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快嵐의 블로그 원문보기 글쓴이: 쾌남
우리가 주위에서 어른들에게 자주 듣는 말 중에 하나가
너는 무슨 띠이니 무슨 띠를 만나서 결혼하면 좋고 무슨 띠와는 궁합이 안좋으니
만나서 사귀지 말라고 합니다. 이런 주변 어른들이말을 얼마나 믿어야 하는가?
안 믿으려 해도 어른들이 자주 그런 말을 하면 사람이 마음이 이성을만나는 과정에서
무의식 중에 신경을 쓰게 되는 것이 사실이라고 봅니다.
물론 요즘 세상에 뭐 그런 거를 다 믿고 다니냐고 말을 하기도 하지만 본인이 직접 그런 말의 당사자가 되고 보면 심각해 지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지요.
그래서 그런 말을 전혀 안믿을 수도없고 믿자니 그렇고 그냥 넘기자니 신경이 쓰이고
어디 가서 문의 해 보기도 그렇고 그래서 이래 저래 고민이 되는게 현실입니다.
이 글은 그런 분들을 위해 참고 하시라고 올리는 내용입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결혼이라는 인륜지대사 앞에서 사소한 일이라도 그냥 넘겨 버리고 싶은 사람은 없습니다.
어떻게든 확인하고 안전하게 하고 싶은게 모든 사람이 마음입니다.
그래서 이런 고민이 생기는 사람은 철학관에 문의하게도 되고 그러다가 찾아간
철학관에서 결혼하면 잘 사는 좋은 궁합이라는 말을 들으면 기분이 좋지만
그렇지 않고 상대가 무슨 띠라서 궁합이 안좋으니 여기서 그만 헤어지는게 좋다는
말을 듣고 보면 밤새 잠도 못자고 고민하다가 결국에는 서로의 행복을 위해서
안녕을 결정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못하는 경우는 밤새 이 문제로 고민하는
경우도 많다고 보겠습니다. 혹여 그런 말을 듣고 결혼까지 골인하더라도 찝찝한 기분은 지울 수 없는게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사람이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이 말은 어떤 원리에서 하는 말인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결혼하면 좋다고 말하는 띠는 합의 원리에서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해당 띠가 삼합이나 육합이 되는 띠는 좋다고 보는 것입니다.
그리고 결혼하면 나쁘다고 말하는 띠는 원진, 형, 충, 파, 해에 해당하는 띠입니다.
그럼 이런 내용을 좀더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결혼하면 좋다는 육합과 삼합이 되는 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육합이 되는 궁합은 길하다고 봅니다.
자축(子丑), 인해(寅亥), 묘술(卯戌), 진유(辰酉),
사신(巳申), 오미(午未)가 육합이 되는데 이것을 표를 통해서 다시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표에서 보듯이 육합이 되는 띠는 궁합이 좋다고 말합니다.
이것을 풀어서 얘기 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쥐띠와 소띠가 만나면 좋다. 2. 범띠와 돼지띠가 만나면 좋다. 3. 토끼띠와 개띠가 만나면 좋다. 4. 용띠와 닭띠가 만나면 좋다. 5. 뱀띠와 원숭이띠가 만나면 좋다. 6. 말띠와 양띠가 만나면 좋다. 이렇게 육합이 되는 띠는 좋다고 하는데 합이 되니 서로 좋다고 하는 모양입니다.
그러면 벗님도 자신의 띠를 보고 무슨띠와 좋은지 한번 확인 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올해는 용띠해 임으로 용띠는 닭띠와 천생연분이 되는 것이 좋다고 말하면 되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삼합이 되는 궁합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삼합이 되는 궁합도 육합 처럼 좋다고 말합니다. 일단 삼합을 보면 신자진(申子辰), 해묘미(亥卯未),인오술(寅午戌), 사유축(巳酉丑) 입니다. 이것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표를 통해서 다시 보도록 하겠습니다.
표를 보시면 각띠가 삼합이 되는 띠와 궁합이 좋다고 되어 있습니다.
즉 쥐띠는 용띠나 원숭이 띠를 만나면 좋은 것입니다. 다른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올해는 경진년으로 용띠해입니다.
그러면 올해에 태어나는 사람은 일단 자신의 띠를 찾아 갑니다.
표에 분홍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되는데 옆을 보면 쥐띠 원숭이띠라고 되어 있습니다.
즉 쥐띠나 원숭이띠는 좋다는 말입니다.
그러면 벗님들 스스로 자신의 해당하는 띠를 찾아 보고 옆 칸을 보면 무슨 띠가 서로에게 좋은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상으로 궁합에 좋은 띠를 알아 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말하는 것처럼 합이 되는 띠는 자신에게 좋은 궁합이 될까?
물론 좋다고 하니 기분 나쁜 말은 아닌데 하지만 좋다고 해서 결혼해 살아보니
궁합이 안맞다고 느낀다면 그때는 이미 때는 늦었습니다.
그러니 안심하고 있을 일은 아닙니다. 육합이 된다고 궁합이 좋고 삼합이 된다고 궁합이 좋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 사람과 육합이 되거나 삼합이 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간에
사주에 비쳐진 배우자에 대한 복을 살피고 그런 다음 서로의 일간이 상생이 되는지를
살피고 상대방이 일간이 나의 사주에 용신에 해당이 되는지를 살피는게
더 중요한 것입니다.
즉 육합과 삼합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이렇게 육합과 삼합이 되면 좋다는 말은 믿지 마시고
직접 사주를 통해 궁합을 보는게 더 중요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서로에게 좋은 길한 궁합이 되는 띠를 보았습니다.
그러면 반대로 흉한 궁합이 되는 원진, 형,충, 파, 해가 되는 띠궁합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원진에 대해서 알아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원진은 원진살이라고 하는데 일명 사랑살이라고 합니다.
떨어지면 보고 싶으나 곁에 있으면 항상 원망과 불평불만이 많은 살인데
신경질적인 성격으로 원망과 증오가 많아 백년해로가 힘들다고 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주팔자에서 서로가 이런살이 되면 서로 미워하고 원망하게 되어
결혼하여도 헤어지지 않고 잘산다는게 힘들다고 합니다.
그러면 서로 원진이 되는 띠를 알아 보도록 하겠읍니다.
위 표에서 보면 쥐띠와 양띠는 서로 원진이 됨으로 궁합이 안좋습니다.
올해를 예로 들면 올해는 용띠임으로 용띠 해에 태어난 사람은 표 중간에 보이듯이
돼지 띠와 원진이 됨으로 안좋다고 말할수 있습니다.
그러면 자신이 띠와 원진이 되는 띠는 벗님 스스로 찾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왜 서로 미워하고 원망하는지 동물들이 특징을 살펴 알아 보겠습니다. 1. 쥐는 양의 머리에 뿔이 있는 것을 싫어 한다고 한다. 2. 소는 말이 자기 처럼 논밭을 갈지 않고 빈둥되며 노는 것을 싫어 한다. 3. 범은 닭의 부리가 짧은 것을 미워한다. 4. 토끼는 원숭이의 허리가 굽은 것을 싫어한다. 5. 뱀은 개짖는 소리를 싫어 한다. 6. 용은 돼지의 얼굴이 검은 것을 싫어한다. 한쪽이 미워하면 상대도 미워하게 됨으로 나머지도 그렇게 보면 됩니다.
그러나 벗 님들께서는 이런 글들을 읽으면서 느낌이 있을 것입니다. 너무도 허무 맹랑한 얘기라는 생각이 든다면 지극히 정상이라고 생각합니다. 형이란 무엇인가? 일단 형의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형에는 인사신형(寅巳申刑)인 지세지형과 축술미형(丑戌未刑)인 무은지형,
자묘형(子卯刑)인무례지형, 그리고 자형인 진오유해(辰午酉亥)가 있습니다.
이들이 서로 만나면 상대에게 큰 충격을 주기 때문에 안좋은 궁합이 된다고 합니다.
표를 통해서 상세하게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범띠,뱀띠,원숭이띠 <인사신형(寅巳申刑) = 지세지형>
2) 소띠,개띠,양띠 <축술미형(丑戌未刑) = 무은지형>
3) 쥐띠,토끼띠 <자묘형(子卯刑) = 무례지형>
4) 용띠,말띠,닭띠, 돼지띠 <진오유해(辰午酉亥) = 자형>
이상으로 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벗님이 만나는 상대가 형에 해당하는지 한번 알아보는
것도 재미있겠습니다. 충이란 서로 만나면 충돌하고 대립하는 것으로 6가지가 있는데
종류를 보면 자오(子午)충, 축미(丑未)충, 인신(寅申)충, 묘유(卯酉)충 진술(辰戌)충
사해(巳亥)충이 됩니다. 이것을 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위 표에서 보듯이 서로 상대되는 띠가 충이 되는 띠임으로 참고 하시면 됩니다.
파는 서로 만나면 파괴 한다는 의미로 충과 같이 6가지가 있습니다. 표를 통해서 보도록 합니다.
위 표에서 자신의 출생띠를 보고 파에 해당하는 띠를 참고 하면 되겠습니다.
해에도 6가지가 있는데 만나면 서로 해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표를 통해서 해가 되는 띠를 보도록 하겠읍니다.
이상으로 해에 대한 것을 알아 봄으로써 궁합에 안좋다는 원진, 형, 충, 파, 해에
해당하는 의미와 해당 띠를 알아보았습니다. 우리는 나쁜 궁합으로 원진,형, 충, 파, 해가 되는 궁합이라고 알아보았습니다.
좋은 궁합은 말만들어도 기분이 좋은데 나쁜 궁합은 웬지 기분이 찜찜한게 사실입니다. 그런데 이게 사실이라면 그냥 넘겨 버릴 수는 없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보는 궁합은 맞는 경우 보다 안맞는 경우가 더 많으니 이것을 다 믿을 봐는 못되는 것입니다.
제대로 된 궁합을 보기 위해서는 본인이 사주와 상대의 사주를 통해서 보는게
더 정확하다고 다시 한번 말씀 드리겠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상대가 위에 열거한 원진, 형, 충, 파, 해에
해당이 되어도 크게 염려할 필요는 없습니다. 궁합을 볼 때 중요한 것은 이렇게 서로간의 띠로 보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과 나의 사주가 일간 상생이 되는지를 보고 그리고 상대방이 일간의
자신의 사주의 용신이 되는 지를 보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이미 결론은 앞에서다 말씀드렸다고 보겠습니다.
그래도 노파심에서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면
띠로 보는 궁합은 믿을게 못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벗님들께서는 주위에서 뭐라고 하건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과 띠가 안맞아
헤어지는 우는 범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그럼으로 궁합을 볼 때 중요한 것은 상대방의 사주와 내사주의 일간이 상생 여부와
상대방이 일간이 내 사주의 용신인지 아닌지를 보고 판단하는게 좋다는 것입니다.
띠 궁합 보는법
원진살(怨嗔煞)
명조나 대운에서 원진살이 있으면 인생에 해(害)가 심하다. 남녀 궁합(宮合)을 볼 때 띠를 비교해 평가하는데 일지(태어난 날)가 원진의 영향력이 생년 띠보다 더욱 크다.
단순히 배설물 관계가 아니고 두 오행에 있는 글자에 속사정을 보면 숨어져 있는 글자끼리 합치고 해코지를 하면서도 막상 떨어지지도 못하고 같이 붙어서 은혜를 원수로 갚는 격이 되니 미운 사이가 되는 것이다. 실제로 마구간과 외양간을 이웃해서 지어주면 서로 잘 자라지 못한다. 소는 열심히 밭을 갈고 있는데 말이란 놈은 주인집 아들을 태우고 시원한 방축을 왔다 갔다 하니 얼마나 미울 것인가. 축오 두 글자 속에 숨어있는 오행끼리 합하고, 극을 하면서도 떨어지지 못하면서 서로 경쟁을 하면서 지내는 관계가 된다. 사냥을 하고 들어와서 잠을 청하는데 닭이란 놈이 해가 뜨는 것을 미리 알고 훼를 쳐대니 잠을 잘 수 없듯이, 인유 두 글자 속에도 서로 극을 하고 있으면서 또 합치고 있는 오행의 관계가 돼 원수처럼 지내지만 어쩔 수 없이 같이 사는 것이다. 자신의 눈 색깔과 같기 때문이다. 묘신 두 글자 중에 숨어있는 오행들이 서로 합하고 해코지를 하면서 은혜를 원수로 갚고 자기의 세력을 분탈해가고 또는 도와주고 있는 것이 통합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므로 같이 있기가 힘이 드나 떨어지기는 더욱 힘든 것이다. 자기의 코가 돼지의 코를 닮아서 잘생긴 자기 용모에 돼지 같은 지저분한 놈이 오점을 남겼으므로 미워하는 것이다. 여자들 중에 최신 유행으로 옷을 사입고 자랑을 하려고 동창회에 나갔는데 똑같은 옷을 입고 나온 친구를 보면 밉살스러워 하는 것과 같다. 허물을 벗다가 개 짖는 소리에 기절초풍을 하게 된다. 사술 두 글자 안에 숨어 있는 오행끼리 서로 합치고 극을 해, 서로 해를 가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들은 서로 경쟁을 하면서 부딪치는 관계로 볼 수가 있다. 원진살이 있다고 무조건 나쁜 것이 아니고 타오행과 관계를 잘 살펴야 하며 부부지간에 겉궁합은 나쁘지만 속궁합이 좋은 사람들이 이것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고과살(孤寡殺) 두 사람의 생년을 대조하여 보는 바 이 살(殺)에 걸리면 부부가 생사이별수(生死離別數)가 있기에 고독하고 과부가 되니 고과살이라 한다. 만나면 고진살이 되고 개띠를 만나면 과숙살이 된다. 만나면 고진살이 되고 소띠를 만나면 과숙살이 된다. 셋째, 만나면 고진살이 되고 용띠를 만나면 과숙살이 된다. 돼지띠를 만나면 고진살이 되고 양띠를 만나면 과숙살 이 된다. 것 없이 토끼날(卯日)에 출생하거나 닭날 (酉日)에 출생하면 이 살이 걸리니 이 달에 출생한 사람은 과부가 된다 는 뜻이다,
참고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궁합의 의미와 사주명리학에서 말하는 궁합의 의미는 일정한 간격이 있다. 사주명리학에서 말하는 궁합의 의미는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부부궁합의 범주를 벗어나 친구나 동료관계 직장에서 상하관계까지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하늘에서 4문자 땅에서 4문자를 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들은 일정한 원리에 따라 합해졌다고 깨어지기를 반복한다. (참고 : 사주팔자(四柱八字)란 네 개의 기둥 즉, 생년월일을 8개의 문자로 풀이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궁합을 보고자 하는 상대방과 합이 많은지 충이 많은지 비교를 하는 것이다. 궁합이 좋기 위해서는 합이 많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충이란 충돌을 의미하므로 어려움이 많이 따르게 된다. 그다음에 보아야 할 것이 대운의 흐름이다. 대운에 대해서도 일반인들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흔히 대운을 좋은 운쯤으로 여기는 단순한 사람들이 많은데 실은 그렇지가 않다. 대운이란 인간의 평생을 10년 단위로 나누어 10년 마다 하늘 1문자, 땅 1문자씩을 배당하는 것이다. 그래서 70평생을 산다고 하면 10년 단위로 총 7번의 대운이 찾아오게 되는 것이다. 명리학에서는 이것을 여행의 의미로 바꾸어서 알기 쉽게 설명한다. 것이므로 대운에 따라 좋고 나쁨이 달라지는데 궁합을 맞춰볼 경우도 이 대운의 흐름을 비교해 보아야 한다. 즉 상대방의 대운 흐름과 본인의 대운 흐름의 좋고 나쁨이 일치해야지 한 사람은 좋은데 다른 사람은 나쁠 경우 대부분 서로의 처지를 이해하지 못해 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유유상종의 의미가 여기서도 적용되는 것이다. 슬플 때는 같이 슬퍼야 위로가 되는데 한 사람은 기쁘고 다른 한사람은 슬프다면 이 둘이 어찌 함께 할 수 있겠는가?
(여기저기서)
출처 :비슬천문지리연구소
60갑자 와 10간 12지
[60갑자, 10간, 12지, 1경, 2경, 3경, 4경, 5경,서기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12支(지) (地支/지지)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매년 한 칸씩 뒤로 짝을 지어 가다 보면 60개가 되는데 첫 번째는 10간 첫 번째인 갑(甲)과 12지의 첫 번째 자(子)를 조합하여 “갑자(甲子)” 10간 두 번째인 을(乙)과 12지의 두 번째 축(丑)을 조합하여 “을축(乙丑)” 60갑자의 마지막 해는 간지의 각각 끝 글자인 계해(癸亥)가 됩니다. 61번째는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 “갑자(甲子)” 年이 되는 것 즉, 60갑자는 60년에 한번씩 돌아오게 됩니다. (삼천갑자 동방삭이란 결국 3000*60=18만년 이죠)
참고로 서기년에 대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甲子(갑자) 1924, 1984, 2044 甲申(갑신) 1884, 1944, 2004 甲辰(갑진) 1904, 1964, 2024
하나 더 옛날엔 하루 24시간을 나타내는데 역시 12支를 사용하였습니다. 즉 하루를 오늘날처럼 24시간으로 구분하지 않고 12時로 구분하였습니다. 24시간을 12로 나누면 각 時마다 2시간이 된다 12지의 시작이 子(자)이므로 하루의 시작도 자시(23시~ 01시)로 하였고, 그리고 별도로 1更(경), 2更~ 5更까지 부르기도 하였죠. (은한이 삼경인제,,하는) 子時가 3更입니다. 시계판을 머리 속에 그려 보시면 12시 좌우 1시간(23~01시)이 3更. 그리고 다시 2시간씩 앞으로 가면 2更(21시~23시), 뒤로 가면 4更(01시~03시), 한번씩 더 가면 1更 (19시~21시), 다시 뒤로 더 가면 5更(03시~05시)입니다.
戌時(술시) 19~21시 (1更)
지구의 경선(經線)을 자오선(子午線)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북(子)극과 남(午)극을 있는 선이라는 의미가 된다.
간지로 연대를 표기할 때는 천간이 앞에 표기되고, 지지를 뒤에 표기합니다. 甲子(갑자), 乙丑(을축), 丙寅(병인) 처럼 조합하며, 10간, 12지의 갯수가 짝수이므로 짝수는 짝수끼리 홀수는 홀수끼리 조합되어 모두 60개가 되는데 이를 六十甲子(육십갑자)라고 합니다. 그래서 60년마다 다시 같은 간지의 연대가 되돌아 오니 이를 還甲(환갑)이라고 합니다. 아래 표는 1644년~2003년(360년)의 간지연대표 입니다. 60년식 + - 하면 이 밖의 연도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간지 |
연도 |
간지 |
연도 |
간지 |
연도 | 甲子(갑자) |
1684, 1744, 1804, 1864, 1924, 1984 |
甲申(갑신) |
1644, 1704, 1764, 1824, 1884, 1944 |
甲辰(갑진) |
1664, 1724, 1784, 1844, 1904, 1964 | 乙丑(을축) |
1685, 1745, 1805, 1865, 1925, 1985 |
乙酉(을유) |
1645, 1705, 1765, 1825, 1885, 1945 |
乙巳(을사) |
1665, 1725, 1785, 1845, 1905, 1965 | 丙寅(병인) |
1686, 1746, 1806, 1866, 1926, 1986 |
丙戌(병술) |
1646, 1706, 1766, 1826, 1886, 1946 |
丙午(병오) |
1666, 1726, 1786, 1846, 1906, 1966 | 丁卯(정묘) |
1687, 1747, 1807, 1867, 1927, 1987 |
丁亥(정해) |
1647, 1707, 1767, 1827, 1887, 1947 |
丁未(정미) |
1667, 1727, 1787, 1847, 1907, 1967 | 戊辰(무진) |
1688, 1748, 1808, 1868, 1928, 1988 |
戊子(무자) |
1648, 1708, 1768, 1828, 1888, 1948 |
戊申(무신) |
1668, 1728, 1788, 1848, 1908, 1968 | 己巳(기사) |
1689, 1749, 1809, 1869, 1929, 1989 |
己丑(기축) |
1649, 1709, 1769, 1829, 1889, 1949 |
己酉(기유) |
1669, 1729, 1789, 1849, 1909, 1969 | 庚午(경오) |
1690, 1750, 1810, 1870, 1930, 1990 |
庚寅(경인) |
1650, 1710, 1770, 1830, 1890, 1950 |
庚戌(경술) |
1670, 1730, 1790, 1850, 1910, 1970 | 辛未(신미) |
1691, 1751, 1811, 1871, 1931, 1991 |
辛卯(신묘) |
1651, 1711, 1771, 1831, 1891, 1951 |
辛亥(신해) |
1671, 1731, 1791, 1851, 1911, 1971 | 壬申(임신) |
1692, 1752, 1812, 1872, 1932, 1992 |
壬辰(임진) |
1652, 1712, 1772, 1832, 1892, 1952 |
壬子(임자) |
1672, 1732, 1792, 1852, 1912, 1972 | 癸酉(계유) |
1693, 1753, 1813, 1873, 1933, 1993 |
癸巳(계사) |
1653, 1713, 1773, 1833, 1893, 1953 |
癸丑(계축) |
1673, 1733, 1793, 1853, 1913, 1973 | 甲戌(갑술) |
1694, 1754, 1814, 1874, 1934, 1994 |
甲午(갑오) |
1654, 1714, 1774, 1834, 1894, 1954 |
甲寅(갑인) |
1674, 1734, 1794, 1854, 1914, 1974 | 乙亥(을해) |
1695, 1755, 1815, 1875, 1935, 1995 |
乙未(을미) |
1655, 1715, 1775, 1835, 1895, 1955 |
乙卯(을묘) |
1675, 1735, 1795, 1855, 1915, 1975 | 丙子(병자) |
1696, 1756, 1816, 1876, 1936, 1996 |
丙申(병신) |
1656, 1716, 1776, 1836, 1896, 1956 |
丙辰(병진) |
1676, 1736, 1796, 1856, 1916, 1976 | 丁丑(정축) |
1697, 1757, 1817, 1877, 1937, 1997 |
丁酉(정유) |
1657, 1717, 1777, 1837, 1897, 1957 |
丁巳(정사) |
1677, 1737, 1797, 1857, 1917, 1977 | 戊寅(무인) |
1698, 1758, 1818, 1878, 1938, 1998 |
戊戌(무술) |
1658, 1718, 1778, 1838, 1898, 1958 |
戊午(무오) |
1678, 1738, 1798, 1858, 1918, 1978 | 己卯(기묘) |
1699, 1759, 1819, 1879, 1939, 1999 |
己亥(기해) |
1659, 1719, 1779, 1839, 1899, 1959 |
己未(기미) |
1679, 1739, 1799, 1859, 1919, 1979 | 庚辰(경진) |
1700, 1760, 1820, 1880, 1940, 2000 |
庚子(경자) |
1660, 1720, 1780, 1840, 1900, 1960 |
庚申(경신) |
1680, 1740, 1800, 1860, 1920, 1980 | 辛巳(신사) |
1701, 1761, 1821, 1881, 1941, 2001 |
辛丑(신축) |
1661, 1721, 1781, 1841, 1901, 1961 |
辛酉(신유) |
1681, 1741, 1801, 1861, 1921, 1981 | 壬午(임오) |
1702, 1762, 1822, 1882, 1942, 2002 |
壬寅(임인) |
1662, 1722, 1782, 1842, 1902, 1962 |
壬戌(임술) |
1682, 1742, 1802, 1862, 1922, 1982 | 癸未(계미) |
1703, 1763, 1823, 1883, 1943, 2003 |
癸卯(계묘) |
1663, 1723, 1783, 1843, 1903, 1963 |
癸亥(계해) |
1683, 1743, 1803, 1863, 1923, 1983 |
http://cafe.naver.com/manhoijung.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9에서 펀 글입니다. |
|
출처: 快嵐의 블로그 원문보기 글쓴이: 쾌남
첫댓글 六甲을 올리셨네요? ^^
이런 궁합은 걷궁합이라 하여 재미로 보는 것이고,
속궁합과 다른 궁합법이 있답니다 ㅎㅎ
걍 재미로 올려봤어요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