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에 미칠 영향을 헤아립니다.
우리의 도움이, 사회사업 행위가,
1) 당사자와 둘레 사람에게, 그 사람살이 생태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헤아립니다.
2) 또한 지역사회 공간 시설 제도 제품 서비스 조직 문화의 생태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헤아립니다.
이와 같이 생태에 주목하고 생태에 미칠 영향을 헤아리면,
여기에 개입할 때 신중하게 됩니다.
특히, 복지 수단과 자원과 주체를 되도록 이 생태 안에서 찾게 됩니다.
* 복지수단 : 해결책이나 사업이나 프로그램이나 활동 따위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복지 수단이나 자원이나 주체를 생태 바깥에서 투입하면 생태에 미칠 위험이 클 것 같기 때문입니다.
생태 안에서 찾는 편이 ‘당사자의 삶과 지역사회 사람살이’를 세우는 길이요, 사회사업 개념 가치 이상 철학에 부합하고 쉽고 재미있고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 사회사업 안전장치
선의의 도움이라도 꼭 좋은 건 아닙니다.
우리가 하는 일이 당사자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과연 약인지 독인지, 결국 복이 될지 화가 될지, 득보다 실이 더 크진 않을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인간만사 새옹지마라 하지 않습니까? 누가 장담할 수 있겠습니까?
두렵고 조심스럽습니다. 안전장치가 필요합니다.
무엇보다도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살아온 생태, 살아가는 생태, 살아갈 생태, 그 사람살이 생태에 미칠 영향을 생각하여 신중히 개입해야 합니다.
그래서
①당사자와 지역사회에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여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복지를 이루게 하자,
②당사자와 지역사회의 자원으로써 복지를 이루게 하자,
③소박하게 하자,
합니다.
이것이 사회사업 안전장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