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인문계 고등학교 나와서 아무것도 전자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있는데요
대학교 다니다 자퇴하고
내년에 전문대 전자과로 재입학 할생각입니다.
보통 공고 나오면 기능사정도는 하나씩 따고 나온다고 하는데
저 자격증을 대학가서 취득이 가능한가요.
저거 딴다고 뒤쳐지는건 아닐지.
아니면 애초부터 돈들여서 학원댕겨서 따 놓고 학교 입학해서 산업기사 자격증을 노리는것이 좋을까요?
ㅠ 막상 따려고 학원알아보니 생각보다 비싸네요.
구미사는데 3개월간 교육이고 매주 월~금 4시간정도 수업이 잡혀있네요
국비지원해서 비용은 20이더라구요.
제가 지금 설레발 치는게 아닌지 아예 대학가서 따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지금이라도 공부하는게 좋을까요.
첫댓글 대학가서 취득은 가능하신데 학교에서 자격 취득용 교육을 해주는가 싶네요.. 사실 저도 전자과 출신이고 저 다닐때는 개인적으로 공과 학원 갔거든요..(저는 대구쪽) 전자과면 통상 전자, 전자계산기, 무선설비, 정보통신, 방송통신, 통신선로 산업기사 정도 취득해요. 해두시면 다 피가 되고 살이 되겠죠... 참고로 제가 나온 학교는 저 할때 시작해서 요새는 아예 과에서 하이닉스와 협약해서 많이 미는 것 같던데..
아~~문득 옛날 생각 나서 한자 더 적어요.. 저도 인문계 출신에 전문대 가서 나이도 어렸고 얼마나 적응이 안되던지.. 실기쪽은 아는 것도 없고 하기도 싫고 물어보면 알면서 안갈켜주고 꼴에 무한 경쟁인가 ㅋㅋㅋ 정말 오실로스코프 너무 어려웠어................. 근데 왠만함 전자과 말고 전기과 가세요............
전자과 말고 전기과가 실용성은 높죠. 전기쟁이 되실라믄 전기과가세요 ㅎㅎ 저는 전자에 관심이 많아서 전자과 갔는데 실상 나와보니 찾는건 전기쪽이 많더군요. 인문계셔도 가면 어차피 다똑같구요. 저같은 사람만나시면 잘 가르쳐 줄꺼에요. 뭐 납땜이나 스코프 다루는거는 또 배우니.. 사립전문대는 가지마시고;; 학비가 요즘 장난아니죠. 폴리텍 추천해드립니다. 수업시간적으로 부족한 점은 없을겁니다. 일반 사립전문대가시면 개인적으로 노력 많이 하셔야할껍니다. 수업시간이 많지가 않죠. 직장연계되서 취업가능한곳이면 사립전문대도 괜찮다고는하는데... 그놈의 학비가.. 저때는 300정도였는데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폴리텍은 실기 잘 갈켜주나봐요? 저도 하루 8시간씩 막 수업 있고 실기도 2~4시간 연강도 했는데.. 그 4시간이 정말 지옥과 같은 시간이었죠.. 조별 실기 과제 내주고 학점에 반영 한다는데 개뿔 뭘 할줄 알아야지.. 전부 자기할꺼 바쁘고 나는 레포트만 베껴쓰던 기억이 흐흐흐 저 다닐때는 250인가 주고 다녔네요~ 대구 영진^^
헐 쩌네요..250이나 주고..;; 전 100정도 줬던거같은데.. 학비싼게 큰 이점이라면 이점이었는데.. 연강은 없었습니다. 그냥 1학년 2학기때부터 자격증하나 정해놓고 필기 공부도 자율로 하고 필기 붙은사람에 한해서 실습실에 모아서 연습했네요. 산업기사따려고 전자회로 50개 넘게 만든거 같네요. 그저 추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