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치에 대한 현실>
오늘날 한국의 민주주의 사회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정치인들에 대한 불신,정당의 무능함,고위 관리직들의 부패들이 문제이다. 이와 같은 문제들은 국민들의 정치에 대한 참여를 악화시킨다. 이 문제들이 결국 한국 민주주의는 퇴보할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들에 대한 해결방안들이 필요하다.
첫째, 정치인들과 시민들의 소통이 강화되어야 한다. 정치는 고위 관리직,의원들과 같은 엘리트들만 하는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함께 하는것이다. 오늘날에는 미디어의 발달과 기술의 발달로 온라인으로 쉽게 정치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민 청원, 시민 참여 예산제도 등이 있고, 성인들 뿐 아니라 청소년들도 쉽게 정치에 참여할수있다. 예시로 대한민국청소년의회라는 단체에 가입하면 캠패인 및 집회 참가,탄원 및 헌법 소원, 유명 정치인들과의 만남등 다양한 정치 활동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정치 참여 방법이 있지만 사람들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시민들이 직접적인 정치가 가능하도록 이 프로그램들에 대한 홍보,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정치적인 양극화 해소가 필수적이다. 정치적인 양극화는 시민들간의 갈등을 극대화하고, 정상적으로 사회가 돌아가는것을 방해하여 결국 민주주의의역할을 못하게 한다. 이를 정치인들은 심각하게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필요하다. 사회적 포용성과 다양성을 증진하면 서로 다른 정치적 견해를 가진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인 교류가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정치적으로 성향이 다른 사람들간의 대화를 촉진하는 포럼을 만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이를 통해 서로 다른 관점을 탐구하여 협상과 타협을 유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투명성을 강화하고,책임을 지는 정치인들이 필요하다. 고위 공직자들과 정치인들은 시민들을 위해 봉사하고 일하는 사람들이다. 그런 이들이 부정부패를 일 삼는 것은 시민들의 신뢰를 크게 잃게 한다. 이를 막기 위해 정치 자금의 투명한 관리, 공직자의 재산 공개, 이해 충돌 방지 제도의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부정부패를 저지른 정치인들에 대한 강혁한 처벌과 함께, 국민들이 직접적으로 확인 가능한 감사 및 감시 시스템을 구축해야만 한다.
결론적으로, 현재 한국의 정치는 신뢰를 많이 잃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위의 세가지 방법 뿐 아니라 장치인들의 많은 노력, 시민들의 이해, 또 시민들의 적극적인 정치 참여가 해결 방안이 될것이다. 또한 이런 해동들이 우리나라의 민주주의의 발전을 도와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