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년 토마스 무어(Thomas Moore)는 그의 시와 죤 앤드류 스티븐슨(John Andrew Stevenson)의 악보를 포함한 음악선집-,첫 민요집을 출간하였다.
Thomas Moore(28 May 1779 – 25 February 1852) was an Irish poet,singer,songwriter,and entertainer,
now best remembered for the lyrics of "The Minstrel Boy" and "The Last Rose of Summer"
Thomas Moore는 아일랜드의 국민 시인이자 작사가, 가수, 예능인으로
소년악사( 음유시인 소년):TheMinstrelBoy ,
한 떨기 장미꽃:TheLast Rose of Summer 가사로 가장 잘 기억되고 있다.
음유시가
시가(吟遊詩歌)는 원래 고대로부터 중세 유럽에 이르기까지 직업적으로 자작시를 노래로 부르던 음악적 장르이다. 음유시인(吟遊詩人)은 음유시가를 음악적으로 즐기던 사람을 의미하며, 트루바두르 및 민스트럴도 음유시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본래 음유시인(troubadour, 吟遊詩人)은 중세 유럽에서 봉건제후의 궁정을 찾아다니며 스스로 지은 시를 낭송하던 시인을
말한다.
민스트럴 보이(The Minstrel Boy)는 아일랜드 의 고전 포크송이다. 본래 멜로디는 아일랜드 민요인 모린(the Moreen)이며 가사는 토머스 무어(1779–1852)가 지었다. 한국에는 '소년 악사' 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민스트럴(Minstrel) 또는 바드(Bard)는 아일랜드의 음유 시인들을 가리키는데, 아일랜드의 전통 악기인 하프 를 들고 다니며 노래를 불렀다. 하프는 아일랜드의 국민 악기로서, 아일랜드 국장도 하프이다.
1798년에 아일랜드 사람들은 반영파 장로교 신자인 로디 매컬리(Roddy McCorley, 가톨릭 신자였다는 설도 있음)와 로마 가톨릭 신자인 존 켈리(John Kelly)의 주도 하에 잉글랜드의 지배에 맞서서 대대적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이 곡은 반란에 동참했던 어린 음유시인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원곡은 2절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1845년에 아일랜드의 주 농작물인 감자 농사가 엄청난 흉년을 기록하면서 아일랜드인들이 무더기로 미국으로 이민을 가게 되었고, 1861년에 미국에서 남북 전쟁 이 터졌다. 이 때 아일랜드 포크송인 이 곡에 3절이 추가되었다.
잉글랜드의 침략 이후 지배를 받고 있던 아일랜드 민중들은 미국 독립혁명과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반영파 장로교 신자인 헨리 조이 맥크라켄(Henry Joy McCracken)의 주도하에 1798년 대규모 폭동을 일으킨다. 하지만 이 독립운동의 실패도 잉글랜드로부터 더 강한 간섭과 탄압을 받게 된다. 이 독립운동에 참여한 많은 민중들 중 한 음유시인 소년이 있었고 그를 주인공으로 가사가 쓰여졌다.
이 곡은 아일랜드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독립 투쟁에 가담한 소년 민스트럴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민스트럴이 가진 하프에 화자는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프는 단순한 민스트럴의 반주용 악기가 아니라, 아일랜드의 민족 정신 그 자체를 상징하는 것이다.
절
가사
해석
1
The minstrel boy to the war is gone, In the ranks of death ye will find him; His father's sword he hath girded on, And his wild harp slung behind him; "Land of Song!" said the warrior bard, "Tho' all the world betray thee, One sword,at least, thy rights shall guard, One faithful harp shall praise thee!"
전쟁으로 떠난 음유시인 소년은 죽었네 죽은 사람들 사이에서 그를 찾을 수 있을거야 그의 아버지의 칼은 허리에 찼고 투박한 하프는 등에 매어 있겠지 "아일랜드여!" 전사가 외쳤지 "비록 세상이 그대를 배반하더라도 적어도 하나의 검만은 그대의 권리를 지킬 것이고 하나의 충성스런 하프는 그대를 찬양할 것이다!"
2
The Minstrel fell! But the foeman's chain Could not bring his proud soul under; The harp he lov'd ne'er spoke again, For he tore its chords asunder; And said "No chains shall sully thee, Thou soul of love and bravery! Thy songs were made for the pure and free They shall never sound in slavery!"
음유시인 소년은 죽었으나 적들의 사슬은 그의 자랑스러운 영혼을 묶어두지 못했지 그가 사랑했던 하프는 더이상 울리지 않으리 그가 산산히 부수어버렸으니 그리고 그가 말하길, "어떠한 사슬도 그대를 더럽히지 못하리! 그대의 사랑과 용기의 영혼을! 순수함과 자유를 위해 당신의 노래는 쓰여졌으니 노예의 굴레 아래에선 울리지 않으리!
The Minstrel Boy will return we pray When we hear the news we all will cheer it, The minstrel boy will return one day, Torn perhaps in body, not in spirit. Then may he play on his harp in peace, In a world such as heaven intended, For all the bitterness of man must cease, And ev'ry battle must be ended.
John McDermott - The Minstrel Boy
The Minstrel Boy to the war is gone In the ranks of death you will find him His father's sword he hath girded on And his wild harp slung behind him "Land of Song!" said the warrior bard "Tho' all the world betrays thee One sword at least thy rights shall guard One faithful harp shall praise thee!"
The Minstrel fell! But the foeman's chain Could not bring that proud soul under The harp he lov'd ne'er spoke again For he tore its chords asunder And said "No chains shall sully thee Thou soul of love and brav'ry! Thy songs were made for the pure and free They shall never sound in slavery!"
"Land of Song!" said the warrior bard "Tho' all the world betrays thee One sword at least thy rights shall guard One faithful harp shall praise thee!"
The Minstrel Boy is a fine old patriotic Irish song about a young lad who laid down his life for Ireland's freedom. As he lay dying he made sure to destroy his harp lest the enemies of his beloved country mistreat it
The Minstrel Boy
From 'Ceiliúradh' at Royal Albert Hall, April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