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팝나무의 유래
‘이팝’은 어원이 ‘이밥(쌀밥)’에서 나온 말이라 한다.
'이밥에 고깃국!' 먹고 살기 힘든 시절, 고깃국과 함께 하얀 쌀밥을 먹는 것이
최고의 바람이던 때를 지금도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는 어른들이 많다.
북한에서는 요즘도 쌀밥을 '이밥'이라 한다.
흰꽃으로 덮인 이팝나무는 쌀밥을 연상시키므로 '쌀밥나무'를 뜻하는 '이팝나무'로
부르게 됐다고 한다.'이밥'이 '이팝'으로 변음되어 '이팝나무'가 된 것이다.
'이밥'은 '이(李)씨 밥'으로, 조선왕조 시대 벼슬을 해야 이씨인 임금이 내리는 흰
쌀밥을 먹을 수 있다하여 쌀밥을 '이밥'이라 했다 한다.
또 이팝나무가 쌀밥과 인연을 맺게 된 데는 어느 며느리의 한(恨) 서린 죽음의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옛날 경상도 땅에 18세에 시집을 온 착한 며느리가 시어머니의 온갖 구박을 받으며
살고 있었다. 한 번은 큰 제사가 있어 제사에 쓸 쌀밥을 짓게 되었다.
평소 잡곡밥만 짓던 며느리는 처음 쌀밥을 지으면서 혹시 잘못 돼 꾸중듣게 될까
걱정이 되지 않을 수 없었다.그래서 뜸이 잘 들었는지 알아보려고 밥알 몇개를
떠 먹어 보았다. 그것을 보게 된 시어머니는 제사에 쓸 밥을 며느리가 먼저 먹었다며
갖은 학대를 일삼았다. 억울함을 견디지 못한 며느리는 어느날 뒷산으로 올라가
목을 매 죽었다. 그 이듬해에 며느리가 묻힌 무덤가에 나무가 자라더니 흰 꽃을
가득 피워냈다. 쌀밥에 한이 맺힌 며느리가 죽어 나무가 되었다며 동네사람들은
그 나무를 이팝나무라 불렀다.
"허, 올해는 풍년이 들겠는걸""할아버지, 그걸 어떻게 아세요?"
"이팝나무에 흰 꽃이 많이 피었잖니?"
"흰 꽃이 많이 피는 해는 풍년이, 많이 많이 피지 않는 해는 흉년이 든단다."
순이는 할아버지의 말에 눈이 동그래지면서 이팝나무를 쳐다보며 말했어요.
"할아버지, 이팝나무 전설에 대해 이야기 해 주세요."
"오냐, 그럼 우리 순이에게 이팝나무 이야기를 한번 해 볼까?"
옛날에 가난한 선비가 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단다.
그런데 그 어머니는 오랫동안 병을 앓아서 일어나질 못했지."얘야, 흰 쌀밥이 먹고 싶구나!"
"예, 어머니 조금만 기다리세요.""얼른 밥 지어 올게요"쌀 독에 쌀이 조금밖에 남지
않은걸 본 선비는 걱정이 되었어."어떡하지, 내 밥이 없으면 어머니가 걱정하실텐데."
그때, 선비는 좋은 생각이 떠올랐지."옳지, 그렇게 하면 되겠다."
나뭇꾼은 마당에 있는 큰 나무에 올라가 하얀 꽃을 듬뿍 따서 자기의 밥그릇에 담았단다.
"어머니, 진지 드세요""하얀 쌀밥이 먹음직하구나"오랫동안 병석에 있던 어머니는
오랜만에 흰 쌀밥을 맛있게 먹었단다."어머니, 정말 맛있어요"
꽃밥을 먹으면서도 나뭇꾼은 활짝 웃었단다.
마침, 그곳을 지나던 임금님이 이 모습을 보시고 크게 감동하여
그 선비 효자에게 큰상을 내렸단다.이 일이 세상에 알려지자 사람들은
그 나무를 이밥나무라고 불렀단다."그 꽃이 꼭 흰 쌀밥처럼 생겼거든"
"지금은 이밥나무가 이팝나무라고 불려지게 된거지""아하, 그래서 이팝나무라 불린거군요"
"그럼 올해는 꽃이 많이 피었으니 풍년이겠네요.""그렇지, 그렇구 말구"
할아버지와 순이는 이팝나무 아래서 행복하게 웃었답니다.
--------------------------------------------------------------
*매년 5월 중순경이면 상도길 숭실대 앞에서는 이팝나무꽃 축제가
동작구 주최로 크게 열렸는데,금년에는 코로나 사태로 취소 되는가 봅니다.
1 Km 정도의 도로 양옆으로 이팝나무꽃이 풍성하게 피었던데...아쉽네요*
첫댓글 신록속 하얀 이팝나무의 흰꽃이 탐스럽게 만개한 요즈음 입니다. 이런 전설을 알고 있기에 한참이나 쳐다 보았습니다. 살기좋은 세상으로 바뀌어 쌀밥을 빵한조각 보다 업신여기는 격하로 자리 바꿈 하였지만 고난의 시절은 잊지못할 교훈으로 남겨 집니다. 주말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