해병대가 서울 탈환을 위해 격전이 벌어졌던 곳으로 104고지 탈환 후 중앙청으로 진격하여
태극기를 게양하고 서울 외곽 방어선인 북한강의 남양주까지 진격한 후 서울 방어를
육군에게 인계하고 해병대는 다시 인천으로 돌아갔다는 6.25전쟁의 역사적 장소 이기도 하다.
궁둥산 북쪽 아래로는 홍제천이 흐르고 남쪽으로는 멀리 한강이 흐르고
동쪽으로는 연희고개를 건너 안산과 이어지며
연희동 108 - 3번지 한 귀퉁이에 있는 장옥정(희빈) 우물도 있는데
희빈이 내쳐졌을 당시 이 우물물을 마셨고 숙종도 왔었다고 하지만 증거는 없다.
1980년대 시멘트로 막아 버렸던 것을 2009년에 다시 복원을 했다.



첫댓글 연세대 광혜원 근처에 '연희궁 터' 봤는데 연희동 유래와 깊은 연관이 있는듯 하네요
네.. 연세대 내에 있는 광혜원 가보셨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