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
타로공부는 결국 타로를 자신의 의지데로 숙달시키는 것입니다.
어떤 형태의 타로든지 그것을 익히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이 두가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하면 노력한 만큼의 댓가는 반드시 얻을 수 있습니다. 2번째 것이 좀더 빨리 익힐 수 있습니다.
[1]사례집
자신이 직접 내담자를 상담한 상담 내용을 일일이 5년이고 10년이고 내내 모아두는 것입니다. 그리고 가끔 한번씩 읽어 봅니다.
우선 내담자의 질문내용과 그 질문을 제대로 이해 했는지, 다음은 타로를 펼치고 이것을 읽으면서, 또는 읽고 상담한 내용을 기록합니다.
다음은 자신이 타로를 읽고 상담한 것을 한장 한장씩 그 타로카드의 역활을 기록합니다. 따라서 대부분 카드는 2~3장이 어우러지면서 전체를 만듭니다.
결국 이러한 사례가 모이면 하나의 단어가 하나의 문장이 되고 하나의 이야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제대로 알게 되면 타로가 더이상 타로술사를 힘들게 하지 않습니다. 다만 시간이 걸립니다. 재미로 하시기 바랍니다.
[2]분류 분석
이 방법은 제가 사용한 방법은 아닙니다. 다만 확실한 것은 이렇게 익힌 분들은 초 고속으로 실력이 향상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우선 대학노트를 한권 구입합니다. 노트는 속지를 집어넣었다가 뺏다 할 수 있는 것이 좋습니다.
열성적인 분들은 카드를 칼라로 그것도 작게 인쇄해서 사용합니다.
첫장에 바보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붙힙니다. 물론 마법사를 붙혀도 됩니다. 역방향을 안보는 분은 정방향만 붙힙니다.
타로를 배우는 자료는 책도 있을 수 있고 강의를 받는 다면 강의 자료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이 내담자의 질문을 받고 상담한 사례도 있습니다.
그러면 가장 기초가 되는 자료 예컨데 강의 자료, 그 다음이 몇가지 서적, 그 다음이 자신의 사례, 이러한 순서데로 정리합니다.
가령 마법사라면 노트에 강의 자료 라고 표시하고 마법사 정 이라고 쓴다음 알기힘들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아주 간략하게 그러나 알아볼 수 있게 기재 합니다. 가령 마법사가 여기에서는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 등입니다. 역을 본다면 역도 마찬가지로 기록합니다.
다음은 몇권의 책에서 발췌한 것들을 기록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이 자신의 사례에서 이 마법사가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아주 간략하게 기록합니다.
이렇게 하면 자신이 만든 하나의 타로술 사전이 됩니다. 이렇게 스스로의 사전을 만든 분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이분들의 특징은 누가 권하지 않아도 그렇게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자료]
자료는 키워드 타로보다는 직관타로를 익히기 위하여 필요 합니다. 독학하는 방법에 대하여도 전에 글 을 쓴적이 있습니다.
독학은 방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스로 터득하려는 것으로 십중 팔구는 잘 못된 길로 갑니다. 또한 독학은 익히고 숙달하는데 상상하기 힘들정도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스승이 있어서 인도를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우선 기초자료는 강의 자료입니다.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카드 한장 한장의 이미지를 설명하는 자료입니다. 또 하나는 스승이 자신이 실전한 사례를 스프레드별로 설명한 자료 입니다.
다음은 알맞은 서적입니다. 직관타로에서는 제가 쓴 책으로 타로래정, 비전타로카드, 타로카드 리딩스킬, 타로카드 마음보기 등 4권입니다.
다음이 자신이 직정 상담한 것을 모은 사례집입니다. 이정도의 자료라면 직관타로를 익히는데 충분합니다.
[사례를 만드는 방법]
타로사례 만드는 방법은 우선 탁자위에 펼쳐진 배열을 옮기는 작업입니다. 가장 좋은 것이 사진촬영입니다. 이것이 어렵다면 속기하는 것입니다.
타로카드 명칭을 최대한 짧게 한후 노트에 기재합니다. 거의 10초 전후의 시간이면 됩니다. 기재방법은 노트에 그저 일자로 쭉 적습니다. 이렇게 기록하는 것을 내담자가 단 한번도 이의를 제기 한 적이 없습니다.
카드배열은 카드가 적힌 숫자를 보면 압니다. 가령 매직이라면 고유의 카드 장수가 있으니 그 수를 헤아리면 압니다
이 간략한 기록은 시효가 사람마다 다른데 평균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72시간내에 배열과 상담내용 등을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첫댓글 오늘 정회원으로 등업되면서 글을 읽기 시작했는데
역시 ~~~~ 많이 배우도록 할께요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