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픈텍스트 방식으로 일단 완료했습니다. 아래 지수님 작업분까지 가져다 ds2lie님께서 29479-29603(팩션 설명).txt를 완성해주시기 바랍니다.
1. 48째줄 문장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a nation forged in the fires of revolution and rebellion against a British monarch seen as distant, foreign and tyrannical.\n\nAfter the French and Indian Wars, the British government took an entirely unreasonable line: the American colonists should pay taxes to contribute to the navy and army that helped defend them. After all, those colonial fellows enjoyed the benefits of peace, protected by Britain’s expensive soldiers and sailors. The colonists had other views. The British responded with political stupidity and military ineptitude.\n\nAided, once they had rebelled, by the French Bourbons (who, for reasons of their own, had every wish to see Britain pre-occupied with war and then humiliated by seditious rebels), the Americans faced down Britain. The struggle split counties, cities, towns, even families, but it united the nation.\n\nIn its wake, the revolution left a new kind of nation, a republic where men choose their own destinies, and are not subject to the whims of kings. This spirit of independence is a source of strength: it is an idea worth defending! It is also a source of weakness, for Americans cherish the right to do as they think best. This is not necessarily a good thing in an army.\n\nAmerica now has a future of boundless possibilities. A continent stretches away to the West, and no one is entirely sure what is to be found there. The Atlantic swell washes against the eastern seaboard, and beckons American seamen onwards: trade and adventure lie that way too. There may still be scores to settle with the British in Canada, or ambitious nations from Europe to discourage. There is much to do, if this newest and boldest of nations is to survive and prosper!
해석)
미합중국은 멀리 떨어져 있고 외국적이며 폭압적인 것으로 보이는 영국 군주에 맞서 혁명과 반역의 포화로 다듬어진 국가입니다.\n\n프랑스-인디언 전쟁 이후, 영국 정부는 젼혀 이치에 맞지 않는 노선을 취했습니다:그것은 아메리카 식민지 주민들을 방어하고 도와준 육해군의 공로에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결국, 그 식민지 친구들은 값비싼 영국의 병사들과 선원들의 보호를 받아, 평화의 이익을 누렸습니다. 식민지 주민들은 다른 견해들을 갖고 있었는데 영국은 이를 정치적인 어리석음과 비합리적인 군사 행위로 대응했습니다.\n\n프랑스 부르봉 왕가의 원조를 받아, 아메리카인들은 일단 반역을 일으켜서 영국을 위협했습니다.(부르봉 왕가는 자신들만의 이유로, 영국이 전쟁에서 선점 당하고 선동적 반역에 굴욕당하는 것을 보고 싶어 했습니다. 투쟁은 지역과 도시와 마을과 심지어 가족까지 분열시켰습니다 그러나 국가적으로 국민을 뭉치게 했습니다.\n\n그 이후, 혁명은 새로운 형태의 국가 -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고 왕의 채찍에 복종하지 않는 공화국을 남겼습니다. 독립 정신이 힘의 원천입니다:수호할 가치가 있는 개념인 것입니다! 아메리카인들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행할 권리에 가치를 두는 것은 또한 약함의 원천이기도 합니다. 대륙은 서쪽으로 뻗어나가고 거기서 무엇을 발견할지는 누구도 확신하지 못합니다. 대서양의 큰 물결이 동부 해안선에 밀려오고 미해군 선원들을 전방으로 가도록 손짓합니다:무역과 모험 또한 그 여정 길에 놓여있습니다. 캐나다에서 영국과 해결할 것들, 즉 야심많은 유럽국가들이 낙담할 것들이 여전히 많습니다. 만약 이 새로 탄생한 대담한 국가들이 살아남아 번영하려면 그야말로 할 일들이 산적해 있습니다!
2. 77째줄 문장
The United Provinces are a Protestant stronghold in North-western Europe, a place where science, trade and freedom of thought have flourished since the Spanish were driven out in the last century. Having tamed their land and held back the sea, the Dutch have also embraced the sea and become the foremost naval power in the world. A mere generation ago, the Dutch navy sailed into the Thames and burned the English fleet at anchor: this kind of bravado and expertise is not quickly forgotten.\n\nDutch merchantmen range across the world’s oceans, and the wealth of the world passes through Dutch ports. Dutchmen can be found trading in the Indies, where they give the locals a run for their money, and the Caribbean. They are everywhere, in fact, where there is a profit to be made. Spanish claims to the New World and its trade are cheerfully ignored, as are Spanish threats. The Dutch have learned to live with Hapsburg threats hanging over their heads. Having beaten off brutal attempts to bring them to heel, the Dutch now have little love for Hapsburg-ruled Spain or Austria. A distant Catholic emperor holds no appeal for them. An expansionist France, on the other hand, does bear watching, and guarding against.\n\nOther rivals close at hand are now less of a threat than they used to be. The British have been… tamed is too strong a word… brought to their senses by having a good, honest Dutchman on their throne. William III of Orange was an acceptable Protestant ruler for the British when they needed one. His presence has done much to calm relations, especially as the equally-mercantile British have designs on world trade that should rightfully be Dutch!\n\nFor the future, the Dutch have much to be hopeful about. They have a strong navy, and a tradition of victory. There is wealth aplenty in every corner of the world, if only the Dutch have the will to go and take it!
해석)
연합주는 북서 유럽에 있는 프로테스탄트 요새 - 지난 세기에 스페인이 쫓겨난 이후 과학, 교역, 사상의 자유가 번성한 곳입니다. 자신들의 땅과 바다를 정복한 후, 네덜란드는 또한 대양을 끌어안고 세계에서 가장 앞선 해군력을 가진 국가가 되었습니다. 불과 몇세대 전에는 네덜란드 해군이 템즈강으로 들어가서 정박해 있던 영국함대에 불을 질렀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허세와 전문지식은 속히 잊혀질 성질의 것이 아닙니다.\n\n네덜란드 상인들은 전세계 바다를 누비고 세상의 부는 네덜란드 항구를 통과하게 됩니다. 인도 제도, 카리브해 제도에서도 네덜란드인들의 교역을 볼 수 있고 그로 인해 그 지역 사람들에게 만족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실상 돈되는 곳이면 세계 어느곳이라도 네덜란드인들이 가있습니다. 스페인은 신대륙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고 스페인의 위협때문에 그곳에서의 교역은 기꺼이 무시된 상태입니다. 네덜란드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위협이 자신에게 임박해 있음을 알았습니다. 주의를 환기시키는 잔인한 시도를 쳐부수고 이제 네덜란드는 합스부르크 왕가가 다스리는 스페인이나 오스트리아에 조금 관심이 생겼습니다. 먼곳에 있는 카톨릭 황제는 그들에게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반면에, 제국주의 프랑스는 예의 주시한채 경계중입니다.\n\n가까운 다른 경쟁국들은 이제 과거보다 덜 위협적입니다. 훌륭하고 정직한 네덜란드 왕을 영국인들이 왕위에 옹위함으로써 영국은 신경... 굴욕당했다고 하면 너무 심한 말일지도 ...을 쓰고 있는 것입니다. 윌리엄(William III of Orange)은 영국에서 수긍할만한 프로테스탄트 통치자입니다. 특히, 상업에 있어 동등한 위치의 영국이 당연히 네덜란드의 것이 되어야하는 세계 무역을 설계할 때, 그 왕의 존재가 평온한 관계 형성을 하는데 많은 역할을 했습니다!\n\n앞으로 네덜란드에는 희망적인 요소가 많습니다. 그들은 강력한 해군을 가지고 교역을 승리로 이끕니다. 세계 도처에는 부가 널려 있습니다. 네덜란드가 가서 취고하자 한다면!
3. 81째줄 문장
Great Britain is not a natural creation, but the marriage of separate kingdoms and peoples. The new nation has been through a century of unparalleled turbulence: an unwelcome joining of Scotland and England; religious strife; civil wars; an executed king; military dictatorship; a populist monarch restored; and the overthrow of a second king. Less than 15 years ago, the hated Catholic James II was forced into exile in the Glorious Revolution and a Protestant monarchy restored. A short, vicious war in Ireland put paid to any chance of a Catholic Stuart restoration. Nonetheless, the exiled James Stuart has sympathisers, the Jacobites, throughout Britain. Despite – or perhaps because of – this turbulent history, Britain is an engine driving the scientific and cultural advancement of northern Europe: turmoil fuels creativity.\n\nAs an island nation, Britons have always looked to, as Shakespeare puts it:\n\n“…the silver sea,\nWhich serves it in the office of a wall,\nOr as a moat defensive to a house…”\n\nBritain’s strength lies at sea, but in trade and colonisation as much as naval power. Trade taxes pay for the navy; the navy allows unhindered trade. The English Channel keeps the French at bay and, to a lesser extent, the Dutch. With Dutchman William III on the British throne, there is ambivalence in the traditional rivalry with the Netherlands!\n\nThe English and Scots like to think that they can sleep safe, that no foreign invader or tyranny need worry them. They are partly right, but only as long as there is no centralised Continental power. A nation that can unite the resources of Europe will surely crush the dream of Albion. This, then, is the fundamental aim of Britain: to side with the weak in Europe against the strong – and steal as many overseas possessions as possible while doing it!
해석)
대영 제국은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난 것이 아니고 독립 왕국들과 민족들이 합쳐진 국가입니다. 이 신생국은 비교할 수도 없는 몇세기의 난류를 헤쳐나왔습니다: 달갑지 않은 스코틀랜드와 영국의 결합; 종교 싸움; 여러 번의 내전; 왕의 처형; 군부 독재; 민중 군주의 복권; 둘째 왕의 타도. 15년전에, 듣기 싫어하는 호칭인 카톨릭 제임스 2세는 명예혁명때 망명을 떠나게 되었고 프로테스탄트 군주제가 복원되었습니다.아일랜드에서 일어난 단기간의 사악한 전쟁이 카톨릭 스튜어트 왕가의 복귀 기회를 망쳤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망명한 제임스 스튜어트는 영국 전역에 걸쳐 그를 동정심으로 바라보는 사람들 즉, 자코비트 사람들을 갖게 됩니다. 이 혼란스러운 역사에도 불구하고 - 혹은 아마도 그것 때문에, 영국은 북유럽의 과학적, 문화적 발달을 이끄는 하나의 엔진입니다:혼란의 연료는 창의성입니다.\n\n섬나라로써, 브리튼은 셰익스피어가 언급한 것처럼:\n\n“…은빛 바다-\n사무실의 벽\n또는 어떤 가옥의 방어 해자 역할을 하는…”\n\n를 언제나 내려다 보았습니다.영국의 힘은 바다에 있으나, 해군력만큼이나 무역과 식민지 개척에도 힘이 있습니다. 해군이 무역을 방해받지 않도록 해주기 때문에, 무역관세를 해군에 지불합니다. 영국 해협은 프랑스를 만에 그리고 작은 정도이지만, 네덜란드도 묶어줍니다. 영국 왕위에 네덜란드 사람 윌리엄 3세를 앉힌 것은 네덜란드와의 전통적 경쟁에서 양면 가치를 얻기 위함입니다!\n\n영국과 스코틀랜드는 발을 뻗고 잘 수 있다고 - 그들을 걱정하게 하는 외국의 침입자나 폭군이 없다고 - 생각하는 모양입니다. 부분적으로 맞습니다만, 중앙집권화된 유럽 대륙의 힘이 없을때 가능한 얘기입니다. 유럽을 아우를수 있는 국가가 있다면 틀림없이 앨비언(영국의 옛이름)의 꿈을 깨뜨릴 것입니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것이 영국의 근본 목표입니다: 유럽의 약자편에 서서 강자에게 맞서는 것 - 그러는 동안 가능한 바다 건너편 소유물을 많이 훔치는 것!
4.
The history of Austria is one of warfare against invaders from the east, and the infidel Turks in particular. Originally, the Duchy was the eastern marches of the Holy Roman Empire (the Ostmark), and the defensive importance of Austria to the rest of Europe is immense. For nearly 250 years, the Ottoman Turks have hurled themselves against the bastion of Austria, reaching the gates of Vienna on more than one occasion. The last time was in 1683. Austrian bravery has kept them at bay, every time.\n\nAfter the bloodletting of the last century – the Thirty Years War – within the Holy Roman Empire, Austria is a leading power among “the Germanies”. Leopold I, the ruling Hapsburg, has brought peace and prosperity, and maintained a first-class military machine (in particular, the Austrians have mastered the tactics of using light, irregular troops). This gives the Austrians the potential to become a truly great power, either within the borders of the old Empire, to the south in Italy, or to the east. This latter scheme requires the Turks to be persuaded – at sword point – that their destiny lies outside Europe. The Austrians also have much to be proud of in the arts, music and culture.\n\nBeyond their immediate borders, there are other matters for the Hapsburgs to consider. The Spanish branch of the family is now close to extinction, as Charles II has failed to produce an heir, among his other problems. Perhaps Spain should remain a part of Hapsburg domains, but this might lead to confrontation with France. And then, of course, there are the pan-Slavic, Christian Orthodox ambitions of the Russian Tsar to consider…
해석)
오스트리아의 역사는 동쪽으로부터 온 침입자 그리고 특히 이교도 투르크 사람들에 맞선 전쟁의 역사입니다. 원래, 이 공작령은 신성로마제국(오스트마르크)의 동쪽 국경지대였고, 나머지 유럽을 오스트리아가 수비해준다는 것은 굉장한 중요성을 갖습니다. 거의 250년 동안, 오스만튀르크족은 오스트리아의 성채에 자신들을 내던져 여러번 비엔나의 성문에 도달하려 했습니다. 그 마지막은 1683년에 있었습니다. 매번 오스트리아의 용감함이 그들을 궁지로 몰았습니다.\n\n지난 세기의 신성로마제국 내 유혈 - 30년 전쟁 - 이후, 오스트리아의 국력은 "게르만국가" 가운데 선두입니다. 합스부르크 왕인 레오폴드 1세는 평화와 번영을 이룩했고, 일급 전투 병기를 유지하였습니다.(특히, 오스트리아인들은 비정규 경보병 전략 전문가입니다.) 이것은 옛 제국 국경내에서, 남쪽 이탈리아까지, 동쪽까지 오스트리아가 진정한 강대국이 되는 잠재력을 제공했습니다. 이 일급 전투 병기는 투르크를 무력으로 협박하여, 유럽 밖에 있도록 하는데 필요합니다. 오스트리아인들은 또한 예술, 음악,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합니다.\n\n인접 국경 넘어, 합스부르크왕가가 신경써야할 다른 문제도 있습니다. 그것중 하나는, 스페인 분가의 카를로스 2세가 상속자를 생산치 못하여, 지금 사라지기 일보직전입니다. 아마도 스페인은 합스부르크 영토의 일부로 남아야 할 것입니다만, 그렇게 되면 프랑스와의 대결은 피치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물론, 러시아 황제의 범-슬라브족 기독교 정교회의 야망도 또다른 문제입니다...
5.
France has had fifty years of military and administrative excellence under Louis XIV, the Sun King and his servants. They achieved this in spite of a backdrop of strife and rebellion sparked by France’s involvement in the Thirty Years War. Louis and his able ministers, Cardinals Richelieu and Mazarin, were able to steer France away from the feudal struggles that hampered growth, and they created a centralised government where the King’s power is absolute.\n\nIn 1700, France is the pre-eminent power in Western Europe, with an unrivalled army, vast colonies and a King who is respected and feared by all, both at home and abroad. Few nations pose any real threat to his well-equipped armies and heavily fortified borders.\n\nThe French Bourbon dynasty is strong, even though Louis XIV is aging. There are sons and relations aplenty, with legitimate claims to many titles. To the south, the lack of a Hapsburg heir in Spain – and the feeble-mindedness of Charles II – means that a Bourbon could one day rule in Madrid. A course of action that brings this about has much to recommend it. Of course, not all offshoots of the Hapsburg line are as weak as their Spanish cousins. The Austrian Habsburgs, and other European nations, may not be entirely willing to see a Frenchman or French nominee as King of Spain. No matter.\n\nFrance is surrounded by possibilities, and beyond Europe there are other continents to conquer and colonise: New France in North America, and the riches of India. The untrustworthy British may have to be swept aside or crushed, but what is wrong with that?
해석)
프랑스는 태양왕인 루이 14세와 그의 시종들의 통치하에 40년간 군사와 행정에 우수성을 보였습니다. 프랑스의 30년 전쟁 개입에 의해 촉발된 투쟁과 반역의 배경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것을 달성했습니다. 루이와 그의 능력있는 행정관인 리슐리에 공, 마라쟁은 성장을 방해했던 영지 다툼으로부터 프랑스를 빼낼 수 있었고 중앙집중화된 절대 왕권 정부를 만들어냈습니다.\n\n1700년에, 경쟁상대가 없는 군대와 넓다란 식민지 그리고 국내외에서 존경과 두려움의 대상인 왕을 가진 프랑스는 서부유럽에서 국력이 저만치 앞서갑니다. 루이의 잘 정비된 군대와 크게 강화된 국경에 위협을 가하는 국가는 거의 없습니다.\n\n루이가 나이 들어가지만, 프랑스 부르봉 왕조는 강력합니다. 많은 직위에 정당한 권리를 주장하는 아들들 그리고 관계자들이 많습니다. 남쪽으로, 스페인 합스부르크가의 상속자 부재때문에 - 그래서 카를로스 2세의 마음이 연약해져서 부르봉 왕가가 언젠가는 마드리드를 통치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내기 위해 방향 전환이 필요합니다. 물론, 합스부르크의 모든 가문이 스페인의 친척 가문처럼 약한것은 아닙니다. 오스트리아인 합스부르크가와 다른 유럽 국가들은 스페인 왕 후보로 프랑스인의 등장을 보고 싶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문제될만한 것은 아닙니다.\n\n프랑스는 주위에 가능성이 무궁 무진하고 유럽 너머에는 정복하고 식민지화할 몇개의 대륙이 있습니다:북 아메리카의 뉴 프랑스와 인도의 많은 재물. 믿을 수 없는 영국은 쓸려버리거나 분쇄되야 한다는데 이견이라도 있을지?
6.
The history of Europe over the last centuries can be seen as the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a few annoying, small nations that thwarted Ottoman ambitions. Ottoman power is unmatched in its extent and grandeur, straddling the traditional trade route between Europe and Asia. The Ottomans also have power over the whole of the Mediterranean coast of North Africa.\n\nThis Turkish, Islamic empire supplanted the Orthodox Byzantine Empire in the 15th Century and since then it has had a continuing, if not always whole-hearted, ambition to expand further westwards into the heart of Europe. In living memory, Turkish armies have reached the gates of Vienna, Austria, only to be turned back by the steadfast defenders. Turkish expansionism has always been a part of palace politics: when a Sultan has felt secure at home he has attacked Europe; when a Sultan has felt threatened by his Janissary military commanders, he has sent them to attack.\n\nThe Ottomans face challenges but within these are great opportunities. The army and navy look old fashioned compared to those of some states, but the soldiers of the Sultan are numerous indeed. Strategically, the Empire is in a potentially strong position: the Balkans are a natural bastion to defend Istanbul, and a possible springboard for conquest into central Europe. There may even be valuable allies to be found among Austria’s rivals: the authority of the Pope to stop his European flock making treaties with infidels is all but gone. Control of the Mediterranean would allow a Sultan to do as he pleases with the smaller European powers. And to the east, the route to India offers the chance of riches.
해석)
지난 몇세기에 걸친 유럽의 역사는 오스만 제국과 오스만의 야심을 좌절시킨 몇몇 골치아픈 작은 나라들의 역사로 볼 수 있습니다. 유럽과 아시아 사이에 전통적인 무역로를 펼친 오스만은 크기와 웅대함에 있어 적수가 없는 국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스만인들은 또한 북 아프리카의 전체 지중해 연안에 걸쳐 힘을 가집니다.\n\n이 터키식 이슬람 제국은 15세기에 정통 비잔틴 제국의 자리를 차지했고 그 이후 항상 진심인 것은 아니지만, 서쪽 유럽 심장부로 더 확장하고픈 야심을 계속 유지해 왔습니다. 사람들이 아직 기억하고 있는 한, 터키 군대는 오스트리아 비엔나 성문에 도착해서 확고한 수비대에 막혀 되돌아갈 뿐이었습니다. 터키의 확장주의는 언제나 궁정 정치의 일환이었습니다: 술탄이 제국이 안정되었다고 느꼈을 때, 유럽을 공격해왔습니다.\n\n오스만인들은 도전에 직면하지만 도전은 대단한 기회이기도 합니다. 육해군은 몇몇 제국에 비하면 구식 군대로 보입니다만 술탄의 병사수는 정말 많습니다. 전략적으로, 제국은 잠재적인 강한 위치에 있습니다: 발칸은 이스탄불을 수비하기 위한 쳔연 요새이며, 중앙 유럽을 정복하기 위한 뛰어난 도약대입니다. 심지어, 오스트리아의 경쟁국들중에서 귀중한 동맹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유럽 기독교국과 이교도와의 조약 체결을 막으려는 교황 당국은 사라질 뿐입니다. 지중해를 손에 넣으면 술탄이 하고 싶은대로 작은 유럽 세력을 좌지우지하게 해줄 것입니다. 그리고 동쪽으로, 인도로 가는 길을 확보하면 재물의 기회가 주어집니다.
7.
Poland is an old idea, and an old kingdom. Like anything old, it has old enmities and problems.\n\nThe problems, and enmities, are those of any state surrounded by ambitious rivals, all of whom are looking to become stronger at someone else’s expense. Sweden’s ambitions to create an empire around the Baltic; Tsar Peter’s desires to make Russia a great European power to rival the style of Bourbon France; the Austrians and Prussians each seeking to define a greater Germany and secure their borders; even the distant Ottomans have to be considered, should they ever launch a new assault on Christian Europe. And in the middle of all of this, a Polish-Lithuanian state that is not under the control of a single, strong ruler, a man who can impose his will to defend his people. Instead, Poland is something altogether stranger: a land where the people have a say in government.\n\nThat the country has survived at all is a tribute to the spirit of its people.\n\nAnd yet, these rivalries could be turned to advantage. A Polish leader who picked his alliances carefully, and his wars equally so, could do much to make his country great. The Russians have no divine right to dominate the steppes, or the Swedes to control the Baltic. The various Germans states need allies, the same as other nations, and cannot expect to take anything they want without a struggle. A clever Polish leader could make much of this situation, if he can manage the hopes, expectations and fears of his people at home.
해석)
폴란드는 고대의 개념이고 고대 왕국입니다. 오래된 것처럼, 오래된 적개심과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n\n그 문제와 적개심은 야심많은 경쟁국들에 둘러쌓인 국가가 직면한 것들이고 그들은 누군가의 희생을 치르고 더 강해지기를 기대합니다. 스웨덴의 야망은 발틱해 근처에 제국을 만드는 것입니다; 러시아를 프랑스 부르봉가의 양식에 경쟁할 수 있는 위대한 유럽 세력으로 만들고 싶은 표트르 대제의 야심; 더 위대한 독일의 경계를 확정하고 국경을 확고히 하려는 오스트리인들과 프로이센 사람들; 심지어 멀리 떨어진 오스만인들이 기독교적인 유럽에 새로운 공격을 가하기 시작한다면, 그들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것들 모두의 중심에, 자신의 민족 수호 의지를 불태울 수 있는 강력한 한명의 통치자 체제가 아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국가가 있습니다. 대신에, 폴란드인은 어떤면에서는 이상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사람들이 어떤 말을 가진 땅\n\n그 말은 국가가 살아남은 것은 사람들의 정신 덕분이다는 것입니다.\n\n그리고 이 경쟁국들이 바뀌어 잇점을 줄수도 있습니다. 폴란드 지도자는 주의깊게 동맹을 택하고 전쟁도 마찬가지로 주도면밀하게 수행하여, 위대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 많은 것을 할 수 있습니다. 러시아인들이 대초원 지대를 지배할 천부적 권리는 없습니다. 혹은, 스웨덴 사람들의 발틱해 지배도 마찬가지입니다. 다양한 독일 연방주들은 동맹이 필요하고 다른 나라들도 역시 그렇습니다. 싸우지 않고 원하는 것을 얻으리라 기대할 수 없습니다. 현명한 폴란드 지도자가 고국 사람들의 희망, 기대, 두려움들을 잘 관리할 수 있다면, 이 상황에서 많을 것을 끌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8.
Prussia itself has only been “German” since the 13th Century, when the Teutonic Knights carved out a new Christian state on the Baltic coast. The present Kingdom of Prussia is a new state, the result of a union between the duchies of Brandenburg and Prussia, and it is a Kingdom only because the current ruler, Elector Frederick III has decided to improve his status to that of King! In doing so, however, he has been careful not to offend the Holy Roman Emperor, the Archduke of Austria, and calls himself the King “in” Prussia, not the King “of” Prussia. The form of words is a fig leaf: Frederick is King. And he is the king of a potentially powerful and influential Protestant nation, a centre of gravity within “the Germanies” for all those who would look elsewhere for a lead than Catholic Austria.\n\nThe Prussians believe – not without reason – that their virtues as a people can carry them through any trouble: martial discipline, sacrifice, a sense of order, but this sense of duty should not be confused with ignorance or intolerance, no matter what others may say. Prussians have always had to fight, but that has made them competent, not bloodthirsty.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a great continental power thanks to their martial traditions, many of which can be traced back to the Teutonic Knights. These could form the basis of a truly world-beating army. Under the right guidance, they could unite the German-speaking peoples into a single entity, dominate the Baltic and, perhaps, extend their reach far beyond the confines of Central Europe.
해석)
튜튼 기사들이 발틱 해안에 기독교 국가를 새겨넣은 13세기 이후로, 프러시아(프로이센)는 "독일"이었습니다. 현 프러시아 왕국은 브란덴부르크와 프러시아의 공작령들이 연합한 새로운 국가입니다.선제후인 프리드리히 3세가 그의 지위를 왕의 그것까지 격상하기로 결심했기 때문에 이젠 왕국입니다! 하지만, 그는 오스트리아 대공인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건드리지 않으려 주의했고 자신을 프러시아"의" 왕이 아니라 프러시아"에 있는" 왕이라 부르게 됩니다. 단어의 형식은 무화과 잎처럼 하찮은 것입니다:프리드리히는 실상 왕인 것입니다. 그리고 잠재적 힘과 영향력을 지닌 프로테스탄트 국가 - 카톨릭적 오스트리아가 아닌 다른 곳에서 지도력을 찾고자 했던 사람들에게 독일연방내 무게중심이었던 곳 - 의 왕이기도 합니다.\n\n프러시아인들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미덕으로 믿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군사적 규율, 희생, 질서 감각 그러나 이 의무 감각은 누가 뭐래도, 무지나 불관용과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프러시아인들은 늘 싸워야 했습니다만, 그것이 그들을 경쟁심에 불타거나 피에 굶주리게 하진 않았습니다. 그들은 군사 전통 덕택에 위대한 대륙 세력이 될만한 잠재력을 가집니다. 군사 전통 대부분은 역사적 흔적으로 튜튼 기사단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됩니다. 이것들이 세계적인 참군대의 근간을 형성할 수 있었습니다. 올바른 지도하에, 그들은 독일말을 하는 사람들을 연합시켜 단일 독립체를 형성하고 발틱해를 지배할 수 있었으며, 아마도 유럽 중앙을 넘어 멀리까지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9.
“Muscovy”, as its rulers have previously called it, is a sleeping giant, with age-old traditions and ways of doing things. Here, the feudal way of life has become so entrenched that the serfs are as tied to the land as cattle, and with almost as few rights. It is a vast, deeply conservative and religious country: Mother Russia and the Orthodox Church are the two pillars of national belief. The Tsar may be the father of his people, but by tradition and practice he is a stern parent. Ivan the Terrible was well named, and he has not been the only ruler with an iron will. Russia needs a strong hand controlling the “Third Rome”, the true home of Christianity (according to the Orthodox Church) after the fall of Byzantium.\n\nNow, however, Russia is changing, awakening. It is beginning to look outwards, towards the best that the rest of the world has to offer in terms of ideas, culture and might. These things must be introduced carefully, to avoid the ills of free-thinking that beset some Western nations. When Russia does fully realise its strength, however, it will be formidable indeed. It has boundless resources to draw upon, and the steadfast courage of its people to bolster its armies. It can be a formidable foe, and a difficult one for an enemy to attack. One thing that Russia does have is endless space, and the lack of apparently defensible frontiers actually becomes a defence in itself. Invaders can be lured deep into the steppes, and left to the mercies of “General Winter” and Russia’s endless, empty lands.\n\nTo the west lies the wealth of Europe and access to the wider world through a port on the Baltic. That the troublesome Swedes are in the way is a bonus, for they will have to be crushed! To the south, there are fellow Slavs and Orthodox Christians in the Balkans to be incorporated into a Greater Russian empire. The infidel Turks have lands and wealth aplenty too, but possibly the strength to defend them.\n\nAnd beyond, there is a wider world awaiting conquest by the sons of the Mother Russia.
해석)
통치자들이 이전에 불렀던 지명인 "머스커비"는 오랜 전통과 행동 방법을 지닌 잠자는 거인입니다. 이교도적 삶의 방식이 너무 퍠쇄적이어서 농도들은 소처럼 땅에 묶여서 거의 권리를 가지지 못합니다. 아주 심한 보수적 종교 국가입니다; 어머니 러시아와 정교회가 국민적 신앙의 두가지 기둥입니다. 짜르(러시아 왕제)는 민족의 아버지이기도 합니다만, 전통과 제도에 의하면 그는 엄격한 부모입니다. 무서운 이반은 걸맞는 이름입니다. 그리고 철권 의지를 가진 통치자는 그 황제 뿐만이 아니었습니다. 러시아는 비잔티움의 몰락 이후 기독교의 진짜 고향인(정교회측에 따르면) "제3의 로마"를 통제할 강한 손이 필요합니다.\n\n그렇지만 이제, 러시아는 변화하고 깨어나고 있습니다. 이념, 문화 그리고 권력의 관점에서 다른 세상이 제공해야 하는 최선책을 향해, 외부로 시선을 돌리기 시작합니다. 서유럽을 괴롭히는 자유 사상의 병증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것들을 조심스럽게 소개해야 합니다. 그렇지만, 러시아가 그 힘을 완전하게 인식할 때, 그것은 참으로 무서운 것이 될 것입니다. 의지할 자원은 무한대에 가깝고 민족의 끊임없는 용기가 군대를 지탱합니다. 무시무시한 상대가 될 수 있고, 적이 공격하기 어려운 국가가 될 수도 있습니다. 러시아가 가진 것은 광활한 공간과 뚜렷한 방어적 국경이 없다는 점은 그 자체가 국방의 요소입니다. 침입자들은 대초원 지대에 끌려 들어와, "동장군"과 러시아의 끝없는 빈땅의 자비에 자신들을 내동댕이치게 됩니다.\n\n서쪽에는, 유럽의 재물이 있고 발틱해의 항구를 통과하면 더 넓은 세상에 나갈 수 있습니다. 골치거리 스웨덴이 가는 길에 있지만, 덤으로 무찔러야 합니다! 남쪽으로는, 동족인 슬라브족과 발칸에 정교회인들이 있어 협력하여 위대한 러시아 제국을 건설할 수 있습니다. 이교도 투르크족은 또한 땅과 재산이 풍부합니다만, 자신들을 방어할 힘도 갖추고 있습니다.\n\n그리고 어머니 러시아의 아들들이 정복해주길 기다리는 더 넓은 땅이 저너머에 있습니다.
10. 마지막~ 휴
The Spanish have long been conquerors and colonisers in distant parts. Indeed, the Spanish and Portuguese signed a treaty in 1494 that neatly divided the world between themselves. The Spanish went conquering “for God, Spain and to get rich”. They succeeded, to a great degree, in all three aims.\n\nSpain is a staunchly Catholic country, and the Church and the fearsome Spanish Inquisition still have their hold over men’s hearts. This partly explains why, for all its wealth, Spain is economically backward: the Church sees usury (money lending) as sinful. This may be so, but this lack of credit does not help the merchant classes. Economic growth is also not helped when it is beneath the dignity of any hidalgo gentleman to earn money or work. But a gentleman’s honour is worth defending and a nation’s glory is worth winning, so courage is not in short supply. Indeed, Spain is blessed with courageous men on both land and sea.\n\nThat Spain will need defending, and soon, is self-evident to many. Charles II, “El Hechizado” or “the Bewitched” is a feeble-minded and pathetic figure, a shadow of his Hapsburg ancestors, and childless. Spain has suffered from his weakness of mind and government, but Charles cannot live forever. When he dies, what forces will shape the destiny of the Empire? Will Spain once again face its Protestant rivals down? Will there be a new generation of conquistadores to plant the Spanish flag on distant shores? His successor will have much to ponder, but a brave nation to lead back to greatness!
해석)
스페인 사람들은 오랫동안 원방 지역을 정복하고 식민지를 개척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1494년에 세상을 분할 소유하기로 한 어떤 조약(토르데시야스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스페인은 "하나님과 스페인을 위해 그리고 부를 위해" 정복에 나섰습니다. 대단할 정도로, 그들은 세가지 목표에 성공을 거뒀습니다.\n\n스페인은 견고한 카톨릭 국가이고 교회와 두려운 스페인식 이단 심문이 여전히 사람들의 마음에 남아있습니다. 이것이 부유함에도 불구하고, 스페인이 경제적으로 후퇴한 이유를 부분적으로 설명해 줍니다: 교회는 고리대금업(대부업)을 죄스러운 것으로 봅니다. 이것도 그렇지만, 신용 부재가 상인 계급을 불리하게 합니다. 돈을 벌거나 일하는 것이 스페인 하급 귀족 신사의 존엄보다 못하다고 여기는 것이 또한 경제 성장을 막습니다. 그러나 신사의 명예는 수호할 만하고 국가의 영광은 성취할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그래서 용기의 공급은 끊이지 않습니다. 정말로, 스페인은 육상과 해상에 용기있는 자로 넘치는 축복을 받았습니다.\n\n스페인을 지켜야 할 필요는 있을 것이고 머지않아, 자명한 일입니다."엘 에치사도" 혹은 "광인왕"이라 불린 카를로스 2세는 마음이 연약한 비극적인 인물입니다. 합스부르크 조상들의 그림자일뿐이고 자식이 없는 사람입니다. 스페인은 카를로스의 연약한 마음과 그의 정부로부터 많은 고통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카를로스는 영원히 살 수 없습니다. 그가 죽으면, 제국의 운명은 어떤 양상을 띄게 될까요? 스페인이 다시 한번 프로테스탄트 경쟁국들을 쳐부술까요? 신대륙 정복자의 새로운 세대가 나타나서 원방의 해안에 스페인 깃발을 꽂게 될까요? 그의 대를 잇는 자는 생각할 것이 많을 것이나 과거의 위대함으로 돌아갈 용감한 국가를 갖게 될것입니다.
첫댓글 수고하십니다~!!!
어헉.....이거 원래 제가 담당하는 분량이였는데... 다른분이 올렸군요..ㄷㄷㄷ
허걱...메디아님이 작업하시던 것이라니;;; 제 불찰이군요;;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1494년에 세상을 분할 소유하기로 한 어떤 조약" = 토르데시야스 조약 입니다.
엇...그러면 이미 작업하신 거예요? 중복 작업???
10번 문장내, 제국의 운명의 어떤 양상을 띌는지? ===> 제국의 운명은 어떤 양상을 띄게 될까요?로 바꾸세요...ds2lie님
수정하겠습니다^^
하아, 열심히 번역해주신 분들께 면목이 없지만, 팩션설명글을 적용해본 결과, 몇몇팩션을 제외한 가장 긴 설명의 팩션들은 아직도 글이 곂치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군요;;; 이런 폰트문제는 제가 아는바가 없어서 헤이걸님이 해결해주셔야 할텐데;;; 다만, 전에 문제시 되었던 장문 기술설명글은 번역기로 돌린 글을 적용해본 결과 이젠 아무런 문제가 없을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다음 시즌도 하게되면 장문기술설명도 넣겠다는 말임...후다닥)
팩션설명글을 반영할까요? 아님 반영안하고 보류할까요? 번역하신 분들의 의견을 존중하겠습니다.
최대다수의 최대 행복! ds2lie님께 맡기겠습니다. ㅋㅋ...인터넷은 누구라도 원하는 것은 공유되어야 하겠죠! 공유정신!
수고하셨습니다.^^
헛...일관성 문제로 4번 스페인 분가의 찰스 2세가 상속자를 생산치 못하여, ===> 찰스 2세를 "카를로스 2세"로 바꿔주세요
5번 찰스 2세 ===> 카를로스 2세, 6. 사람들 아직 기억하고 있는 한 ===> 사람들이~
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