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미국 섬유패션의 중심, 로스앤젤레스를 해부한다(하) | ||||||||||||||||||||||||||||||||||||||||||
---|---|---|---|---|---|---|---|---|---|---|---|---|---|---|---|---|---|---|---|---|---|---|---|---|---|---|---|---|---|---|---|---|---|---|---|---|---|---|---|---|---|---|---|
게시일 | 2015-10-21 | 국가 | 미국 | 작성자 | 송용진(로스앤젤레스무역관) | ||||||||||||||||||||||||||||||||||||||
미국 섬유패션의 중심, 로스앤젤레스를 해부한다(하) - 한인 섬유패션산업의 메카 자바시장 위치 - - 의류 및 원단제품 디자인 제휴 확대하고 고품질 특수원단과 의류로 시장공략 필요 -
□ LA 지역 한인 섬유패션산업 현황
○ 한인 섬유패션산업 종사기업 현황 - LA에 기반을 둔 한인의류협회인 Korean American Apparel Manufacturers Association(이하 KAMA)과 지역언론에 따르면 한인 섬유패션 도매기업은 약 1500개사, 봉제업체 약 1000개사, 원단업체 300개사 정도인 것으로 파악됨. - 이외에도 의류 소매업체, 단추, 염색, 프린팅, 커팅 등 관련 분야와 은행, 부동산 등 다양한 산업과 연계돼있음. - 다만 패션의류산업의 경우 기업들의 수명주기가 짧고 창폐업이 빈번하기 때문에 정확한 숫자는 파악이 어려운 상황임.
○ 한인 섬유패션업계 비중 - 한인의류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LA 카운티 전체 업체수의 약 25%를 차지하고, 고용 비중은 전체의 20% 정도되는 것으로 추정됨.
○ 한인 섬유패션산업 규모 - KAMA에 따르면 한인 섬유패션산업시장 규모는 연간 60~100억 달러 수준인 것으로 파악됨. - 한인 섬유패션산업 시장규모는 기관, 언론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고 정확한 통계가 없는 상황이지만 LA 지역 한인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로 알려져 있음.
○ 주요지역 - 한인 섬유패션 기업들은 흔히 자바(Jobber) 시장이라고 불리는 LA 다운타운 패션지구(Fashion District)에 소재하고 있음. - 자바시장은 1970년 유대인 2명과 한인교포 1명이 의류도매상을 열면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음. - 현재 1000개가 넘는 기업 중에는 이미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포에버 21(Forever 21)이 가장 유명하며 이외에도 파파야(Papaya), 러브컬쳐(Love Culture) 등이 있음.
한인 섬유패션의 메카, 자바시장 현황
자료원: KAMA, 무역관 실사
LA 자바시장 모습 자료원: 한인의류협회
□ 자바시장 한인소재 주요 섬유패션 기업 형태
○ 도매업체(Wholesale) - 이들 업체들은 매장(Showroom, Store)과 자사 공장을 둘 다 가지고 있거나 자사 공장만 가진 경우도 있음. - 본사 공장에서는 매장에 들어가는 제품을 제조하거나 대형 바이어들을 위한 완제품을 생산해 납품함. - 대형 바이어는 크게 Ross, Marshalls 등 할인매장과 포에버 21, 파파야 등의 패스트패션 브랜드로 나뉘는데 이들에는 레이블 작업까지 마친 완제품을 납품함. - 도매업체들은 1) 하청업체들에 일부 작업을 맡기고 최종 작업을 자사 공장에서 하는 방식이나, 2) 완제품을 제조하거나 원단을 구매해 모든 작업을 직접 수행한 후 생산한 완제품을 대형 바이어들에게 납품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됨.
○ 봉제업체 - 봉제업체들은 의류업계에서 영향력이 큼. 급한 오더가 발생하는 경우 봉제공장에서 처리해주지 않으면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도매업체는 봉제업체를 중요시함. -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도매업체들은 봉제공장이 작업을 마치면 바로 결제를 해줌. 이는 보통 다른 업체들의 경우 결제가 짧게는 2주에서 길게는 수개월이 소요되는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빠른 것임. - 자바시장 관계자에 따르면 봉제공장은 투자규모에 비해 수익률이 좋은 편임. 일감이나 거래처에 따라 다르지만 일감만 많으면 자바시장의 다른 업체보다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어 한인들이 선호함.
○ 원단업체 - 원단업체들은 의류를 만드는 기본적인 원단을 제공함. 경기가 좋았던 시절에는 많은 한인들이 원단회사를 운영하고 있었으나 200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경기불황으로 현재 한인회사로는 4~5개의 업체가 존재함. - 원단업체들은 납품 후 90일에서 120일까지 결제일을 후불로 처리하고 있어 보유자금이 많지 않고서는 제대로 운영이 되지 못한다고 자바시장 관계자는 전함. - 공장과 매장 없이 모든 과정을 외주로 생산해 납품하면서 중간에 수수료를 챙기는 브로커도 있음.
○ 트림업체(Trim) - 이들 업체들은 Patch, Zipper, Lace, Button 등 옷에 들어가는 다양한 부자재들을 공급함.
○ 커팅업체 - 커팅업체들은 도매업체들이 원단 커팅을 의뢰할 경우에 이를 처리해주는데, 주로 봉제업체가 커팅업무를 같이 하는 경우가 많음.
□ 한인 섬유패션 관련 주요협회
○ 한인의류협회 - 영문: Korean American Apparel Manufacturers Association - 주소: 1458 S. San Pedro St. #L-60, Los Angeles, CA 90015 - 전화번호: 1-213-746-5362 - 팩스번호: 1-213-746-0727 - 협회기업: 1000여 개사 - 홈페이지: http://www.kamainfo.org
○ 미주한인봉제협회 - 영문: Korean American Garment Industry Association - 주소: 1830 West Olympic Boulevard #205, Los Angeles, CA 90006 - 전화번호: 1-213-389-7776 - 팩스번호: 1-213-389-6093 - 협회기업: 650여 개사 - 홈페이지: http://www.kagia.org
○ 재미한인원단협회 - 영문: Korean American Textile Association - 주소: 2639 Nevin Ave. Los Angeles, CA 90011 - 전화번호: 1-323-231-4909 - 팩스번호: 1-323-231-4911 - 협회기업: 50여 개사 - 홈페이지: 없음
□ 제반여건
○ 체감경기 부진과 낮은 한미 FTA 활용도 - 미국 경제의 거시지표 개선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패션의류분야 종사자들의 체감경기는 부진한 상황임. - 미국 소비자들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해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있음. - 과거 LA 지역에서 의류를 구매하던 중남미 바이어들도 중국 등지로부터 직접 구매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니 LA 지역 종사자들도 어려움을 토로함. - 또한 한미 FTA로 의류 및 섬유제품의 한국산 수입관세가 큰 폭으로 하락해 큰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했으나 까다로운 원산지 기준으로 인해 한미 FTA 활용이 낮은 상황임. - 이는 미국 세관에서 요구하는 원산지 증명의 기준이 대부분 원사이기 때문에 한국 수출기업들이 제대로 활용을 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임.
한미 FTA에 따른 주요품목 관세할인율
자료원: 한미 관세청
○ 중국산 제품의 저가공세 -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한국기업과의 교류가 많았으나 2000년대 이후 중국산의 부상으로 의류 및 원단 등에서 한국 기업들이 설 자리가 점차 줄어들고 있음. - LA 지역 의류산업 종사자에 따르면 한국산 의류, 원단 등의 품질 우수성은 인정을 하고 있으나 가격이 높다는 반응을 보임. - 또한 최근 중국산 등의 품질도 크게 개선되고 있다보니 일반적으로 한국산 제품으로는 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반응임.
□ 시사점 및 협력 확대방안
○ 의류 및 원단제품 디자인 제휴 확대 - 현재 LA 의류패션산업의 주요분야는 디자인임. 제품 디자인을 한 후 중국, 동남아 등 소재 기업에 OEM 방식으로 제조하는 경우가 많음. - 그러다 보니 과거와 달리 우리 기업이 제조한 제품을 바로 판매하기는 어려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제품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협력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
○ 고품질 특수분야로 특화 - 이미 한국산 의류 및 원단도 한국내 생산보다는 중국 등 해외생산이 많은 상황임. - 따라서 일반분야가 아닌 고품질, 특수의류, 원단 쪽으로 특화해 미국 시장 진출을 확대하는 방안이 필요함.
○ 소량오더 대응력 강화 - 최근 미국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위축에서 회복되고 있어 대용량 오더보다는 소량주문이 많아지고 있음. - 그러나 여전히 많은 한국 기업들은 단가를 이유로 소량보다는 일정량 이상의 주문을 희망해 거래가 불발되는 경우가 발생함.
○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한 현지 트렌드 파악 - 미국 서부 LA, 라스베가스 등에서 연중 의류, 원단 관련 다양한 전시회가 개최됨. - 이런 전시회에 꾸준히 참가함으로써 미국 의류, 원단 시장 트렌드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제품으로 시장진출 노력을 할 필요가 있음.
주요 전시회
자료원: 무역관 실사
자료원: 전시회 참가, 업체 및 바이어 인터뷰, CIT 보고서, 관세청, 한인의류협회, The Los Angeles Area Fashion Industry Profile and 2014 Outlook 및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