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27:1
약속의 땅에 들어선 이스라엘을 향해 레위 사람들이 개선 나팔이 아니라 큰 소리로 저주를 외칩니다. 열 개의 계명뿐 아니라 저주도 하나님 말씀이에요. 저주의 12개명도 있습니다. 들뜬 마음을 가라앉히고 주의하라는 지시입니다. 생사화복과 관련되어 있으니 새겨야 할 것입니다. The Levites shout curses loudly at Israel, not at the trumpets of improvement. Not only the ten commandments but also the curse is the word of God. There are also 12 curses. It is an instruction to calm down and be careful. It is related to the blessing of life and death, so you will have to engrave it.
-
신명기를 구성하고 있는 긴 연설 중 세 번째 연설이 시작되는 부분에서‘모압 언약’에 관하여 언급을 하셨습니다. 이 ‘모압 언약’은 민족으로서의 이스라엘이 하나님과 맺은 시내 산 언약과 쌍을 이루고 있는데 신명기의 핵심을 하나님이 이스라엘과 맺으시는 ‘모압 언약‘으로 보는 학자도 있습니다. At the beginning of the third of the long speeches that make up the Deuteronomy, you mentioned the "Moab Covenant." This "Moab Covenant" is paired with the downtown Mountain Covenant that Israel as a nation made with God, and some scholars see the core of the Deuteronomy as the "Moab Covenant" that God makes with Israel.
-
그분의 설명에 따르면 나와 하나님이 언약 당사자의 쌍방관계를 규명도 하였고(26:18.19)실제로 언약체결을 하였으니 하나님과 합법적인 부부 관계에 돌입한 것이랍니다. 이를테면 언약식을 약혼-결혼-피로연(27;1)의 그림으로 설명하는 것처럼 보여 집니다. 모세와 장로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세 가지를 요구합니다. According to his explanation, God and I have established a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to the covenant (26:18.19), and have actually signed a covenant, so we have entered into a legitimate marital relationship with God. For example, it seems as if the covenant ceremony is described in a picture of engagement-marriage-pain (27;1). Moses and the elders ask the people of Israel to do three things.
-
첫째, 요단강을 건너서 약속의 땅에 들어가거든 에발 산에 큰 돌들을 세우고 그 표면에 회반죽을 발라 토라의 모든 말씀들을 새길 것. 둘째, 번제와 화목제를 드릴 다듬지 않은 제단을 건 설 할 것(cf출20;24-25), 셋째, 제단을 쌓을 때 쇠 연장을 대지 말고 번제와 화목제를 드리고 나머지를 나눠 먹으면서 즐거워 할 것을 명령하십니다.
First, when you cross the Jordan River and enter the Promised Land, build large stones on Mount Ebal and rub plaster on its surface to engrave all the Torah's words. Second, build an untrimmed altar where burnt offerings and harmonics will be given (cf. 20; 24-25), and third, do not extend iron while stacking altars, but give burnt offerings and harmonics, and order them to share the rest with each other.
-
하나님께서 새 언약을 갱신하면서 토라를 돌 판에 새기고 제단을 쌓을 때 왜 쇠를 쓰지 말라고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돌 귀가 상하지 않도록 철로 마감처리를 하고 주물 양각으로 포인트를 주면 디자인 면에서 값어치가 있을 것 같은데 말입니다. 지도자 여호수아가 할 일은 그 말씀을 심비에 새기는 일이고, 하나님의 백성이 할 일은 그 말씀에 순종하는 것이었습니다.
I wonder why God told me not to use iron when engraving tora on stone plates and stacking altars while renewing the new covenant. If you finish it with iron so that the stone ears don't get damaged and give it a point with casting embossing, it will be worth the price in terms of design. All the leader Joshua had to do was engrave the word on the cymbral, and all the people of God had to do was obey it.
-
번제는 바로 그 철저한 말씀 순종을 다짐하는 제사입니다. 따라서 그건 절대 지워져서는 안 되는 말씀입니다. 율법 준수는 성도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바로미터입니다(9-10). 우리가 하나님의 소유된 백성이기에 나의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드러내야할 책임이 있는 것입니다. 율법은 무겁게 지워진 짐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가야 하는 삶의 지침서이면서 풍성하게 하나님나라를 누리고 하나님과 교제할 수 있는 채널입니다. The burnt offering is a rite that pledges to obey the word thoroughly. Therefore, it must never be erased. Compliance with the law is a barometer of the identity of the saint (9-10). Because we are the people belonging to God, we are responsible for revealing who my God is. The law is not a heavy burden, but a guide to life as God's people, and a channel for enjoying the kingdom of God in abundance and socializing with God.
-
소유에 집착하고 욕망하면 턱도 없지만 순종할수록 그 기쁨은 배가될 것입니다. 이제 율법 준수는 선택이 아닌 필수 과목인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복 있는 자는 여호와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한 후 지키는 자이며, 저주의 길은 하나님을 배반하고, 이웃을 배반하는 자가 아닌가? 열두 지파를 그리심 산과 에발 산 양측에 나누어 세게 하고, 각각 축복과 저주를 선포하는 예식을 행하게 합니다.
The more you cling to possession and desire, the more you obey, the more you will double your joy. It is now clear that observance of the law is a mandatory subject, not an option. The blessed is the one who keeps the law of the Lord after meditating day and night, and isn't the path of curse the one who betrays God and betrays his neighbors? Divide the twelve schools between Mount Grissim and Mount Ebal and make them strong, and perform a ceremony to proclaim blessings and curses, respectively.
-
먼저 에발 산에 선자들이 저주를 선포합니다. 열한가지 저주를 받을 상황에 대해 선포하고, 끝에는 이 모든 계명을 지키지 않은
자들에게 선언 되는 저주가 나옵니다. 훗날 여호수아가 아이 성을 점령한 후 이 의식을 실천에 옮기고 있습니다. 우상을 만들고, 부모를 멸시하고, 근친상간을 범하며, 살인하는 자에게, 그리고 경계표를 옮기는 자들에게, 무리한 자를 죽이려고 뇌물을 쓴 자에게 저주가 임할 것입니다. First, on Mount Eval, the ancestors declare a curse. A curse is issued to those who fail to obey all these commands, and at the end, a curse is declared to those who do not obey all of these commands. Joshua is putting this ritual into practice after he occupies the Ai Castle. A curse will be imposed on those who create idols, despise parents, commit incestions, killers, and those who transfer boundaries, and those who bribe to kill the unreasonable.
-
하나님의 성품에 걸맞지 않게 사는 자들이고, 자신들의 받은 은혜를 망각한 자들이며, 가나안 문화에 동화된 자들입니다.
이들은 결코 하나님의 백성이 될 수 없습니다. 거룩하신 하나님의 임재를 둘 수 없습니다. 주여! 우리 아이들을 방치한 것을 용서하옵소서. 신앙 공동체를 지키는 최후의 보루는 무엇인가? They live out of God's character, they forget their grace, and they are assimilated into Canaan culture. They can never be the people of God. There can be no presence of the holy God. Lord! Forgive us for neglecting our children. What is the last bastion of protecting the faith community?
-
기둥들에 율법을 새기라(1-3)
축복과 저주의 언약식(4-26)
a.에발 산 언약식:4-10
b.축복과 저주의 선포, 그리심 산과 에발 산:11-26
-
모세와 이스라엘 장로들이(1a)
백성에게 명령하여 이르되(1b)
내가 오늘 너희에게 명령하는 이 명령을(1c)
너희는 다 지킬지니라(1d)
-
너희가 요단을 건너(2a)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2b)
네게 주시는 땅에 들어가는 날에(2c)
큰 돌들을 세우고 석회를 바르라(2d)
-
요단을 건넌 후에(3a)
이 율법의 모든 말씀을(3b)
그 위에 기록하라(3c)
그리하면(3d)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시는 땅(3e)
곧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3f)
네가 들어가기를(3g)
네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께서(3f)
네게 말씀하신 대로 하리라(3g)
-
너희가 요단을 건너거든(4a)
내가 오늘 너희에게 명령하는(4b)
이 돌들을 에발 산에 세우고(4c)
그 위에 석회를 바를 것이며(4d)
-
또 거기서(5a)
네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5b)
제단 곧 돌단을 쌓되(5c)
그것에 쇠 연장을 대지 말지니라(5d)
-
너는 다듬지 않은 돌로(6a)
네 하나님 여호와의 제단을 쌓고(6b)
그 위에 네 하나님 여호와께(6c)
번제를 드릴 것이며(6d)
-
또 화목제를 드리고(7a)
거기에서 먹으며(7b)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즐거워하라(7c)
-
너는 이 율법의 모든 말씀을(8a)
그 돌들 위에 분명하고(8b)
정확하게 기록할지니라(8c)
-
모세와 레위 제사장들이(9a)
온 이스라엘에게 말하여 이르되(9b)
이스라엘아 잠잠하여 들으라(9c)
오늘 네가(9d)
네 하나님 여호와의 백성이 되었으니(9e)
-
그런즉 네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청종하여(10a)
내가 오늘 네게 명령하는(10b)
그 명령과 규례를 행할지니라(10c)
-
모세가(11a)
그 날(11b)
백성에게 명령하여 이르되(11c)
-
너희가 요단을 건넌 후에(12a)
시므온과 레위와(12b)
유다와 잇사갈과(12c)
요셉과 베냐민은(12d)
백성을 축복하기 위하여(12e)
그리심 산에 서고(12f)
-
르우벤과 갓과(13a)
아셀과 스불론과(13b)
단과 납달리는(13c)
저주하기 위하여(13d)
에발 산에 서고(13e)
-
레위 사람은(14a)
큰 소리로(14b)
이스라엘 모든 사람에게 말하여 이르기를(14c)
-
장색의 손으로(15a)
조각하였거나 부어 만든 우상은(15b)
여호와께 가증하니(15c)
그것을 만들어 은밀히 세우는 자는(15d)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15e)
모든 백성은 응답하여 말하되(15f)
아멘 할지니라(15g)
-
그의 부모를 경홀히 여기는 자는(16a)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16b)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16c)
-
그의 이웃의 경계표를 옮기는 자는(17a)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17b)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17c)
-
맹인에게 길을 잃게 하는 자는(18a)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18b)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18c)
-
객이나 고아나 과부의 송사를(19a)
억울하게 하는 자는(19b)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19c)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19d)
-
그의 아버지의 아내와 동침하는 자는(20a)
그의 아버지의 하체를 드러냈으니(20b)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20c)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20d)
-
짐승과 교합하는 모든 자는(21a)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21b)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21c)
-
그의 자매(22a)
곧 그의 아버지의 딸이나 어머니의 딸과(22b)
동침하는 자는(22c)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22d)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22e)
-
장모와 동침하는 자는(23a)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23b)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23c)
-
그의 이웃을 암살하는 자는(24a)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24b)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24c)
-
무죄한 자를 죽이려고(25a)
뇌물을 받는 자는(25b)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25c)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25d)
-
이 율법의 말씀을(26a)
실행하지 아니하는 자는(26b)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26c)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26c)
-
선명한 말씀_ clear words_
단호한 예배_ a firm service_
은밀한 유혹_ covert temptation_
-
나와 맺은 언약이 유지되길 원하시는 주님, 교회는 시대 상황을 반영하는 거울이자 지표입니다. 또한 성령의 새로움 안에서 만물을 새롭게 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맛보기 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오주여,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이며, 갈림길에서 요구되는 것은 단호함이나이다. 세상을 역류하는 성도가 되게 하시고 주님과 연합하여 하나님의 언약백성으로 거룩하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옵소서. The church, Lord, is both a mirror and an indicator of the times when the covenant I made is maintained. It is also a place to taste God's will to renew everything in the novelty of the Holy Spirit. O Lord, conscience inaction is evil, and what is required at a crossroads is determination. Please help us become a saint who flows backward in the world and unite with the Lord to live a holy life as a people of God's covenant.
2024.4.12.fri.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