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을 구상할 때
예를 들어 김장, 반찬, 식사, 육아, 수발, 학업, 평생학습, 상담, 놀이, 나들이, 집단활동, 사회교육, 문화활동, 여가활동, 종교활동, 일, 생일잔치, 운동, 환경, 물품 구매.교환, 지식.정보.재능 공유.활용, 만들기, 발표회, 축제…
이런 사업을 구상할 때
① 사람들이 흔히 이런 일로 둘레 사람들과 어떻게 살았는지|살고 있는지 그 사람살이 생태를 살펴봅니다. 이런 일로 어떻게 관계.소통하며 살아가면 좋을지 그 사람살이 생태를 그려봅니다.
② 사람들이 이런 일을 위해 어떤 공간 시설 제도 제품 서비스 조직 문화 따위의 환경을 어떻게 이용했는지|이용하고 있는지, 어떻게 이용하면 좋을지, 그 이용 생태를 봅니다.
이런 일을 하는 업계의 생태를 살펴보아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이 분야의 사업 생태 곧 동종 복지사업을 하는 복지기관, 시민단체, 종교단체, 봉사단체, 자치단체의 서비스 생태를 헤아리고 또한 시장 생태를 고려하는 겁니다.
기존.유사 서비스 제공 주체들과 경쟁 관계가 됨으로써, 복지기관을 도와주어야 할 지역사회 단체들이 오히려 복지기관을 경계.견제하기도 합니다. 대상자 쟁탈전을 벌이기도 합니다. 무료로 또는 저렴하게 제공하는 복지기관의 서비스가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는 일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