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fe MADE IN TAEGU
오늘의 인테리어 공부
cafe made in taegu에서는 하루에 하나~정도의 인테리어 공부(cafe강의실에 올려진 내용)를 매일 아침에 (토,일 제외)올려드리고 있습니다.
cafe 가족들에게 유익한 정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
금속은 고대로부터 조각품이나 생활용품, 공예품, 예물, 무기 등에 다양하게 사용된 인류의 귀중한 재료이다. 금속재료는 원광석으로부터 필요한 물질을 제련하고 정련하여 얻어진다. 금속은 중량에 대한 강도가 커서 대규모, 큰 하중의 구조물에 적합하며 다른 재료와 조화가 잘되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불연재료로 자체의 발화 위험이 없고 설계상 자유성이 풍부하다. 그러나 녹이슬기 쉽고 가공설비나 비용이 많이 들고 색채가 다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금속은 다양한 특징과 장,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합금재료가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금속재로 많이 쓰이는 것은 철재, 알루미늄, 동, 납, 아연 등과 이들의 합금이다. |
||||
|
목재
목재는 건축용 자재로서 옛날부터 중요한 구조재 및 수장재의 역할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가연성이 크고, 내구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근래에 와서 철근 및 콘크리트 등의 구조재료가 출현함으로써 그 사용은 점차 감소되어 가고 있다. 모든 재료에는 그들만이 지니고 있는 특성과 공통적인 성질이 있고 그 재료가 되기까지의 공정과 제법도 또한 각기 다르다. 목재는 수종에 따라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 수종이라도 산지, 기후, 성장, 상태, 수령, 벌목시기 등에 따라 그 재질이 현저하게 다르다. 그러므로 목재를 사용할 때에는 목재의 본래 성질을 알아야만 올바른 활용을 할 수 있다.
침엽수 |
국산 |
삼목, 해송, 가문비, 편백, 적송, 흑송, 낙엽송, |
구조재, 조작재, 마감재,건구,가구재 |
외산 |
미국솔송, 미송, 미국삼목, 타이완 노송 |
||
활엽수 |
국산 |
느티나무, 참나무, 너도밤나무, 벗나무, 오동나무 |
마감재, 조작재, 가구재,건구, 장식재 |
외산 |
나왕, 티크, 마호가니, 오크, 월넛, 미송, 자단, |
널재류 |
판 |
두께가3㎝ 이상 |
널 |
두께가 3㎝ 미만으로 폭이12㎝ 이상 |
|
좁은 널 |
두께가 3㎝ 미만으로 폭이 12㎝ 미만 |
|
각재류 |
각재 |
정각재(횡단면이 정사각형) |
오림목 |
정오림목(횡단면이 정사각형) |
|
||
1) 보통 합판 |
||
2) 특수합판 |
||
3) 마루판류
|
||
4) 파티클보드 |
||
5) 집성목재 |
석재
석재는 다른 재료에 비해 풍화나 마멸에 잘 견디며 내화, 내구성이 있고 특히 공예재료로서 연마하면 광택이 나고 아름다운 무늬결이 나온다.
반면, 비중이 크고 가공이 어려운 점도 있어 석재의 성질을 연구한 후에 다루어야 한다. 현재 석재는 돌 특유의 재질감과 미학적 관점으로
분수대, 벽면장식, 조각품, 건축재, 외장재로 이용되고 있다. 미리 재적의 크기, 수량 등을 조사해야 하고 입지조건, 채석에 소요되는 시일,
운반, 가공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돌은 세계 각지에서 생산되며 화성암계, 퇴적암 수성암계, 변성암계로 나누어진다. 건축"자재로 많이 쓰이는 돌의 종류로는 화성암계의
화강암, 변성암계의 대리석, 수성암계의 슬레이트, 퇴적암계의 사암과 석회암 등이다.
화강암과 대리석은 오래전부터 건축 마감재로 널리 사용되어 온 우리에게 익숙한 재료이다. 그러나 같은 화강암이나 대리석 중에서도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색깔과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할 장소에 적합한 기능을 가진 것을 선택해야한다. 또 최근 상업시설 등을 중심으로 석회암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대리석이 가진 화려한 이미지 대신 석회암의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색감과 소재감이 오히려 진열될 상품을 돋보이게 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같다. 또한 석회암은 석질이 무른 편이라 덩어리째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돌의 종류 개요
성인별 |
석재 |
특성 |
화강암 |
화강암 |
마그마가 지표 또는 지표 근처에서 냉각하여 굳은 것으로, 주성분은 석영, 장석 장석등으로 구성되고, 모양은 보통 규칙적으로 깨무늬를 형성한다. 건축용 내.왜 장재로서는 우수한 자재이나 강도가 높아 장식용으로 가공하기 어렵다. |
안산암 |
산출량이 가장 많고 성질은 화강암과 비슷하여 빛깔이 좋지 않고, 갈아도 광택이 나지 않는다. 가공성이 떨어지지만 내화력은 화강암보다 크고, 강도와 내구성이 커 주로 구조용재로 쓰인다. 갈색, 흑색, 녹색 등. |
|
변성암 |
대리석 |
지표면의 암석, 화산 분출물의 퇴적하여 굳어졌거나, 지각변동 또는 지열의 작용 등으로 변화되 암석으로 보통 편상구조를 가진다. 주성분은 탄산석회질, 점토, 산화철, 규산등으로 구성되며, 치밀한 조직으로 형성되어 연마효과가 뛰어나나, 산에 약하고 옥외에서는 탈색 및 광택이 지워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
사문석 |
석질이 취약한 것부터 치밀한 것까지 여러가지 있다. 암록색으로 된 것은 연마하 여 장식용으로 쓰이고, 붙임돌이나 바닥 포장 등에 쓰인다. 담록색, 암록색, 흑 색 등이 있다. |
|
수성암 |
점판암 |
점토가 압력을 받아 응결한 것을 이판암이라 하고, 이것이 더욱 큰 압력을 받아 변질, 경화된 것이 점판암이다. 이것은 얇은 조각으로 잘 갈라져 지붕재료로 사용된다. |
퇴적암 |
사 암 |
러가지 크기의 모래가 수중 또는 육상에서 퇴적하여 형성된 암석으로 흡수성이 크고, 풍화가 쉽다. |
응회암 |
강도는 약하고 흡수율이 높아 풍화, 변색되기 쉬우며 외관도 좋지 않다. 그러나 무르고 가벼워서 채석, 가공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흔히 사용된다. |
|
석회암 |
대리석과 같은 화학적 성분을 가지고 있으나, 석회질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 어, 흡수성이 있고, 광택 효과가 크지 않아, 주로 건물의 외장, 건물 내부의 인 테리어용으로 사용된다. |
석재 마감종류 개요
마감종류 |
마감개요 |
|
표면마감 |
돌쪼갬 |
원석을 그대로 쪼갠 상태의 표면 |
혹두기(메다듬) |
쇠매로 쳐서 대강 다듬는 정도 |
|
정다듬 |
정으로 쪼아 다듬기 |
|
도드락 다듬 |
도드락망치로 두들겨 다듬기 |
|
잔다듬 |
날망치로 일정 방향으로 찍어 다듬기 |
|
제트버너(버너구이, |
고열의 불꽃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독특한 마감면 형성 |
|
샌드블래스트(분사법) |
모래를 노즐에서 압축 공기와 함께 뿜어 내 표면 연마나 무늬 부조에 사용 |
|
거친갈기 |
#24-#300 |
|
물갈기 |
#400-#800 |
|
본갈기 |
#800-#2,000 |
|
정갈기 |
본갈기 후 광택 처리 |
여러가지 대리석
이름 |
비앙코 카라라 |
아라베스카토 |
스타투아리오 |
크레마 마필 |
사진 |
||||
비고 |
|
|
|
|
이름 |
보타치노 |
설피잔테 |
트래버틴 |
스베보 |
사진 |
||||
비고 |
|
|
|
|
이름 |
펄라토 로열 |
로사토 |
로사 오로라 |
로소 알리칸테 |
사진 |
||||
비고 |
|
|
|
|
이름 |
로소 베로나 |
네로 마르퀴나 |
베데 알피 |
|
사진 |
||||
비고 |
|
|
|
|
||||||||||||||||||||||||||||||
유리는 투명하고 내구성이 있으며, 광선을 굴절시켜 빛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은 다른 재질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인 동시에 공예적, 장식적 가치로서도 다른 재료에 비해
월등하다. 또한 광학적인 성질은 유리만의 특질로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주용도는 판유리, 각종 기물제작, 조명관계, 광학용, 장식품, 유리섬유, 식품용기 등 다양하다. 유리는 채광, 투시, 통풍 등의 쾌적한 주거환경을 확보한다. 창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에너지 절약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유리의 선정이 중요하다. |
||||||||||||||||||||||||||||||
|
||||||||||||||||||||||||||||||
|
|
||||||||||||||||||||
|
||||||||||||||||||||
|
점토
암석이 풍화 또는 분해에 의해 생긴 세립이나 분상의 알루미늄 규산염을 주성분으로 한 토상 혼합체로 습윤상태에서 가소성을 나타내고 건조하면 강성을 나타내고 충분한 고온에서 구우면 경화되는 것을 점토라 한다. 점토제품은 내화성, 내구성이 높고 대량생산과 장식성이 뛰어나 현대건축에서 건축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마감재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벽돌은 풍화된 저급의 점토에 가는 모래를 더하여 점성을 조절하고 색조절을 위해 석회를 가한 후 혼합하여 목형에 넣고 눌러서 굳힌 후 소성시킨다. 타일은 벽에 부착하여 내, 외벽을 보호하는 실용성과 패턴, 채색을 가미한 장식적 측면을 겸해서 사용한다. 내구성이 크고, 비흡수성, 경량성, 내화성이 뛰어나며,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시공이 간단하여 현대주택의 건축 내외장재로 널리 사용된다.
벽돌
벽돌의 크기는 한 사람이 손에 들고 쌓아올리면서 작업을 진행하기에
알맞은 크기로 되어 있다. 표준형 벽돌의 규격은 190 90 57 이다. 종류는 성능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일반 벽돌과 굴뚝이나 벽난로 등 내구성이 요구되는 곳에 쓰이는 내화 벽돌 등이 있다. 벽돌 시공의 특징은 쌓는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모양에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장식 쌓기법이 발달되고 여러 가지 장식 벽돌이 시판되어 장식적인 용도로 많이 쓰이고 있다. 벽돌의 색은 그 태토로 결정되는데 흰 것에서 검은 것까지 다양하다. 벽돌의 이미지는 아무래도 붉은색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에도 그 색감은 다양하므로 선택의 지혜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전통 벽돌로는 검정색 전벽돌이 있다. 전벽돌은 소나무 가지에서 나온 그을음를 쐬어 태토를 검게 한 것으로 특별한 미감을 느낄 수 있으며, 변색이 없는 점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으나 생산이 어려워 최근에는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타일
타일은 점토를 소성시켜 만든 것이다. 인테리어 자재로 나와 있는 것은 대개 자기질과 도기질로 구분되며, 또 유약을 바른 것과 바르지 않은 것, 몸체와 표면이 하나인 것과 분리된 것 등으로 구분된다.
외벽이나 바닥용은 흡수성이 적고 강도가 있는 자기질이 대부분이며,
내부 장식벽체용으로는 이 외에 강도나 흡수성이 다소 떨어지는 반자기질, 도기질이 사용된다. 도기질은 위생기기에도 사용되고 있다.
규격은 20mm 정도의 모자이크 타일에서부터 450mm 정도의 큰 것까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계단용이나 걸레받이용과 또 코너 전용 타일도 나와 있다.
시공의 용이함을 고려해 여러 개의 타일을 한 판에 붙인 것, 여러 가지
색을 섞어 패턴을 만든 것도 있는데, 이때 타일 간격의 폭과 두께를 고려해 나눈다.
타일은 색, 모양, 형태, 소재감에 있어서 실로 다양한 제품이 나와 있으므로 견본을 보고 선택한다. 모자이크 형태로는 색유리 모자이크
타일도 있고, 돌과 철로 만든 타일도 있다.
타일 스타일로는 한 장씩 따로 떨어진 것과 여러개를 붙여 한 판형으로 만든 기하학적인 패턴의 구성이 주된 이미지이다. 구성은 타일 스타일로 색감, 소재감으로서는 벽돌, 기와, 돌, 금속 등의 느낌이 나는
것이 있으며, 바닥재, 벽재 등 여러 가지가 나와 있다.
플라스틱
플라스틱은 합성수지를 일컫는 말로 인테리어 재료로 사용될 시작한 것은 멜라민 수지 장식판이 가구 등에 쓰인 후 부터이다. 멜라민 장식판은 단단해서 흠이 잘 나지 않고 열에 강하고 손질이 간편하기 때문에 베니어 합판과 함께 서양식 가구의 표면재로 보급되었다. 생활용품이나 장난감도 블리크제나 알루마이트제가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 제품으로 대체되었다. 인테리어 마감재로서는 도료나 다양한 시트 형태, 혹은 타일 형태의 바닥재, 바닥 도장재, 걸레받이와 몰딩재, 멜라민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보드 형태의 벽, 천장재, 가구의 표면재, 아크릴판, 염화비닐판, 폴리카보네이트판, 부엌가구 상판재, 욕조 등의 수조제품 등이 있다.
건재용 주요 플라스틱 개요
대열성질 |
계(系) |
선 관 면 재 |
장식판 |
가 구 |
단열재 |
도포재 |
접착제 |
열경화성 |
페놀 |
● |
● |
● |
|||
요소 |
● |
● |
|||||
멜라민 |
● |
● |
● |
||||
폴리에스테르 |
● |
● |
● |
● |
|||
에폭시 |
● |
● |
|||||
폴리우레탄 |
● |
● |
|||||
열기소성, |
염화비닐 |
● |
● |
||||
아세트산 비닐 |
● |
● |
|||||
아크릴 |
● |
● |
● |
● |
|||
스티로폴 |
● |
● |
|||||
폴리아미드 |
● |
||||||
폴리에틸렌 |
● |
||||||
폴리프로필렌 |
● |
||||||
폴리카보나이트 |
● |
||||||
불소 |
● |
프라스틱계 등의 바닥재 개요
타일 형태 |
염화비닐계(asbesto 혼합의 반경질, 연질과 충전재 함유의 homogenize, 충전재 비함 유, 엠보싱등), 고무계, 리놀륨계, 아스팔트계 등. 300~500mm 각, 두께 2~3mm 정도 가 많다. |
시트 형태 |
염화비닐계, 고무계, 리놀륨계 등, 폭 900~3,600mm, 두께 1.8~3.5mm정도가 많다. |
칠바닥 |
경화계의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폴리우레탄계 등과 열가소성계의 아세트산 비닐 계, 아크릴계 등, 고무계, 아스팔트계 등. 두께는 다양. |
기타, 내산(耐酸), 내유(耐油), 대전방지, 전도성, 내동하중(耐動荷重), 방사선방지, 형광투과, 시각장애자용 등 |
건축자재 단가표
자재 |
종류 |
규격 |
단위 |
단가(단위:원) |
조적재 |
콘크리트벽돌 |
매 |
350 ~ 900 |
|
시멘트벽돌 |
190 X 90 X 57mm |
매 |
40 ~ 45 |
|
점토벽돌 / 적벽돌 |
매 |
190 ~ 320 |
||
내화벽돌 / 단열벽돌 |
매 |
700 ~ 780 |
||
특수벽돌 |
190 X 90 X 57mm |
매 |
240 ~ 750 |
|
조립식벽돌 |
set |
750 ~ 850 |
||
석재 / 인조석 |
화강석 원석 |
포천석 |
㎥ |
216,000 |
황등석 |
㎥ |
216,000 |
||
문경석 |
㎥ |
216,000 |
||
가평석 |
㎥ |
504,000 |
||
거창석 |
㎥ |
198,000 |
||
화북석 |
㎥ |
252,000 |
||
화강석 판석 |
30mm 화강석 물갈기 - 포천석 |
㎡ |
30,000 |
|
30mm 화강석 물갈기 - 황등석 |
㎡ |
38,000 |
||
30mm 화강석 물갈기 - 문경석 |
㎡ |
43,000 |
||
30mm 화강석 물갈기 - 가평석 |
㎡ |
74,000 |
||
30mm 화강석 물갈기 - 거창석 |
㎡ |
33,000 |
||
30mm 화강석 물갈기 - 화북석 |
㎡ |
37,000 |
||
30mm 화강석 버너마감 - 포천석 |
㎡ |
30,000 |
||
30mm 화강석 버너마감 - 문경석 |
㎡ |
41,000 |
||
30mm 화강석 버너마감 - 가평석 |
㎡ |
70,000 |
||
30mm 화강석 버너마감 - 거창석 |
㎡ |
32,000 |
||
30mm 화강석 버너마감 - 화북석 |
㎡ |
36,000 |
||
30mm 화강석 잔다듬 - 황등석 |
㎡ |
35,000 |
||
30mm 화강석 잔다듬 - 포천석 |
㎡ |
35,000 |
||
30mm 화강석 잔다듬 - 문경석 |
㎡ |
41,000 |
||
테라조 |
㎡ |
16,500 ~ 38,000 |
||
대리석 |
㎡ |
51,000 ~ 130,000 |
||
수입석 |
㎡ |
55,000 ~ 130,000 |
||
인조석 |
㎡ |
19,000 ~ 48,000 |
||
인조대리석 |
㎡ |
31,000 ~ 110,000 |
||
타일 |
도기질타일 |
㎡ |
7,200 ~ 7,600 |
|
자기질타일 |
㎡ |
6,200 ~ 20,000 |
||
도기질향균타일 |
㎡ |
8,500 ~ 11,500 |
||
모자이크타일 |
㎡ |
9,500 ~ 49,500 |
||
바닥타일 |
㎡ |
7,200 ~ 42,000 |
||
석재 자기질 타일 |
㎡ |
9,000 ~ 38,000 |
||
외장타일 |
㎡ |
5,500 ~ 24,000 |
||
세라믹타일 |
㎡ |
13,440 ~ 22,500 |
||
특수타일 |
㎡ |
15,000 ~ 95,000 |
||
지붕재 |
칼라강판 |
㎡ |
3,500 ~ 4,660 |
|
착색 아연도 강판 |
T = 0.5mm |
㎡ |
3,500 |
|
FRP 채광판 |
㎡ |
15,000 |
||
한식기와 |
매 |
850 ~ 1,700 |
||
금속기와 |
㎡ |
52,000 |
||
금속내장재 |
G/A 천장재 |
T = 0.7mm |
㎡ |
65,000 ~ 75,000 |
스텐레스 스팬드럴 |
T = 1.2mm |
㎡ |
173,000 ~175,000 |
|
AL 스팬드럴 |
T = 0.5mm |
㎡ |
38,000 ~41,000 |
|
AL 천장재 |
T = 0.8mm |
㎡ |
45,000 ~47,000 |
|
AL 루바 |
㎡ |
55,000 ~66,000 |
||
핸드레일 |
S'ST , φ 50 , H 900 |
m |
55,000 |
|
창호재 |
알루미늄 샷시 |
㎡ |
63,000 ~ 78,000 |
|
프라스틱창호재 |
1,000 X 1,000 |
set |
53,000 ~ 147,000 |
|
목재문 |
㎡ |
22,000 ~198,000 |
||
합성수지문 |
900 X 2100 X 190mm |
개 |
120,000 ~ 160,000 |
|
스테인레스문 |
900 X 2100mm |
set |
560,000 |
|
강화유리문 |
900 X 2100mm |
개 |
180,000 ~ 190,000 |
|
알루미늄문 |
2400 X 2100mm(양개) |
set |
800,000 ~ 1,300,000 |
|
방화문 |
900 X 2100mm |
set |
78,000 ~ 170,000 |
|
유리 |
강화유리 |
T = 8mm - 투명 |
㎡ |
18,800 |
T = 8mm - 칼라 |
㎡ |
20,500 |
||
접합유리 |
T = 6.3mm |
㎡ |
24,300 |
|
T = 10.3mm |
㎡ |
31,800 |
||
복층유리 |
T = 16mm - 투명 |
㎡ |
20000 |
|
T = 16mm - 칼라 |
㎡ |
26,500 ~ 27,200 |
||
T = 16mm - 반사 |
㎡ |
48,500 ~ 63,600 |
||
도장재 |
수성페인트 |
ℓ |
2,300 ~ 4,500 |
|
유성페인트 |
ℓ |
2,700 ~ 4,100 |
||
방청페인트 |
ℓ |
4,200 ~ 6,500 |
||
에폭시페인트 |
ℓ |
4,800 |
||
본타일페인트 |
ℓ |
3,500 ~ 4,500 |
||
바닥재 |
타일카펫 |
6.5 X 500 X 500mm |
㎡ |
22,300 ~ 40,000 |
카펫 |
T = 7mm |
㎡ |
12,100 ~ 26,360 |
|
비닐시트 |
T = 2.0mm, W = 1830mm |
㎡ |
10,500 ~ 18,790 |
|
비닐타일 |
3.0 X 450 X 450mm |
㎡ |
6,700 ~ 23,000 |
|
전도성타일 |
3.0 X 600 X 600mm |
㎡ |
22,000 |
|
러버타일 |
T = 4~6mm |
㎡ |
35,000 ~ 62,000 |
|
이중바닥재 |
마감재 포함 |
㎡ |
61,000 ~89,000 |
|
플로어링재 |
22 X 129 X 3700mm 비치(수입) |
㎡ |
88,000 ~105,000 |
|
22 X 129 X 3700mm 오크(수입) |
㎡ |
102,000 ~ 105,000 |
||
27 X 58mm 메이플(수입) |
㎡ |
82,000 ~ 92,000 |
||
국산 |
㎡ |
63,000 ~ 103,000 |
||
내장재 |
암면텍스 |
T = 9~15mm |
㎡ |
5,900 ~ 9,900 |
아스칼텍스 |
6 X 303 X 606 |
㎡ |
3,300 |
|
엑사판 |
T = 10mm |
㎡ |
12,100 |
|
P.V.C 천장재 |
㎡ |
42,200 |
||
루바 |
㎡ |
18,000 |
||
밤라이트 |
㎡ |
113,000 ~ 195,000 |
||
큐비클 |
㎡ |
45,000 ~ 90,000 |
||
알루미늄 시트 |
T = 3mm |
㎡ |
90,000 |
|
SGP |
㎡ |
45,000 ~ 55,000 |
||
홀딩도어 |
㎡ |
18,000 |
||
벽지 |
실크벽지 |
㎡ |
1,580 ~ 3,010 |
|
합지, 종이벽지 |
㎡ |
310 ~ 950 |
||
타일벽지 |
㎡ |
1,900 ~ 3,270 |
||
발포벽지 |
㎡ |
720 ~ 1,170 |
||
특수벽지 |
㎡ |
2,060 ~ 8,890 |
||
띠벽지 |
roll |
3,670 ~ 13,650 |
||
커튼 |
나염지 |
m |
4,500 ~ 24,000 |
|
롤스크린 |
m |
44,000 ~ 52,000 |
||
면직물 |
m |
9,600 ~ 12,600 |
||
자수, 무지 |
m |
3,200 ~ 44,200 |
||
자카드 |
m |
7,500 ~ 26,800 |
||
블라인드 |
버티칼 블라인드 |
㎡ |
13,000 ~ 45,000 |
|
롤 블라인드 |
㎡ |
17,000 ~70,000 |
||
수평 블라인드 |
㎡ |
15,000 ~ 35,000 |
||
무늬목 - 구스 |
150~600 X 2400~2700 X 0.15mm |
㎡ |
3,930 |
|
무늬목 - 흑단 |
150~600 X 2400~2700 X 0.15mm |
㎡ |
4,540 |
|
무늬목 - 부빙가벌 |
150~600 X 2400~2700 X 0.15mm |
㎡ |
2,420 |
|
무늬목 - 인조왠지 |
150~600 X 2400~2700 X 0.15mm |
㎡ |
2,120 |
|
무늬목 - 체리 |
150~600 X 2400~2700 X 0.15mm |
㎡ |
2,720 |
|
무늬목 - 비취 |
150~600 X 2400~2700 X 0.15mm |
㎡ |
2,420 |
|
무늬목 - 홍송 |
150~600 X 2400~2700 X 0.15mm |
㎡ |
1,810 |
|
인테리어필름 |
0.42 X 1220mm |
㎡ |
36,000 ~ 52,000 |
|
외장재 |
법랑 |
T = 1.6mm |
㎡ |
120,000 ~ 133,000 |
AL 복합판넬 |
T = 6mm |
㎡ |
85,000 ~94,000 |
|
G/A |
T = 1.2mm |
㎡ |
55,000 ~59,000 |
|
드라이비트 |
㎡ |
23,000 ~30,000 |
||
비닐 사이딩 |
㎡ |
30,000 ~35,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