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변압기 권선이 단선이 되어서 단락, 지락이 된 경우
2. 변압기 내부 권선이나 철심등의 문제로 절연유가 팽창, 가스발생이 된경우
3. 중성접지선이 단선되어서 지락된 경우
4. 변압기 1차 또는 2차 차단기의 고장으로 변압기에 파급된경우
5. 송전선, 배전선이나 모선등의 고장이 났을때 차단기의 차단실폐로 변압기에 파급된경우 (복합고장)
변압기 과장에는 순간고장과 영구고장이 있습니다.
순간고장은 변압기가 고장난게 아니라 변압기로의 고장파급을
막기위해서 87t 동작해서 변압기의 양단 차단기를 오프시킨거라
고장부분을 해결하던가 차단해서 다시 변압기를 살릴수 있으나
영구고장은 변압기를 완전히 계통에서 분리를 시켜야 되는 경우기 때문에
이문제는 영구고장을 물어보는것 같아서 나가 알고 있는 영구고장 사례를 적어보았습니다.
변전소 주변압기의 사례를 들어봤는데 문제는 그냥 변압기라서....
첫댓글 참고로 낙뢰를 맞았다고 변압기순간고장은 있어도 영구고장은 거의 없습니다. 절연협조때문이죠 변압기는 낙뢰를 맞았을때를 권선에 문제가 없는걸 기준으로 절연협조가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