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합천 가야산 해인사 국사단 주련 慶南 陜川 伽倻山 海印寺 局司壇 柱聯
국사단(局司壇)
局司大神振玄風 국사대신진현풍 도량 맡은 국사대신 현풍을 떨치시며 재앙 막고 복 내리며 모든 소원 들어주네. 인간세상 통찰하길 손바닥을 보듯 하며 중생을 교화함에 모두 같게 하신다네.
【解說】
일주문을 지나고 봉황문(鳳凰門)을 지나 해탈문(解脫門)에 이르면 그 앞에 조그마한 건물 이 한 채 있는데 이를 국사단(局司壇)이라 합니다. 국사단(局司壇)이란 산신, 가람신 등 특정 한 구역을 보호하고 관장하는 신을 모신 곳입니다. 그래서 도량 내의 주요 전각에 들어가는 입구에 모신 것입니다. 국사단 앞에 안내문이 있는데 다음과 같은 글이 있습니다.
『국사단은 국사대신(局司大神)을 모신 단(壇)으로서 국사대신은 도량에 위치한 산국(山 局)을 관장하는[司] 산신과 토지가람신(土地伽藍神)을 가리킨다. 가야산신(伽倻山神)인 정견모주(正見母主=깨달음의 어머니)는 하늘의 신 이비가와의 사이에 두 아들을 두었다. 큰 아들 이진아시왕은 대가야국을 작은 아들 수로왕은 금관가야국을 각각 건국하였다 한 다. 국사대신은 인간세상을 손바닥 보듯이 하면서, 신비스런 현풍(玄風)을 떨쳐 해인사에 재앙을 없애고 복을 내린다. 가람을 수호하는 신을 모셨기 때문에 도량입구에 배치되어 있다.』
국사대신진현풍(局司大神振玄風) 도량 맡은 국사대신 현풍을 떨치시며
현풍(玄風)이란 신비하고 현묘(玄妙)한 교화(敎化)를 말합니다. 해인사 도량을 맡아 수호 하고 관장하는 국사대신(局司大神)이 신묘한 교화를 펼치는 것을 말합니다.
소재강복원개종(消災降福願皆從) 재앙 막고 복 내리며 모든 소원 들어주네.
소재강복(消災降福)이란 재앙을 소멸시키고 복을 내려 준다는 뜻입니다. 원개종(願皆從)이란 중생의 원을 모두 따라 들어준다는 뜻입니다. 국사대신은 도량을 수호 할 뿐만 아니라 착한 중생에게 닥친 재앙이 있다면 이를 없애 주고 막아 주며 복도도 내려주 는 역할을 수행하며, 중생의 원을 따라 모두 응하며 소원을 들어줍니다.
통찰인간여반장(洞察人間如反掌) 인간세상 통찰하길 손바닥을 보듯 하며
통찰(洞察)이란 환하게 살핀다는 뜻이니 통찰인간(洞察人間)이란 인간계(人間界)를 환히 살핀다는 뜻입니다. 여반장(如反掌)이란 손바닥을 뒤집는 것과 같다는 뜻입니다. 손바닥 뒤집는 것은 얼마나 쉬운 일입니까? 해서 세상에 아주 쉬운 일을 손바닥 뒤집기라 하지요. 국사대신이 인간일을 환히 살피는 것은 여반장(如反掌)이라는 말이니 아주 손쉬운 일이란 뜻입니다. "인간사는 내 손안에 있소이다." 하며 인간일을 손바닥 보듯 한다는 말입니다.
교화군생일체동(敎化羣生一切同) 중생을 교화함에 모두 같게 하신다네.
군생(羣生)이란 군생(群生)과 같습니다. 중생의 무리, 즉 중생들을 말합니다. 여기서 군 (羣)은 흔히 군(群)이라 쓰는데 군(群)은 군(羣)의 속자(俗字)입니다. 일체동(一切同)이란 모 두 같다는 뜻이니 평등하다는 말입니다. 국사대신께서 중생들을 교화함에 차별을 두지 않 고 평등하게 대한다는 뜻이니 그 덕이 높음을 찬탄하고 있는 것입니다.
도량을 관장하고 수호하는 국사대신은 인간계를 손바닥 뒤집기보다 더 쉽게 낱낱이 환히 살피면서 중생들에게 재앙을 막아 주고 복을 내려 주는 고마운 존재입니다. 또한 중생의 소원에 응하여 소원을 들어 줄 뿐만 아니라 중생을 교화함에 있어서 차별을 두지 않고 평등 하게 신묘한 교화를 펼치면서 재앙을 막아 주고 재앙을 소멸시키기도 하며 착한 중생은 복을 내리기도 하며 중생들의 원에 응하여 소원을 들어 주니 참으로 고맙고 감사하며 든든한 도량 신입니다. 그래서 이를 찬탄하는 것입니다. 해인사를 참배할 때 해탈문 앞의 국사단에 들 려 예를 표하고 경내로 들어가면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백우 _()_
|
첫댓글 국사단에 대하여 배웁니다. 도량에 국사대신이 있어 이익을 많이 주는군요.
_()_
중생들을 위하여 현풍을 떨치며 재앙을 막아 주고 소원을 들어 주심에 감사의 예을 올립니다.
자세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정견님, 감사합니다. 사찰에 도량신을 위한 국사단이 있는 곳은 드뭅니다.
_()_
이렇듯 국사대신이 도량을 수호하고 있으니 든든합니다.
감사합니다.
_()_
미소님, 감사합니다.
_()_
....나무묘법연화경()()()
묘법님, 감사합니다.
_()_
염화님, 감사합니다.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