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최우선 핵심과제 '농업·농촌 정책'] 전통 농업 과학화 '대한민국 농생명수도로…'
| |
▲ 전북도는 농민들이 땀 흘려 얻은 농산물의 제값받기를 실현하기 위해 농식품 생명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농업의 체질 강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사진은 로컬푸드 매장 모습 |
|
전북도는 세계 식량안보에 대비하기 위해 농업·농촌 정책을 최우선 핵심과제로 정했다. 사람 찾는 농촌, 제값 받는 농업, 보람 찾는 농민 등 이른바 ‘농업·농촌 삼락(三樂) 정책’이 그것이다. 전통농업을 과학화해 전북도의 대표 브랜드로 육성함으로써, 전북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전북도는 “전북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은 수천년 동안 해온 농업”이라며 “농업을 통해 일자리 창출 등 활력있는 농산어촌을 조성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촌 발전 신성장동력
농촌과 농업에 경제개념을 도입해서 농촌 발전의 신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것이 목표다. 지난 1970년대 이후 이농 현상이 계속된 가운데 청년층을 중심으로 인구유출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공동체 해체 위기를 맞은 우리 농촌과 농업을 사람이 찾는 농촌으로 회복시키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북도가 가장 경쟁력 있는 전통적 농경문화를 생산·가공·체험을 결합한 전북형 6차 산업 모델로 개발해나갈 계획이다. 사람이 찾아오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다른 축으로는 농업과 관광을 결합하거나 출향민을 비롯 외지인들을 상대로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도 추진된다. 전북 귀농·귀촌 인구는 2013년 3700가구에 7200명으로, 2012년 2500가구 5500명에 비해 30% 가량 늘었다.
대표적으로 전통농업 시범단지 조성사업이 펼쳐진다. 수상레저 관광단지 조성과 관광형 생태축산농장 육성, 김제 종자산업 육성 지원, 완주 어린이 농촌 모험 테마마을 조성, 승마 힐링센터 조성, 체험관광형 슬로푸드마을 조성, 전북형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 등의 사업이 검토되고 있다.
△농산물 가치 제대로 평가
농민들이 힘들게 생산한 농산물에 대한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도록 하겠다는 정책이다. 농산물의 가격이 제대로 보장돼야 농민, 그리고 농업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값 받는 농업’은 안전한 건강 먹거리 생산 즉, 친환경농산물이나 기능성 농산물 생산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토대다.
전북도는 이를 위해 전북 농식품 생명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전북농업의 체질 강화를 통해 농민들이 땀 흘려 얻은 우리 농산물의 제값받기를 실현할 계획이다. 향토 건강식품을 명품화하고, 전통식품 및 기능성식품을 개발하겠다는 청사진도 같은 맥락이다.
이와 함께 전북혁신도시에 정착한 농촌진흥청 등 농생명 기관과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김제 민간육종연구단지, 정읍 첨단과학산업단지를 연계, 지원할 계획이다.
세부사업으로 향토 건강식품 클러스터 사업과 도농 연계 6차 산업화 사업, 쌀산업 클러스터 조성, 농특산물 마케팅 지원, 수산업 가공시설 지원, 혁신도시 전북 농식품마켓 건립, 순창 장류작목 계약재배 추진, 고창 복분자·장어 푸드테라피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농업활동 지원·생활환경 개선
농촌지역에 대도시에 전혀 뒤지지 않는 정주여건을 조성하겠다는 청사진이다.
문화예술, 의료서비스, 농번기 인력지원 등 삶의 질 사업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농민들이 농촌지역에 살면서도 전혀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오히려 행복한 교육·복지·서비스를 받도록 하겠다는 게 모토다.
‘보람 찾는 농민’은 농민들의 농업활동을 지원하고, 농촌지역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2가지 방향에서 다듬어진다.
농민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농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교육과 문화·예술 등 정주여건에서도 소외받지 않도록 하는 사업들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농업인구의 노령화·부녀화에 맞춰 원활한 인력공급을 통한 농업 생산성 향상과 농민들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농업환경 조성 사업도 펼쳐진다.
대표적으로 농작물 재해보험료 지원 확대(현행 10%에서 15%)와 귀농·귀촌 활성화 사업, 농기계 임대사업 지원 확대(10개 사업), 농번기 인력(14개 사업단) 및 공동급식 지원(140개 마을 운영), 시설하우스 온풍난방기 지원, 식생활교육문화연구센터 건립 등 다양한 지원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 농생명 수도, 전북 - 대규모 농업관련 연구개발 인프라 구축
| | |
지난 7월 21일, 농촌진흥청이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했다. 이는 농생명 허브를 지향하는 전북혁신도시 조성사업이 구체화되는 동시에, 전북도가 추구하는 농생명수도 조성 계획이 완성되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전북도가 대한민국 농생명수도로 발돋움한다는 것이다.
전북혁신도시에는 총 12개 공공기관이 입주한다. 그 중에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한국농수산대학, 한국식품연구원 등 7개 기관이 농업 분야다. 여기에 농업기술실용화재단까지 전북으로 이전할 예정이어서 농식품 관련기관은 7+1개로 늘어난다.
또 오는 2015년 김제 민간육종연구단지가 조성되고,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정읍 미생물가치평가센터가 들어선다. 게다가 정읍 방사선육종센터가 들어섰고, 새만금지구에 대규모 농업용지가 조성된다. 전북이 동북아의 농식품 수출 ·연구 허브로 도약할 채비를 갖춘 셈이다.
농생명 인프라는 각 시·군별로 다양하게 분포돼 있다. 전주생물소재연구소, 익산 전북농업기술원, 정읍 한국공학연구원, 남원 전북화훼자원연구소, 김제 첨단농기계종합지원센터, 완주 생명과학연구소, 진안 홍삼연구소, 임실 치즈과학연구소, 장수 사과연구소, 부안 참뽕연구소, 고창 복분자연구소 등을 들 수 있다.
분야별로도 기초연구에서 응용연구, 제품개발까지 다양하다. 기초연구의 경우 전북과학기술원, 응용개발연구의 경우 전북혁신도시에 들어서는 농촌진흥청과 4개 소속기관·전북도가 추진하는 전북권 연구개발(R&D)특구, 제품개발 분야는 김제 민간육종연구단지와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전북도가 농생명 수도로서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북권 R&D특구 지정과 전북과학기술원 설립이 필수적이다. 전북권 R&D특구는 농생명·탄소 분야의 산업 고도화와 기업 지원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대규모 고용창출을 위해 추진됐다. 전북과학기술원도 같은 방향에서 추진되고 있지만 결실을 맺지 못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전북은 자타가 공인하는 대한민국 농생명 수도다”며 “지역특화 분야를 더욱 특화시키는 것은 물론 타 지역과 차별화함으로써 전북도가 세계적인 농업 중심지로 성장하는 디딤돌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처 - 전북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