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현기는 현수보살품을 해석할 때, 경에서는 십신위 보살의 발심행을 설명하고 있음에도 십지 끝에 부처의 무상의 경계가 들어가 부처의 일을 만족한다는 기술이 보이는 건 모순이 아닌가라는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한다. ...
이 가운데 “뜻이 진실한 근본으로부터 일어나면서도 세상을 버리지 않을 것이다”라는 건 광명각품이 보살의 명칭을 열거할 때, 묘혜의 대표인 문수로 시작하여 세간을 상징하는 현수로 끝나는건 이들 제 보살행이 ‘최초에 깊고 깊은 진실로부터 출발’하고 나아가 ‘세간에서 성취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하는 혜광의 해석과 아주 일치한다. 사실상 수현기의 이 부분 전체가 혜광의 소를 인용한 것은 아닌가 생각된다. 이시이 코세이 화엄사상의 연구 220-221
*지혜=문수
세간=현수
cf 의흥진본 불사어세(義興眞本 不捨於世)- 지론종 전통설임. 뜻은 진실한 근본으로 발하여 세간을 버리지 않는다. 不捨世間이란 표현도 나옴. 224
첫댓글 지엄도 그렇고 법장 현수도 그렇고, 화엄교학을 세우는데 지론종 영향을 많이 받았나 봅니다.
그러나 지엄 자체는 지론종의 화엄경 해석을 싫어했다고 하네요.
세간에서 성취되는 것!
보현행원!
고맙습니다. 마하반야바라밀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