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3년, 계묘문무목록(癸卯文武目錄), 11세 정보문(鄭保門) 무과 병과 192위
이 방목은 인쇄본은 전하지 않고 필사본으로만 전해져 해군사관학교 박물관본이 남아 있으나 무과 급제자는 209명의 기록만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기록도 전직(前職)은 한 자(進,參,保,守,校 등)로 기록되고, 본관은 기록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에도 정보문공의 무과 기록은 확인할 수 없었다. 족보기록은 ‘계묘탁무과(癸卯擢武科)’라고 전해져 오고 있다. 그러던 중, 또 다른 필사본이 발견되어 공의 방목 기록이 확인되었다.
계묘방은 문과 10인, 무과 1,629인이다. 임진왜란·정유재란(1592~1598) 이후 무과를 강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ㅇ 병과(丙科) 일백구십이(一百九十二)
ㅇ 전력 : 교(校)
ㅇ 자 경숙(慶叔), 계유(癸酉, 1575)생
ㅇ 부 연(演, 1541~1621)
ㅇ 자하(慈下) : 모친(1541~1605) 생존 * 구경하(具慶下)가 맞다. 오기로 보인다.
- 구경하(具慶下) : 부모(父母)가 모두 살아 계신 기쁜 처지(處地). - 영감하(永感下) : 부모(父母)가 다 돌아가고 없는 처지(處地) - 엄시하(嚴侍下) : 어머니는 돌아가시고 아버지만 살아 계신 사람. 또는 그런 처지(處地). - 자시하(慈侍下) : 아버지는 돌아가시고 어머니만을 모시고 사는 사람. 또는 그런 처지(處地). |
ㅇ 형(兄) 흥문(興門), 창문(昌門), 제(弟) 발문(發門), 광문(光門)
* 족보상 3남은 영문(榮門)이다. 필사 오기로 추측된다.
■ 정보문(1575~1652) 공 이력(족보, 승정원일기)
1608년 무신(戊申) 선전관(宣傳官)
1623년 계해(癸亥) 웅천현감(熊川縣監), <승정원일기>
1648년 무자(戊子)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승정원일기>
1651년 신묘(辛卯) 수승첨지중추부사(壽昇僉知中樞府事, 정3품)
■ 가계도
8세 9세 10세 11세
웅(熊) ---------- 응규(應奎) --------- 연(演) ---------┌ 흥문(興門) 별제 홍문관응교 전라좌수사 동지중추부사 ├ 창문(昌門) 선교랑, 증사복시정 증호조판서 ├ 보문(保門) 웅천현감 ├ 영문(榮門) 사헌감찰 ├ 광문(光門) 장릉참봉 └ 진문(振門) 습독 |
첫댓글
보문 할아버지가 자랑스럽고 직계 기록이 남아있어 잘보았답니다.
감사하고 감사합니다.
족질 사강 정윤칠 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