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리석거나 바보 같은 주인공의 우행(愚行)을 제재로 한 설화. 소화(笑話) 중 치우담(癡愚譚)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저능, 신체적 불구, 어리석은 욕심 등이 우행의 원인이 되어 그 과정에서 웃음이 유발된다. 전국적으로 상당히 많은 양의 설화가 다양하게 전승, 유포되고 있으며, 특히 문헌설화집에 수록되어 있는 것이 많다.
또한, ≪태평광기언해 太平廣記諺解≫·≪명엽지해 蓂葉志諧≫·≪고금소총 古今笑叢≫ 등에 수록된 것을 발췌하여 번역한 것도 많아서, 현재 전승되고 있는 이 계열의 설화는 문헌에 의하여 전승되어 온 것들이 상당히 많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바보설화를 다시 주인공에 따라 세분하면 어버이와 자식 사이, 부부 사이, 형제 사이, 사돈 사이, 주종 사이, 기타(시골 사람·승려·불구자) 등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어버이와 자식 사이에서 일어나는 우행을 다룬 설화에는 바보의 집안, 바보 아버지, 바보 어머니, 바보 아들, 바보 딸, 바보 사위, 바보 며느리 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 중 〈바보 사위설화〉는 그 대표적인 유형이다. 사위의 우행은 주로 처갓집에서 저질러지며, 인사법의 실수, 음식이나 물건의 명칭을 알지 못하여 발생하는 실수, 무분별, 망각 등이 그 동기가 된다.
〈바보며느리의 이야기〉는 대개 시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며, 말공대를 잘못 쓴 일, 음식 만드는 과정에서의 실수, 방귀 등이 주된 동기가 된다. 이때 시아버지가 며느리의 실수를 두둔하나, 며느리가 그것을 진짜 칭찬으로 오해하는 과정에서 소화적인 처리가 돋보인다.
방귀 뀐 며느리가 무안할까 봐 시아버지가 “아들 낳을 복방귀”라 하니, 며느리가 “아까 부엌에서는 더 많이 뀌었어요.”라고 대답하는 이야기는 대표적 설화이다.
〈바보 아들설화〉는 〈바보 사위설화〉와 비슷한 유형이 많아서 문자를 잘못 쓰거나, 문상 가서의 실수, 〈미련한 소금장수설화〉와 같이 아버지의 가르침을 정반대되는 상황에 맹목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누적되어 빚어지는 우행 등이 주 내용이 된다.
부부 사이의 우행은 주로 남편에 의하여 저질러진다. 이때 아내는 상식적이고 영리한 인물로 그려져 있어 남편의 어리석음이 두드러진다.
어리석은 남편에게 아내가 문자·예법 등을 가르치나 남편이 잘못 사용하여 결국 실수하는 이야기, 처가에서 음식을 훔쳐 먹다 들켜 망신당하는 이야기가 있는가 하면, 장가간 첫날밤에 장인에게 개자식이라고 외치는 〈에잇 개자식〉 같은 이야기도 있다.
〈바보 아내의 이야기〉는 가사에서의 실수를 다룬 것이 많으며, 또한 객줏집 주인 내외가 손님들이 물건을 잊고 가도록 하기 위하여 까마귀 고기를 먹여 놓고는 음식 값까지 잊고 가자, 까마귀 고기가 효과가 있다고 좋아하는 〈바보 부부의 이야기〉도 있다.
또한, 염정담(艶情譚)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보 남편이 집을 비운 사이에 바람을 피운 아내가 기지로 곤경을 벗어난다든가, 내외가 모두 어리석어 첫날밤에 곤욕을 치르거나 또는 아내가 쫓겨난다든가 하는 이야기도 전승된다.
이러한 유형의 설화는 대체로 남성 화자(話者)들에 의하여 관리, 전승된 것으로 여겨져, 이 어리석은 아내 이야기들은 남성에 의하여 만들어지고 전승된 것으로 추측된다.
형제 사이의 우행은 한쪽이 상황을 이끌어 가는 능동적인 위치에 있고, 다른 쪽은 거기에 맹목적으로 끌려가는 수동적 위치에서 저질러진다.
사돈 사이에서는 주로 상대편 집에 문상을 가서 실수를 하는 내용이 많다. 주종 사이의 경우 바보 주인(대체로 양반이나 원님)이나 바보 하인 사이에 일어나는 것으로, 조상 덕에 감투를 썼거나 돈으로 벼슬을 산 무식한 상전을 비웃는 내용이 많다.
그 밖에 〈거울을 처음 본 사람들 설화〉와 같이 도시 문물을 처음 접하는 시골 사람들의 실수나 어리석은 중들의 실수, 또는 장님·귀머거리·말더듬이 등과 같이 신체적 불구자들이 저지르는 실수를 내용으로 하는 이야기들도 있다.
바보설화는 대개 연쇄담이나 누적담이 많아서, 길이가 길고 유화(類話)가 많다. 또한, 대체로 관습을 부정하거나 무지, 미련함 등을 소재로 하고 있는데, 이들 우행이나 실수, 신체적인 불구까지도 소화적으로 처리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낙천적이고 여유있는 삶의 태도와 인간성에 대한 긍정적 면모를 읽을 수 있다.
≪참고문헌≫ 韓國風流笑譚(李周洪, 成文閣, 1962), 韓國文獻說話全集(東國大學校附設韓國文學硏究所 編, 民族文化社, 1981), 韓國說話의 類型的硏究(曺喜雄, 韓國硏究院, 1983).
나애심 / 과거를 묻지마세요
장벽은 무너지고 강물은 흘러
어둡고 괴로웠던 세월도 흘러
끝없는 대지위에 꽃이 피었네.
아~
꿈에도 잊지못할 그립던 내사랑아
한많고 서름많은 과거를 묻지마세요.
구름은 흘러가고 서름은 흘러
애닯은 가슴마다 햇빛이 솟아
고요한 저 성당에 종이 울린다.
아~
흘러간 추억마다 그립던 내사랑아
얄궂인 운명이여 과거를 묻지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