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벡·온타리오주 "다른 주 술 반입 금지"... 보호무역 극성
BC주-앨버타주 300개 와이너리 직거래 허용... 새 바람
결혼식장 위치만 달라도 맥주 판매 불가... 업계 막막
캐나다에서 다른 주에서 생산된 술을 구매하기가 외국 술을 사는 것보다 더 어려운 실정이다. 미국의 관세 위협으로 주간 무역장벽 완화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BC주와 앨버타주가 첫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캐나다 상공회의소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 캐나다에서는 칠레산 와인을 구매하는 것이 BC주 와인을 구매하는 것보다 더 수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주류 판매가 활발한 앨버타주조차 주류 수입과 구매 방식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
특히 퀘벡주와 온타리오주의 규제가 가장 강력하다. 퀘벡주에서는 주립주류공사만(SAQ)이 주류 수입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여행 기념품이나 선물로 받은 술도 온라인으로 신고해야 한다.
이러한 규제로 인해 캐나다의 와인·맥주 제조업체들은 국내 시장보다 미국 시장에 더 의존하고 있다. 노바스코샤주, 온타리오주, BC주는 대규모 와인 생산지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주에 판매하는 것보다 미국에 수출하는 것이 더 용이한 상황이다.
2019년 10월까지 온타리오주는 주류 반입량을 엄격히 제한했다. 와인 9리터, 증류주 3리터, 맥주 24.6리터로 제한됐던 규정은 개인 소비용에 한해 철폐됐지만, 여전히 직접 배송은 금지되어 있다. 온타리오주 주민이 주 외부의 주류를 구매하려면 온타리오 주류관리 위원회(LCBO)를 통해 주문해야 한다.
실제 사례를 보면 규제의 심각성이 더욱 두드러진다. 오타와의 한 맥주 양조장은 온타리오주와 퀘벡주 경계에 걸쳐 있는 결혼식장에서 열리는 결혼식에 맥주를 판매할 수 없었다. 단순히 결혼식장이 퀘벡주 쪽에 위치했다는 이유에서다.
2012년에는 뉴브런즈윅주 주민이 퀘벡주에서 저렴한 맥주를 구매했다가 300달러의 벌금을 물어 대법원까지 간 '맥주 자유화' 사례도 있다. 대법원은 주정부의 주류 규제 권한을 인정했지만, 동시에 주정부가 자발적으로 시장 개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다행히 최근 들어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BC주는 이달부터 300여 개의 와이너리가 앨버타주 소비자에게 직접 와인을 배송할 수 있게 됐다. 해당 프로그램은 1년간 시범 운영되며, 평가를 거쳐 제도를 보완할 예정이다.
BC주 와인산업은 연간 37억5천만 달러의 경제효과와 1만4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주정부와 연방정부에 납부하는 세금도 4억4천만 달러에 달한다. BC와인생산자협회는 오랫동안 캐나다 전역의 자유무역을 주장해왔으며, 특히 지리적 근접성과 오랜 관계를 고려해 앨버타주와의 교역을 중시해왔다.
업계에서는 주간 무역장벽 완화가 기업의 성장을 돕고 국제 브랜드와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미국의 관세 위협에 맞서 내수 시장을 강화하고 미국 시장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