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당리 성지
신유 박해를 기점으로 형성된 교우촌이다.
바닷물의 유입으로 뱃길이 열렸던곳으로 ,
지리적 특성상 충청도,경기도 내륙,서울을 잇는선교 교두보였다.
1839 년기해박해와 1866년 병인박해에 수많은 신자들이 순교한 신앙의 요람지.
주차장에서 들어가면,기도의 광장이 나오고,
오른쪽으로 십자가의 길, 왼쪽으로는 묵주기도의 길 .
기도를 하고 가다보면 성역화 광장이 있고 대형 십자가 예수님상 앞에 순교자의 무덤(의묘)이 있다.
의묘지만 성지에서는 성 장주기 요셉의 유해를 모시고 순교 선조들을 현양하고 있다.








1 성 장주기 요셉,장 토마스등...여러 순교자가 있고.
2 교회 재정을 확보하기위한 전답이 성 민극가 스테파노의 책임하에 운영되고,
성 민극가와 함께 전파에 힘쓰다 순교한 성 정화경 안드레아가 활동 하던곳.
3 박해를 피해 이곳으로 피신 하였다가 순교하신 앵베르 주교와
앵베르 주교의 피신을 돕다가 순교한 손경서 안드레아의 얼이 서려 있는 곳이다.

의묘지만 성지에서는 성 장주기 요셉의 유해를 모시고 순교 선조들을 현양하고 있다.


소성당



십자가의 길은 1998년 약현성당이 불났을 때 불에 탄 목재를 가져와서 제작.
불에 탄 목재를 가져와 아름다운 성물을 조각해 낸것은 ,
모진 박해를 껵고도 굳센신앙의 싹을 피워낸 선조들의 숨결을 담았다고 합니다.






성 장주기 요셉은
이곳에서 성장 하고 1826년 세례를 받고 선교의 교두보.
박해를 피해 배론으로1843년이주 한 후,
자신의 집을 신학교로 쓰도록 봉헌 하고, 신학생에게 한문을 가르치고,
신학생과 선교사들의 뒷바라지에 헌신.
병인 박해때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1866년 3월30일 성 금요일에 충남 보령 갈매못에서,
다블뤼주교, 오 메트르 신부, 위앵 민 신부, 황석두 루카, 장주기 요셉 다섯분이 함께 군문효수 당하셨다.
첫댓글 불에 탄 약현 성당 목재로 십자가의 길 표상을 만든 수원교구 요당리 성지를 가능한 기억하겠습니다. 불에 탄 목재로 십자가의 길을 만든 것을 보고 언뜻 이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일필휘지로 만들어진 일본의 국보 막사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