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한산이씨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후손들 원문보기 글쓴이: 기라성
토정 이지함선조님이 도탄에빠진 백성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 만든 비결 토정비결은 조선 선조때의 학자 토정 이지함(1517~1587)이 저술하였으며, 조선후기 이래 수백년간 민초들의 가장 큰 사랑을 받아왔으니 가히 운세분야의 베스트 셀러이자 스테디셀러라 할 수 있다.
재미로 보는 토정비결
토정 이지함(李之 :1517-1578)에 대해서는 그 인물의 역사적인 위상보다도 그의 저술로 알려진 『토정비결』에 관심이 집중되거나, 그의 기인적인 풍모만이 야사의 주된 소재가 되었다. 또한 『임꺽정』, 『토정비결』 등 소설 속의 주요인물로 등장하여 대중들에게 친숙하게 다가서는 인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이지함에 대해 대중적인 친숙성만큼 잘 알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이지함은 16세기를 대표할 수 있는 학자이자 사상가였다. 그가 제시한 국부증진책과 민생안정책과 같은 사회경제사상은 그 시대를 뛰어넘는 상당히 진보적인 것이었으며 실학의 원류로까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주자성리학만을 고집하지 않고 다양한 학문과 사상을 수용하면서 부강한 조선을 위해 적극적인 사회경제 정책을 제시했던 실학자였다. 1. 명문가의 후손이었지만 신분에 구애되지 않아
2. 『토정비결』에 반영된 이지함의 사상
3. 바다와의 깊은 인연 4. 국부(國富)의 증진을 위한 혁신적인 사상
이지함이 포천현감으로 있으면서 올린 상소문인 「이포천현감시상소( 抱川縣監時上疏)」를 통하여 그가 지향한 사상이 집약되어 있다. 이지함은 당시 포천현의 실상을 보고하면서 ‘포천현의 형편은 이를테면 어미 없는 고아 비렁뱅이가 오장(五臟)이 병들어서 온 몸이 초췌하고 고혈(膏血)이 다하였으며 피부가 말랐으니 죽게 되는 것은 아침 아니면 저녁입니다’하여 당시 포천현이 매우 어려운 처지에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어 이러한 현실의 문제점을 타계할 수 있는 방책으로 크게 세 가지 대책을 제시하였다. 이지함은 제왕의 창고는 세 가지가 있음을 전제하고, 도덕을 간직하는 창고인 인심을 바르게 하는 것이 상책(上策), 인재를 뽑는 창고인 이조와 병조의 관리를 적절히 하는 것이 중책(中策), 백가지 사물을 간직한 창고인 육지와 해양개발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을 하책(下策)으로 정의했다. 그러나 이지함이 중점을 둔 것은 하책이었다. 즉 당면한 현실에서 상책과 중책은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하책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지함이 하책을 강조한 것은 자원의 적극적인 개발과 연결되었으며, 이러한 사고의 바탕에는 의(義:성리학의 의리와 명분)와 리(利:실용과 이익)를 대립적으로 해석하지 않고 절충하려는 개방적인 사상이 있었다.
이지함은 어업이나 상업, 수공업, 광업 등에도 관심을 기울여 육지건 해양이건 국토에서 산출된 자원을 적극 개발, 이를 통해 국부를 증대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실천하였다. 북학파의 중심인물 박제가는 『북학의』에서 이지함을 높이 평가하였다.
“토정 이지함 선생이 일찍 외국 상선 여러 척과 통상하여 전라도의 가난을 구제하려고 한 적이 있다. 그 분의 식견은 탁월하여 미칠 수가 없다” (『북학의』, 「통강남절강상박의(通江南折江商舶議)」)
16세기를 살아가면서 민중들의 경제적 고민을 해결하고 민중들에게 항상 위안의 벽이 되어 준 이지함이 제기했던 민중 본위의 사회사상과 적극적인 국부 증대책은 현재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이것은 이지함을 기인으로만 볼 수 없는 주요한 근거이기도 하다. 글쓴이 / 신병주 서울대학교 규장각 학예연구사
|
첫댓글 대박 카페도헤이 ...내 운세가 최고라네요 푸하하하 굿^^*