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제사밥
'봉제사접빈객(奉祭祀接賓客)'을 실천하는 안동
유교적 성향이 강한 안동에서는 조상을 지극 정성으로 모시고 손님을 접대하는 일이 가장 큰 책임이라고 여겨지므로 제사를 매우 중요시 여긴다. 이를 종가에서는 '봉제사접빈객(奉祭祀接賓客)'라고 한다.
그래서 제사 후에는 친지, 가족, 제사를 참여한 사람들이 함께 둘러앉아 제상에 올랐던 음식을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한다.
이때 제사를 지낸 나머지 음식으로 비빔밥을 만들어 먹는 풍습이 있는데 이러한 의를 이어받아 제사를 지내지 않고 제사상에 올라가는 음식을 그대로 재현한 음식이 헛제사밥이다.
헛제사밥은 담백하게 볶은 각종 나물에 비빔밥의 형태로 밥을 비벼 먹는데, 고추장을 넣지 않고 간장, 깨소금으로 간을 해야 제 맛을 느낄 수 있다. 거기에 전과 산적을 곁들이고 고기와 무를 넣어 만든 탕국과 함께 먹으면 특유의 감칠맛과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있다.
헛제사밥의 유래를 보면 유명 서원이 많은 안동에서 유생들이 쌀이 귀한 시절 제사음식을 차려놓고 축과 제문을 지어 풍류를 즐기면서 거짓제사를 지낸 후 제수음식을 나눠 먹었다는 이야기와 평소 제사를 지낼 수 없는 평민들이 쌀밥을 먹고 싶어 그냥 헛제사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는 데서 시작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실제 제사에 쓰이는 제수와 동일하게 각종 나물과 미역부각, 상어고기, 가오리, 문어 등의 산적 그리고 육탕, 어탕, 채탕이 섞어진 막탕이 나오는 헛제사밥은 종교적, 문화적 이질감이 없이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는 음식문화로 자리 잡으며 상품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