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W.A.Mozart) 호른 협주곡 전4곡 해설 & 제2번E♭장조K.417 |
■ 모차르트의 호른 협주곡 전곡(4곡) 제1번 D장조K.412/514 (1791) 제2번 E♭장조K.417 (1783) 제3번 E♭장조K.447 (1787) 제4번 E♭장조K.495 (1786)
모차르트의 호른 협주곡은1782년의 제1악장과 그의 사후에 제자인 프란츠 크사버 쥐스마이어에 의해 완성된 제2악장으로 이루어진 제1번D장조(K. 412)와 잘츠부르크 시대부터의 친구이며 호른 주자인 로이트게프(Joseph Leutgeb)를 위해 작곡하면서 “나귀,황소,바보인 로이트게프에게 자비를 내리소서, 1783년5월27일 빈에서 작곡”이라는 단서를 붙인 제2번(K. 417),역시 로이트게프를 위해1786년에 작곡한 제4번(K.495),그리고1787년에 작곡한 제3번(K. 447)의 전4곡이다.
제1번을 제외하고는 모두Eb장조로 세 곡 다 3악장 구성이며, "로이트게프 풍의 것"이라고 칭할 만큼 그에 대한 우정과 신뢰가 대단했던 모양이다. 이 중에서도 제4번은 제1악장에 카덴차가 있고 규모가 제일 크다. 제3번은 다른 세 곡의 관현악부가 오보에와 호른과 현인 데에 비해, 클라리넷과 바순과 현으로 되어 있어서 앞의 작품들보다도 그 깊이와 진지한 맛이 훨씬 짙다.
호른은 오보에나 클라리넷 같은 화려함이나 곧장 가슴속에 뛰어드는 아름다움이 없어 선뜻 익숙해지기가 싶지는 않다. 그러나 일단 호른의 오묘한 음색에 길들면 혼자 듣기가 아쉬울 정도로 매혹적이다.
<출처:안 동 림,“이 한 장의 명반,클래식”,pp.218~223에서 발췌,수정> <참고:클래식 명곡 명연주>
● 감상 (각 곡의 대표 악장) ▲ 제1번; 1악장 ★★★★☆ 상단에 링크 제1번 1악장 해설 ▲ 제2번: 1악장 (6:24) 아래 참조 ▲ 제3번: 1악장 (8:02) ★★★☆☆ 제3번: 해설 및 감상 ▲ 제4번: 3악장 (4:09)
◆ 모차르트와 로이트게프의 우정 로이트게프는 무던한 성격의 소유자였던 듯한데, 24살 연하의 조카뻘인 모차르트를 허물없이 대했고 그의 짓궂은 장난도 격의 없이 받아주곤 했다고 한다.이를테면 모차르트는 로이트게프가 무릎을 꿇고 자신이 바닥에 아무렇게나 던져 놓은 악보들을 주워서 정리하고 있는 동안에만 호른 협주곡을 쓰려고 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모차르트가 로이트게프엑게 헌정한 <호른 협주곡 제1번>의 자필악보에는, ‘이랴,당나귀군!’, ‘잠깐 쉬어!’, ‘아이고,이제 끝이야!’처럼 익살기 가득한 글귀가 여기저기 적혀 있는가 하면, <호른 협주곡 제2번>의 헌사는‘당나귀,소,바보인 로이트게프를 동정하며’라고 되어 있다. 다소 심한 장난인 것 같기도 하지만,모차르트가 로이트게프를 진정으로 아끼고 사랑했던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
■ 호른 협주곡 제2번E♭장조K.417 (작곡: 1783년)
네 협주곡 중 가장 먼저 작곡된 것으로서 규모도 작고 가장 수수한 작품이다.하지만 로이트게프가 자랑하던 칸타빌레 주법의 매력은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으며, 마지막 론도 악장에서는 악기의 특성을 잘 살린 ‘사냥풍의 ’갈롭(galop)리듬이 나타나는 등 풍부한 유머와 익살이 묻어난다.
■ 작곡과 헌정 작곡은 1783년 5월 27일에 완성하였고 초판은1802년 오펜바흐의 J.잉드레이 인쇄했으며, 자필악보는 베를린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있다. 로이트게프의 칸타빌레 주법을 잘 표현하도록 작곡하여,그에게 헌정하였다.이 당시에는 ‘발트호른’이라는 사냥 나팔의 전신에 해당하는 악기가 사용되었으며, 1830년 무렵이 되어서야 ‘밸브 호른’이 발명됨. 함펠(Hampel)이 1750년경 창시한“슈토프 주법”이 표현럭을 확대시켜 준다.
■ 악기 편성 독주 호른,오보에2,호른2,바이올린2부,비올라,콘트라베이스
■ 악장 구성 ▲ 1악장 Allegro maestoso (6:24) Eb장조, 4/4박자,협주풍 소나타 형식.제시부는2개의 주제로 구성된 제1제시부,제3주제가 포함된 제2제시부로2중 제시부를 이룬다. 제1주제는 제1바이올린으로 약하게 연주되며 다시 되풀이 되지 않음. 제2주제는 제1바이올린의 반주 위에 오보에와 호른이 가세함. 제2제시부는 호른이 제1주제에서 파생된 새로운 제1주제를 연주함. 제3주제는 제1바이올린으로 여리게 춤곡형식으로 진행함. 발전부는 독주 호른으로 시작하며 재현는4개의 주제가 재현된다.
▲ 2악장 Andante (3:40) Bb장조, 3/8박자,작은 론도 형식으로 A(으뜸조)-B(딸림조)-A-B-A로 구성됨.제1주제는 전반부에서는 투티로,후반부에서는 현악기로만 연주됨. 제2주제는 독주 호른으로 연주됨.
▲ 3악장 Rondo 상단에 Eb장조, 6/8박자,런도 형식. 4개의 호른 협주곡에서 나타나는“사냥의 론도”가 쓰임. 제1주제는 독주 호른이 연주하며, 제2주제는 제1바이올린의 반주 위에서 독주 호른이c단조로 진행함.
<출처: 클래식 명곡 명연주 등>
● 감상
▲ 3악장 (3:31) 하단에 ▲ 1,2악장 본문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