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공국2-06-02] 매체의 변화가 소통 문화에 끼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 항목 |
1 | 매체의 변천을 역사적 관점에서 이해하게 하는가? |
2 | 매체의 변화가 매체를 기반으로 한 소통 문화의 변화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하는가? |
3 | 매체 소통 문화를 이해하고 성찰하는 탐구 활동을 구성하고 있는가? ⭑무선 인터넷의 보급과 스마트폰의 활용, 개인 방송 등 매체 변화로 인해 생겨난 소통 문화의 특성, 패러디 문화의 양상, 매체 기반의 소통에서 나타나는 언어의 특징과 유행,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에서 이루어지는 소통 특성 등 |
[성취기준 해설]
이 성취기준은 매체의 변천을 역사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매체를 기반으로 한 소통 문화를 탐구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매체의 변화는 매체를 기반으로 한 소통 방식과 소통 문화의 변화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무선 인터넷의 보급과 스마트폰의 활용, 개인 방송 등 매체 변화로 인해 생겨난 소통 문화의 특성, 매체 기반의 소통에서 나타나는 언어의 특징,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에서 이루어지는 소통 특성 등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통해 매체 소통 문화를 이해하고 성찰하는 기회를 가지도록 한다.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공통국어 1·2영역 공통)
• 매체 비평 자료 및 매체 소통 문화를 탐구할 때는 국어과의 타 영역 성취기준, 타 교과 성취기준, 범교과 학습 주제와 연계하여 학습자가 경험하는 삶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한다.
• 매체의 변화와 매체 소통 문화에 대해 지도할 때는 매체 산업 및 문화 산업과 관련된 진로와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
[활동에 반영할 사항들]
- 매체의 변천을 역사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매체를 기반으로 한 소통 문화를 탐구
- 매체의 변화는 매체 기반의 소통 방식과 소통 문화의 변화에 영향
- 무선 인터넷망 보급과 스마트폰의 활용, 개인 방송 등 매체 변화로 인해 생겨난 소통 문화의 특성, 패러디 문화의 양상, 매체 기반의 소통에서 나타나는 언어의 특징과 유행, 사회 관계망에서 이루어지는 소통 특성 등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
- 매체 산업 및 문화와 관련한 진로와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음
* 2015 성취기준 연구
성취기준 | 언어와 매체 [12언매04-03] 현대 사회에서 언어와 매체 언어의 가치를 이해하고 언어문화와 매체 문화의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지닌다. |
학습 요소 | 바람직한 언어문화와 매체 문화 |
성취기준 해설 | 이 성취기준은 현대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현상에서 언어와 매체가 갖는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고, 국어문화와 매체 문화가 바람직하게 발전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현대 사회의 문제로 부각되는 언어 규범 및 윤리 파괴의 문제를 극복하고 건전하고 유익한 언어문화와 매체 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려는 태도를 갖추도록 한다. |
2015 <언어와 매체> 교과서 _ ‘매체 문화’ 관련 내용
출판사 | 단원 | 내용 | 비고 |
미래엔 | 5. 언어와 매체에 대한 태도 (2) 언어문화와 매체 문화의 미래 | 언어와 매체 언어의 가치 언어 문화와 매체 문화의 발전 [활동] 1. (뉴미디어) 우리의 언어문화 가꾸는 방안 2. 바람직한 매체 문화 형성을 위한 필요한 태도 3. 언어문화와 매체 문화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글쓰기) | p.246~254 |
천재교육 | Ⅴ. 국어의 변화와 매체 문화의 발전 2. 언어와 매체의 생산과 발전 (2) 언어문화와 매체 문화의 발전 | -언어와 매체 언어의 가치 -매체 문화의 발전 [활동] 2. 매체 언어의 가치, 매체 문화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 | p.242~2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