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장관 주재 주요업계 긴급 점검회의 열어
철강‧석유화학‧정유 등 주중 업무개시명령 검토 중
물류 정상화 위한 불법행위 대응…적극적 동참 당부
[에너지신문] 산업통상자원부가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장기화에 따라 이번 주중 ‘업무개시명령’ 카드를 꺼낼 것으로 보인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6일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에 따른 철강, 석유화학, 정유, 시멘트, 무역 등 산업부의 주요 업종에 대한 피해상황 점검과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국민 피해 최소화를 위한 결단을 내린다는 방침이다.
▲ 산업통상자원부가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장기화에 따라 이번 주중 ‘업무개시명령’ 카드를 꺼낼 전망이다. 사진은 지난 3일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관련 천안저유소 현장을 찾아 저유소 주요시설을 둘러보고 현장근무자들을 격려했다.
이날 점검회의는 집단운송거부가 장기화되면서 그간 출하차질에 국한됐던 피해가 생산차질로 연결될 수 있다는 산업계의 엄중한 위기 하에 진행됐다.
업계에 따르면 화물연대 운송거부 12일간(‘22.11.24 ~ 12.5) 철강, 석유화학, 정유, 시멘트, 자동차 등 5개 업종에서 출하차질 규모는 총 3조 5000억원(잠정)으로 집계됐다.
특히 철강, 석유화학 분야의 경우 누적된 출하차질에 따른 공장 내외 적재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일부 업체는 이르면 이번주 부터 감산을 검토해야 하는 등 생산차질 피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정유 분야도 6일 08시 기준, 전국 품절 주유소는 85개소로 확인되고 있으며, 수도권 이외 강원, 충청 등에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전국의 품절 주유소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27곳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21곳, 강원도 10곳, 충남 9곳, 충북 7곳, 대전 8곳, 전남‧전북‧인천 1곳 등으로 분포됐다.
반면,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진 시멘트는 운송사 및 차주들의 운송복귀가 늘어나면서 시멘트 출하량이 평시대비 88% 수준으로 회복하는 등 정상화되는 조짐을 뚜렷하게 보이고 있다.
산업부는 이러한 산업별 피해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국가경제 위기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업무개시명령이 즉각 발동될 수 있도록 제반 준비를 완료한 상황이다.
이날 회의에서 이창양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국가 핵심산업과 국민생활과 밀접한 정유, 철강, 석유화학 분야의 피해상황을 엄중하게 보고 있으며, 막대한 피해가 현실화되기 이전 이번주 중에라도 선제적으로 업무개시명령 발동 여부를 검토중”이라며 “정부가 불법행위에 대해 무관용, 엄정대응 원칙을 재확인했듯이 기업들도 화물연대의 불법행위에 대해 묵인하고 타협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정부에 도움을 요청해줄 것”을 당부했다.
출처 : 에너지신문(http://www.energy-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